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트윗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키-값 저장소의 성능 평가

        김지해,현혜인,권혁윤 한국정보과학회 2019 데이타베이스 연구 Vol.35 No.1

        In this paper,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key-value stores for Tweet that consists of various data with different properties. First, we perform statist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data in Tweet. Next,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key-value stores (i.e., Redis, BerkeleyDB, LevelDB, RocksDB)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lassification of Tweet data. The result of this paper allows us to select the most suitable system for various applications using Tweet data. It also help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ey-value stores according to the statistical characteristics of data, and accordingly, can be used in decision making for selecting a data store.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데이터로 구성된 트윗을 사용하여 키-값 저장소들의 성능을 평가한다. 먼저, 트윗을 구성하는 데이터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통계적인 분석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데이터들의 통계적인 분류에 따라 키-값 저장소들(Redis, BerkeleyDB, LevelDB, RocksDB)의 성능을 평가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트윗을 사용하는 다양한 응용에서 가장 적합한 시스템을 선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데이터의 통계적인 분류에 따라 키-값 저장소들에 대한 특성의 이해를 돕고, 이에 따라 데이터 저장소선정을 위한 의사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코디자인을 통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 -포장지 개봉 보조기기를 중심으로-

        김지해,최민주,이성용,은선덕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22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21 No.4

        연구배경 : 국립재활원은 보조기기 융합연구가 진행될 수 있도록 2020년부터 적정기술 보조기기를 오픈소스로 공유하는 플랫폼을 구축, 운영하였다. 온라인 플랫폼에 제출된 보조기기 연구개발 수요를 대응하기 위해 포장지 개봉 보조기기 연구개발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조기기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와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코디자인을 적용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을 진행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적정기술 보조기기 오픈소스 개발은 보조기기 수요자의 수요 접수, 개발, 실증, 정보공유의 4가지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특히, 사용자와 디자인, 개발자가 함께하는 코디자인 워크숍을 3회를 진행하고 개발 방향 정의부터 2차 개발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개발된 보조기기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척수 손상 장애인 3인을 대상으로 과제 수행 점수, 수행 시간, 한국어판 퀘백 보조기기 사용자 만족도 평가, System Usability Scale, Individually Prioritised Problem Assessment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 포장지 개봉을 위한 일체형 가위 고정 보조기기와 모듈형 가위 고정 보조기기가 개발되었다. 일체형과 모듈형은 효과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동일한 사용성 평가 결과를 보였으나 일체형이 사용자 만족도가 더 높았다. 포장지를 자르는 주요 기능에 최적화된 복잡하지 않은 디자인이 더 선호된 것이다. 또한, 포장지 개봉 활동에 대한 보조기기 사용 전, 후의 어려움 차이 평균 점수가 11.33점 (± 5.03)이다. 결론 : 사용자의 니즈를 아이디어로 변환하고 사용자와 개발자가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 자료, 퍼실리테이터가 지원된 코디자인 워크숍을 통해 개발된 보조기기는 사용자 만족도가 높았다. 단순히 디자인에 대한 영감을 얻기 위한 연구 대상이 아닌 연구 참여자로서 사용자를 적극적으로 보조기기 개발 과정에 끌어들이고 개발 결과의 질을 높인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 코디자인을 적용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의 여러 사례를 분석하여,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에 최적화된 코디자인 방법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교과서의 영어 문법 요소와 대학수학능력시험 문법 문항 비교 분석

        김지해,김해동 현대영미어문학회 2015 현대영미어문학 Vol.33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English grammatical features between high school English I textbooks in Korea and test item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or this purpose, the frequencies of grammatical features in a grammar explanation part in eight English I textbooks and English grammar test items of CSAT from 2000 to 2014 were analysed. In addition, to identify textbook users’ percep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textbook and CSAT, nine English teachers and 198 second-graders in three different high schools were invited for questionnaire survey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n the frequencies of grammatical features between textbooks and CSAT reveal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s r = .43, indicating a low level of relationship. The teachers and learners showed moderately negative responses to the effectiveness of using current English I textbooks for the preparation of grammar items in CSAT. Thes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 Teachers need to prepare supplementary grammar-teaching materials and textbook writers have to develope well-organized and comprehensive coverage of grammar parts in order to make learners prepare CSAT in an efficient way.

      • KCI등재

        보조기기 열린페이지: 노인과 장애인을 위한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디자인 연구

        김지해,안광옥,노은래,권효순,은선덕 한국에이치씨아이학회 2022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7 No.1

        Assistive technology that is customized to individual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elderly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that requires appropriate technology application needs to be researched, developed, and disseminated through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The researchers examined existing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s abroad (viz., Careables.org, Makers Making Change, Thingiverse) based on menu structures, main functions, and open-sourc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assistive technology. A pilot website was developed and operated to receive request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and to share open sourc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sers of the pilot website, including the elderly,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nd employees of the assistive device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ssistive technology. The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by thematic analysis method to derive the development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The study drew implications for co-design on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elderly, digital manufacturing, and sharing of open source hardware. Accordingly, the assistive technology open-source sharing platform should be a platform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stakeholders, support co-design, actively communicate, reproduce and recreate open source, and utilize open source appropriately. 보조기기는 사용자(노인 및 장애인)의 특성에 따라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적정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보조기기는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을 통해 연구 개발되고 확산될 필요가 있다. 본연구에서는 기존의 해외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인 Careables.org, Makers Making Change, Thingiverse의메뉴 구조, 주요 기능, 보조기기 오픈소스 분류 기준을 살펴보고 종합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보조기기 연구개발에 대한 수요를 접수하는 기능과 보조기기 오픈소스를 공유하는 기능을 하는 시범 운영 웹사이트를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웹사이트 이용자와 보조기기 연구개발에 참여한 노인, 장애인, 보조기기 센터 등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는 Atlas.t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제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개발 방향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장애인, 노인에게 적합한 보조기기에 대한 공동 연구, 디지털 제조, 오픈소스 하드웨어 공유에 대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의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 플랫폼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 공동 설계를 지원할 수 있는플랫폼, 커뮤니케이션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는 플랫폼, 공유물을 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플랫폼, 공유물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되어야 한다.

      • KCI등재

        Berberine-induced changes in protein expression and antioxidant enzymes in melanoma cells

        김지해,류아름,강민주,이미영 대한독성 유전단백체 학회 2016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Vol.12 No.1

        Proteomic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after treatment with berberine, a natural alkaloid,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 23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3 of which were enhanced and 20 were reduced, were associated with diverse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cell death and molecular chaperone. The proteomic result was also validated by western blot analysis of ezrin, septin, UQCRC1 and elongation factor Tu. Moreover, changes in total activity and isozyme pattern of antioxidant enzymes were examined via activity assay and in-situ activity staining, respectively. Total activities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were enhanced, while those of glutathione peroxidase and glutathione reductase were unchanged by berberine. Taken together, the results showed that berberine elicited alteration of protein expression patterns and signaled the induction of isozyme of catalase and superoxide dismutase in melanoma cells.

      • KCI등재

        Control of NaAlSiO4:Eu2+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by charge-compensated aliovalent element substitutions

        김지해,Hideki Kato,Masato Kakihana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12 Journal of information display Vol.13 No.3

        We have conducted two kinds of the so-called charge-compensated aliovalent element substitutions to control the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NaAlSiO4:Eu2+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nhancement of the excitation intensity at 400 nm. The aliovalent element substitutions include cation–cation and cation–anion co-substitutions according to the general formulas Na1−xMxAl1+xSi1−xO4:Eu2+ and Na1−xMxAlSiO4−xNx:Eu2+ (M = Mg2+, Ca2+, and Sr2+), respectively. The increase in the relative excitation intensity at 400 nm has been achieved in both types of the co-substitutions. Thus, the present research ha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charge-compensated element substitution.

      • 손 사용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위한 특수 마우스 연구개발

        김지해(Agnes Jihae Kim),안광옥(Kwang Ok An),은선덕(Seon Deok Eun),이범석(Bum Suk Lee) 대한인간공학회 2021 대한인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Objective: 본 연구의 목적은 손 사용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위해 사용성이 높고 쉽게 제작하여 획득할 수 있는 한국형 입술마우스(K-LipSync) 오픈소스를 연구개발 하는 것이다. Background: 기존 입술 움직임과 호흡을 사용하여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상용화된 제품은 높은 가격으로 인해 구매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해외 보조기기 오픈소스 공유사이트인 ‘Makers Making Change’에서 입술마우스인 LipSync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ipSync 오픈소스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를 활용하여 수정 개발한 K-LipSync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Method: (1) K-LipSync 1차 개발을 진행한 후 손 사용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 5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사용성 평가는 입술마우스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4개 과제의 수행 점수(효과성)와, 수행 시간(효율성)을 살펴보았으며, QUEST 2.0과 SUS 평가(만족도)를 진행하였다. (2) 사용성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K-LipSync 2차 개발을 진행한 후 2차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Results: K-LipSync 개발과 사용성 평가 결과, 사용성 측면과 제작 측면의 개발 방향이 도출되었다. 사용성 측면으로는 (1) 오픈 소스의 특징을 살려 사용자와 사용 맥락에 따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맞춤 활용 가능성과 가이드를 함께 제공해야한다. (2) 기존 방식(예. 마우스 스틱)으로는 컨텐츠 사용에 제한이 있거나 어깨 걸림과 같은 신체적 상태의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다. (3) 사용 환경에 따라 적절한 거치대 암(길이, 각도, 결합 방식 고려)을 사용해야 한다.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의 위치가 사용자의 시선 정면에 위치하도록 사용을 위한 최적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4)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입술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보조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개발이 필요하다. 제작 측면으로는 (1)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재료와 장비를 활용하여 제작할 수 있도록 개발해야 한다. 다른 재료로 대체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2) 3D 프린터의 공차를 최소화하는 설계방식을 채택하고, 3D 프린터 설정, 재료와 색상 가이드를 함께 제공해야 한다. Conclusion: 손 사용의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을 위해 컴퓨터 및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저렴한 가격으로 개인의 필요에 맞출 수 있는 입술마우스를 한국형 오픈소스로 연구개발하고, 개발 방향을 제안하였다. 한국형 입술마우스 오픈소스는 여러 개발, 제작자를 통해 장애인 개인에 맞추어 추가 개발, 제작되어 전달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장애인 보조기기 디자인 관련 법률, 규격 및 지침 비교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채승진(Chae, Sung Zin),권오성(Kweon, O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1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의 개발은 보조기기의 기능 구현에 초점이 가 있으며 보조기기의 사용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실정이다. 국내 영세한 보조기기 산업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보조기기의 기능뿐 아니라 사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대책은 보조기기와 보조기기 산업 관련 법률과 규격에 대한 제·개정으로 부터 시작한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법률과 보조기기 관련 규격 및 지침에 대해 사용성이라는 프레임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보조기기의 사용성, 사용품질을 정의하고, 관련 이론적 배경을 통해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법률로 장애인복지법, 보조기기 지원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보조기기 관련 법률의 현황을 바탕으로 국내 장애인 보조기기 관련 규격 중 사용성과 관련이 있는 규격과 지침을 3가지를 선정하고, 그 규격과 지침의 지향성을 Hancock의 인간 공학적, 쾌락적 욕구 위계로 분석하였다. 현재 국내에는 보조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조기기만을 위한 사용성 규격 및 지침은 없다. 하지만 장애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제품군인 보조기기 사용성에 대한 규격 및 지침은 그 특성에 맞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만들어져야 할 것이고, 해당 법규정과 관련 가이드라인은 특히나 사용자의 특성과 사용 맥락을 고려하여 장애인 개인의 일상생활 용품으로서의 사용성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roposed research finds that there is a lack of consideration of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in the development of domestic assistive products. However those products have to be improved further in order to sec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domestic small assistive product industry. Lots of considerations should be given not only to the function of assistive products but also to its usage. The national and governmental support to secure sufficient competitiveness of global market may start with the revision and amendment of related laws, standards and guidelines related to assistive products and assistive product industry. Under such understanding, authors analyzed the standards, guidelines and the laws related to assistive products through the framework of usability for the study. The authors as researchers define the usability of the assistive products used in the study, and examined the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ct) and the Supporting Act of the Assistive Products.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these assistive products laws, the authors selected three domestic standard and guidelines related to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analyzed the directionality of standard and guidelines through Hancock"s ergonomics and hedonomics needs hierarchy. Currently, there are no usability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assistive products, while it is only considered the characteristics of assistive products in Korea. However, there are the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the usability of assistive products for group for users with disabilities, they should be made up of contents suited to users" characteristics. Especially, related regulations and laws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an plan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textual situation of users.

      • KCI등재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을 위한 트리즈 40가지 원리 적용 연구

        김지해(Kim, Agnes Jihae),김세희(Kim, Se Hee),고의석(Ko, Eui Suk),권오성(Kweon, O Seo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4

        유니버설디자인은 가장 넓은 범주의 사용자가 가장 넓은 범주의 상황에서 제품,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는 것으로 많은 제약사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디자인보다 더 구현하기 어려운 영역이다.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무작위의 아이디어 발상보다 트리즈 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디자인 교육에 트리즈 40가지 원리를 활용할 수 있도록 트리즈 40가지 원리에 해당하는 일반 또는 디자인 사례와 유니버설디자인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 사례를 통해 디자인 관련 연구원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에 적합한 트리즈 40가지 원리의 우선순위를 매기도록 한 후, 스피어만 순위 상관 계수를 통해 트리즈 40가지 원리와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다. 또한, 유니버설디자인 수업에 수강 중인 디자인 학부생 26명을 대상으로 트리즈 40가지 원리에 해당하는 유니버설디자인 사례를 교육함으로써 트리즈 40가지 원리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에 트리즈 40가지 원리를 적용 해 보는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유니버설디자인 문제 해결 과정에서 일반 문제 해결과는 다른 우선순위의 트리즈 원리가 적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유니버설디자인은 장애와 나이, 상황에 따른 다양한 범위의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고 넓은 신체적 범위를 아우를 수 있어야 하는 이슈가 많기 때문에 유니버설디자인 문제에서 트리즈 40가지 원리 중 유형의 요소, 만지고 볼 수 있는 요소로 해결할 수 있는 원리가 우선 적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Universal design is the most variety of people in wide range of circumstances that could use products and environments which is a difficult area due to restrictions more considerable than other design field. Therefore, applying for TRIZ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efficient rather than random concept ideation in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process. In this study, the general or design case and universal design case has been examine which corresponds with TRIZ 40 principles that can be utilize on universal design education. Through these cases, appropriate prioritize on TRIZ 40 principles has been conducted by 8 design allied researchers for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And then Authors inqui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IZ 40 principles and the cases of universal design by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Als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TRIZ 40 principles and universal design by educating universal design cases that corresponds with TRIZ 40 principles to design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s in universal design course. An application of TRIZ 40 principles on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workshop has been conducted. As the result, different priorities of TRIZ principles applied by general problem solving in the process of universal design problem solving. Due to universal design has a large number of issues that requires to afford diverse range of people with disability, age, circumstances and cover wide range of physical, a concrete element has applicate priority of TRIZ 40 principles on universal design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