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직무만족의 측정과 영향을 미치는 변인

        金俊坤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1987 연구논문집 Vol.35 No.1

        For the purpose of the empirical study on the measurement and related variable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it's demographic variables' effects, it was surveyed for the job satisfaction scales and value orientation scales. The subjects were 429 employeed in a large scale textile production company.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rough the factor analysis, the dimensions of job satisfaction are leadership, company policies, salaries, promotion, working condition, benefits, and co-workers. These results are similiar with established researches. The consturct validity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adopted in this study is considered as moderate. 2) The facet or factor satisfaction correlations with overall satisfaction are relevant coefficients(from r=.19 to r=.38). 3) The general value items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4) The demographic variables' effects of the job satisfaction have similiar tendency wiht the established researches.

      • 職務滿足의 理論構成을 위한 그 性格과 組織行動과의 관계에 대한 考察

        金俊坤 대구효성가톨릭 대학교 1983 연구논문집 Vol.27 No.1

        It has been conceived that the job satisfac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 work motivation and job performance. However, the current perspectives are changing from the above consideratiions to the significant variable itself in the research and practition of organizational administrations. To support this trends and promote the more systematic studies, the theoraetical construction for the job satisfaction itself is seemed the most important and precedent task. For the purpose of such needs in the organizational researches, the related empirical and theoretical researches were reviewed. The following conclusion, to meet such needs, could be obtained from the various reviews. The first, the concept of job satisfa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one aspect of the emotional responses, and it be discriminated from those of motivation, morale and job involvment. In the measurement of job satisfaction, the method of facet or factor satisfaction is the more desirable than the method of overall satisfaction. However, the methods of weighting each factor and scale is to be developed in the factor satisfaction measurements. The second, in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for job satisfaction, it might be more desirable to focus on Two-factor theory of Herzberg et al, for explorations of the satisfying variables. And it should be emphasized to Equity theories for the satisfying process, and to Porter & Lawler's model for the relations of the other variables. The third, according to age, sex, intelligence, job experience, personality and so on, the job satisfaction represents the differences. Such variables should be recognized in the interpretation of job satisfac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related management policies. The last, job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absenteesm and turn over, complaints, grievances, physical health, mental health, safety, alcoholism. However, the relation to the productivity is not generally accepted in present researches. These results ar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variables which affect to job performane are various in itself and complicated in their interaction. From the fact that job satisfaction influences the tenure, the reduction of absenteem, lateness, accidents and the improvement of loyalty and morale, it seems to be more desirable that job satisfaction contributes ultimately to productivity and organizational efficiency. Accordingly, job satisfaction is to be an important variable as ever in organizational researches and practices.

      • 21세기 한국교회의 비젼

        김준곤 전주대학교 기독교연구원 1996 복음과 학문 Vol.- No.3

        먼저 두가지의 물음을 앞에 놓아본다면 21세기의 우리 한국교회가 과연 경제적 부만이 아닌 삶의 질의 향상과 문화적인 면을 비롯한 모든면에서의 질높은 국가로 진입할 수 있는가?하는 것은 비서구권에서 한국민족이 과연 기독교 국가가 될 수 있는가?하는 문제이다. 지난 95년 한해동안 한국 사회에서는 많은 대형사고가 발생하였다. 그 예로 성수대교의 붕괴는 한국이 무너지는 것으로 상징되었고 얼마후 삼풍백화점이 무너질 때는 한국의 모든 건축물이 무너지고 있다는 경악감을 일깨워 주었다. 또한 바다모래의 사용으로 인해 10년후에는 분당 붕괴설이 나돌기도 했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 한국민족이 왜 이렇게 되었으며 또한 이 두가지 물음앞에 우리는 과연 어떻게 대답할 수 있는가? 우리 기독교 인의 꿈, 즉 우리의 의식화된 기도로 21세기 한국교회가 성장하게 된다면 한국사회는 많은 것이 변화할 것이다. 사회의 모든 지도층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기독교인이 될 것이며 여화와 하나님을 우리의 주로 삼고 예수그리스도를 우리 민족의 주로 삼게 되면 신구약이 한국사회의 민족교과서가 될 것이다. 그리고 큰 사업을 크리스챤이 운영하게 되고 크리스챤이 대통력이 되며, 교육자, 유명한 학자들, 사회의 모든 지도층들이 기독교인이 되어 한국사회에 기독교가 토착화 될 것이다. 그러나 샤머니즘이 성행하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과연 이러한 것들이 꿈으로만 남을 것인가 하는 의문점이 남게 된다. 세계의 기독교 지도자들이 모인 자리에서 논의된 이야기들을 종합해 보면 미국 사회의 교회는 최근에 들어서 그 규모나 운영에 있어 많은 침체를 보이고 있다고 한다. 과거에는 미국인 교회가 한국인 교회보다 높은 위치와 성도의 수에서도 그 우위를 차지 했으나 지금은 미국인 교회는 성도수가 줄어들기 시작했으며 이로 인해 운영난에 시달려 역으로 한국인 교회가 미국교회를 인수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한다. 미국은 구라파에 이어서 기독교가 토착화되어 그 축복의 영광을 받아오던 나라였는데 이제는 미국사회가 이 하나님의 은혜를 외면하여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청교도 정신과 서구정신이 주축이 되는 미국은 과연 망할 것인가? 미국은 세계의 모든 경제적, 정치적인 문제를 마지막으로 감시하고 주도해 왔다. 미국의 대통령선거 당시 낙태문제와 호모문제를 찬성하는 클링턴은 당선되었고, 이러한 것을 반대한 청교도의 후예인 부시는 낙선이 되었다. 이는 미국이 몰락하고 있다는 하나의 큰 지표가 되었으며 하나의 큰 상징적인 사건이 되었다. 이미 구라파의 불은 꺼져버렸고 기독교가 한바퀴 돌아서 미국을 지나 아시아로 향하고 있다. 이제 과연 아시아에 기독교 국가가 세워질 수 있을 것인가?

      •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subtilis SRCM 700998 균주의 항균활성 및 효소활성

        김준곤,온지헌,오현화,정도연,김영수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21 No.10

        본 연구는 청국장에서 분리된 Bacillus sp. 균주의 식품 유해균에 대한 생장 억제능과 효소활성을 평가하고, B. cereus toxin(B. toxin)과 biogenic amine(BA) 생성 유전자 보유 여부를 확인하였다. Bacillus cereus KCTC 1661과 KCCM 11204에 대하여 Bacillus subtilis SRCM 700998 균주는 상대활성(투명환의 직경/disc 직경)이 각각 1.05와 1.06으로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Staphylococcus aureus KCCM 11593, Salmonella typhimurium KCCM 1926 및 Listeria monocytogenes KCCM 43155에 대한 상대활성이 각각 1.33, 1.04 및 1.06으로 측정되어 생장 억제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B. subtilis SRCM 700998 균주의 세포외 효소활성은 skim milk와 starch를 기질로 하여 protease와 amylase의 활성을 측정하였을 때 각각 직경 15.04 mm와 14.11 mm의 투명환을 형성하였다. B. subtilis SRCM 700998 균주의 B. toxin과 BA 생성 관련 유전자의 보유 여부를 확인한 결과 유전자를 가지고 있지 않아 유용한 미생물로 분류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보아, B. subtilis SRCM 700998 균주는 식품유해균에 대한 저해활성 및 높은 효소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식품유해요소인 B. toxin 과 BA를 생성하지 않는 안전한 스타터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기대된다.

      • KCI등재

        소아 알레르기 질환의 발생과 면역치료

        김준곤,강성일,김대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2019 대한이비인후과학회지 두경부외과학 Vol.62 No.5

        Allergic march is a part of a phase that occurs in a series of continuous steps in disease of pediatricpatients, which proceeds from atopic dermatitis to asthma, and from asthma to allergic rhinitis. Recently, several hypotheses have been raised to explain the allergic march. Among them,the study of the hygiene theory related to microbiota, and the study on the role of innate cytokineswhich occurs in skin barrier damage are attracting attentions. If the interaction betweenthe microbiota and the immune system occurs improperly, the activity of the regulatory T cellbecomes insufficient and the immune-regulatory function is reduced, resulting in allergic diseases. Because of the skin barrier disruption, the innate cytokines are activated, thus resultingin Th2 inflammation reaction being increased. Considering this pathogenesis, blocking thelinkage to pathogens is regard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and treating allergicm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