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최춘해의 <아동문학 교단 동인회> 활동과 초기 동시 연구

        김종헌 ( Kim Jong-heon ) 대구가톨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35

        This article examines the early literature of Choi, Choon-Hae. The aim is to find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his work. In addition, I will examine his literary thinking by confirming the imagination and literary transformation of ‘soil’. For this purpose, I should first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 교단 아동문학 동인회; Teachers Group for Children’s Literary >, which he had worked on before his introduction on literature organization. I will also notice changes in literary trends such as < 동시의 시운동; Poetry revolution of Children’s Poetry > in the late 1960s. He faced reality, not ideological or fantastic concentricity. And we have dealt factually with the contemporary painful social phenomenon. He did not capitalize on ideology or embrace the critical realism. However, socio-cultural imagination has expressed the absurd worlds. He tried to find his anxieties and his identity with his soil. It is a way of criticizing painful life and absurd reality. This opportunity was provided a clue to discuss the future of his literature review more closely.

      • KCI등재

        해방 전후 북한체제에서의 강소천 아동문학 연구

        김종헌(Kim, Jong-he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4 No.-

        이 글은 해방직후(1945∼1950) 북한에서의 강소천 문학의 사유구조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지금까지 살펴 본 것으로 우리는 해방이후 북한에서의 그의 문학이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이라는 대주체의 호출에 단선적으로 응답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북한 체제의 사회주의 담론이 그에게 주체로 자리 잡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해방이후 북한에서도 서정성을 바탕으로 타자의 담론을 편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1947년 이후 북한 체제에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아동문학위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주체의 담론인 ‘고상한 사회주의’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1930년대 카프의 계급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하여 감각적인 동시로 현실에 대응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른바 북한의 ‘평화적민주건설시기’인 해방직후에 강소천의 문학적 사유를 구성하는 담론체계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담론을 복제한 것일 뿐이었다. 즉 그것은 학습된 타자의 세계관에 불과했다. 그러나 그의 문학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직후 평화적민주건설시기와는 차이가 있다. 그것은 문학의 주체를 구성하는 담론구성체의 차이인데 전자의 담론구성체는 민족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한 것이고, 후자의 그것은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담론을 복제한 것이다. 이렇듯 그는 타자의 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하거나 혹은 복제하여 주체를 스스로 검열함으로써 그의 독창적인 문학적 주체를 구성하였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literature of Gang, So-cheon in North Korea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1945∼1950). Gang, So-cheon had written juvenile poetry from the 1930"s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socialism literature arose. Socialism children’s literature by KAPF was prevalent at this period. However, socialism children’s literature by KAPF was nothing other than others" discourse. During this period, world of his works was compilation of others discourse, based on lyricism which also includes Ethnic discourse. After liberation, Gang, So-cheon developed his literary Subject without being synchronized by the socialism which the North Korean regime demanded at the time. This can be understood in the same method, which he compiled the 1930"s socialism literature of KAPF in a lyrical way, confronting the reality by sensual juvenile poetry. Hence, just after the liberation, so-called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the discourse structure that composed the Awareness of the literature of Gang Socheon was a duplication of the discourse structure of North Korea Literature and Art Chongdongmaeng. It was a lot different from the "Noble realism", the North Korean socialism discourse. In other words, It was a mere learned worldview of Others. Thus, there is a distinct difference between his literature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peaceful democratic construction period. It is the difference of discourse former which composes the Literary Subject. The discourse former is a lyrical compilation of Ethnic discourse, while the latter is a duplication of the discourse of North Korea Literature and Art Chongdongmaeng. Thus, it can be considered that he developed his original Literary Subject by lyrically compiling or reproducing others discourse and censoring the subject.

      • KCI등재후보

        박홍근의 월남 동기와 월남 직후 동시의 주체 형성

        김종헌(Kim, Jong-heo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6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1

        박홍근은 전쟁 중 국군을 따라서 월남한 아동문학가이다. 그는 북한에 있을 때인 1946년 『새길신문』을 통해서 등단하였는데, 이 시기 북한은 ‘평양예술문화협회’와 ‘프로예맹’이 통합하여 ‘북조선예술총연맹’으로 확대(1946. 3. 25.)되었고, 곧이어 그 명칭을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으로 개칭(1946. 10. 13.~14.)하였다. 이때 북한은 이른바 ‘『응향』 사건’(1946. 12.)을 통해서 북한문학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공고히 해 나갔다. 한편 아동문학 에서도 ‘아동문화사 사건’(1947) 등을 통해서 사상성을 검증하였다. 이런 와중에 등단을 한 박홍근은 그의 문학관이 이런 일련의 사태를 부정하든 긍정하든 영향 관계에 놓일 수밖에 없었다. 이 글은 여기서 출발하여 박홍근의 월남 계기와 그것이 작품에 끼친 영향 등을 살펴서 그의 문학관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실향(탈향)민의 입장에서 고향에 대한 정서가 어떻게 문학적으로 변용, 형상화되었는지를 살펴서 그의 문학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박홍근의 시에는 전쟁 후 이산과 가난으로 인한 아픔이나 이데올로기의 갈등이 없다. 이데올로기를 초월한 그의 시적 사유가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하는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서 등단 작품과 월남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는 카프의 영향에서 벗어난 시기인 1946년에 등단하였다. 한편 그의 집안은 경제적으로 넉넉한 편이었다. 그는 일본 유학을 다녀온 엘리트로 자유로운 성격의 소유자였다. 이런 그의 환경은 주체사상을 노골화하던 북한 체제와 맞지 않았을 것이며, 분단과 6ㆍ25 전쟁이 호출한 이데올로기의 호명을 거부하고 동심으로 세계를 역구성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동심을 타자(이데올로기)와 나란히 놓음으로써 시적 주체를 구성하였다. 즉 그의 동시는 자아와 세계를 둘러싼 이데올로기의 갈등을 이러한 동심으로 치환시켜 놓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鄕愁와 이데올로기를 동심으로 전이시켜 활달한 시적 주체를 드러냈다. 이것은 탈향과 반공 사이에서 그가 찾은 시적 주체였다. This article is an analysis of the works of Park, Hong-keun after the defect from North Korea in Korean war(6ㆍ25war). In his poetry there is no reflection about the post-war disaster, poverty and ideology. The problem is, what is his values of the poem? In order to clarify this trend, we analyzed trends of the up. He start his literary career in 1946, a time when he was away from the influence of KAPF. On the other hand, his family was economically generous. He was an elite who went to study in Japan and had a free personality. This environment did not match the North Korean regime that had been revealing the slef-reliance ideology, and refusedit by the division and the Korean war. And became the catalyst to reverse the world in a concentric way. Therefore, his poetic values in this period can be evaluated as the tendency of childlike. He has the subject of poetic by innocence of childhood and others ideology. This subject of poetic is that he found among anti-communist and diaspora.

      • 조선시대 궁궐건축의 공기환경 조절 기술에 관한 연구

        김종헌(Kim Jong-Hurn),최은선(Choi Eun-Sun),박준석(Park Jun-Seok)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2009 한국건축친환경설비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 No.-

        Korean traditional palaces were built with big budget by the best craftsman of the time. Also the best architecture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was applied. Since many studies are done on Indoor Air Quality in and out of Korea, it is possible to adapt traditional technologies from the past to modem buildi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easure the indoor air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ies of the palaces and do the background study to modernize traditional technology. Air flow performance was measured by tracer gas method, and natural ventilation was measured by the indoor air velocity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frontside and backside temperature. The air flow performance of 'MeanGa' and 'ChimJun' type buildings were 1.65~2.96n/h and 0.63~2.14n/h compared with 0.13~0.32n/h of modem apartments, which shows controlling air flow performance was more flexible in traditional palaces than In modem buildings. Natural ventilation occurred fluently with different wind directions. The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 was 10~14℃, which means gravity ventilation is possible. I purposed ideas to modernize traditional architecture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based on the study.

      • KCI등재

        해수(海水)로부터 희유금속(稀有金屬) 회수(回收) 연구동향(硏究動向)

        김종헌,노경란,상우,최성배,길상철,Kim, Jong-Heon,Noh, Kyung-Ran,Kim, Sang-Woo,Choi, Sung-Bae,Kil, Sang-Cheol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6

        Marine mineral resources are classified into submarine and seawater mineral resources. In seawater, huge amounts of useful minerals, such as uranium, lithium, magnesium, aluminum, zinc, iron, silver, copper, vanadium, nickel, titanium and cobalt are present. If the rare metals recovery technology from seawater is develope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precess will be possible. For the 21st century, countries rich in resoures tend to weaponize the resources, according to the depletion of reserves and quality degradation of metal resources in the land. Therefore, Korea that relies on imports for most of the metal resources, should focus on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rare metals recovery technology from seawater by using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that is on three sea-sides. 해양광물자원은 크게 해저면에 부존되어 있는 해저광물자원과 해수 중에 녹아 있는 해수광물자원으로 대별된다. 해수에는 막대한 양의 유용광물이 녹아 있어 회수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상업화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21세기에 들어 육상금속자원의 저품위화 및 매장량 고갈에 따라 자원 보유국들이 자원을 무기화 하는 경향이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금속자원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특성을 살려 해수로부터 희유금속 회수기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해수로부터 희유금속 회수관련 논문분석 결과, 미국이 495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양적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기관별로 보면 Chinese Acad. Sci.가 152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양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31편의 논문을 게재한 Univ. Oxford는 질적으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