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정은 한국응용언어학회 2024 응용 언어학 Vol.40 No.1
Recognizing the emerging research trend that centers on the dynamic interaction among learners’ emotions and L2 learning, this study explores the intricate relationships between learners’ positive (enjoyment) and negative (anxiety and boredom) emotions and their impact on L2 oral proficiency. The research involved 40 colleg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 students who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their levels of enjoyment, anxiety, and boredom in L2 learning. The participants' oral proficiency was evaluated using Speechace, an AI-based platform employing speech recognition technology for automatic assessment of spoken language. Statistical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L2 learning enjoyment (FLE) and boredom (FLB), with boredom emerging as an important predictor for L2 oral proficiency.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ere validated through path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omplex interplay of emotions in L2 learning and their influence on oral proficiency, contributing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language acquisition.
직업군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박희현 한국인간발달학회 2011 人間發達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직업군인의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기 외로움과 자기상으로 본 심리사회적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직업군인의 중․고등학생 자녀 326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직업군인 자녀가 지각한 부모 각각의 불신행동은 외로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심과 가르침의 양육행동은 외로움을 해소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불신행동은 자기상으로 본 심리적 발달 요인에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족 및 친구관계, 대처능력과 신체상 등 사회적 발달 영역에도 부정적인 자기상을 갖도록 하였다. 그러나 지각된 부모의 관심 행동은 정서상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인 아버지의 존중 행동은 친구관계를 제외한 모든 사회적 발달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부모 모두의 관심행동은 가족관계와 적응력에 긍정적 발달을 돕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군인의 부모 양육행동은 자아정체감의 형성시기인 청소년기 자녀의 외로움과 전반적인 심리사회적 발달 영역의 자기상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입증되었다.
A Genome-Wide Comparison of NB-LRR Type of Resistance Gene Analogs (RGA) in the Plant Kingdom
김정은,허철구,임찬주,Bong-Woo Lee,Jae-Pil Choi,Sang-Keun Oh,Raza Ahmad,권석윤,Jisook Ahn 한국분자세포생물학회 2012 Molecules and cells Vol.33 No.4
Plants express resistance (R) genes to recognize invad-ers and prevent the spread of pathogens. To analyze nucleotide binding site, leucine-rich repeat (NB-LRR) genes, we constructed a fast pipeline to predict and classify the R gene analogs (RGAs) by applying in-house matrices. With predicted ~37,000 RGAs, we can directly compare RGA contents across entire plant lineages, from green algae to flowering plants. We focused on the highly divergent NB-LRRs in land plants following the emergence of mosses. We identified entire loss of Toll/Interleukin-1 receptor, NB-LRR (TNL) in Poaceae family of monocots and interestingly from Mimulus guttatus (a dicot), which leads to the possibility of species-specific TNL loss in other sequen-ced flowering plants. Using RGA maps, we have elucida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cluster sizes of NB-LRRs and their numbers. The cluster members were observed to consist of the same class of NB-LRRs or their variants, which were probably generated from a single locus for an R gene. Our website (http://sol.kribb.re.kr/PRGA/), called plant resistance gene analog (PRGA), provides useful infor-mation, such as RGA annotations, tools for predicting RGAs, and analyzing domain profiles. Therefore, PRGA provides new insights into R-gene evolution and is useful in applying RGA as markers in breeding and or systematic studies.
지체장애인의 론볼 참여동기와 참여의미에 관한 근거이론적 접근
김정은,박진우,이현수,최유경 한국특수체육학회 2024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 방법을 통해 지체장애인의 론볼 참여동기와 참여의미에 대하여 현장중심적으로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론적 표본추출(Theoretical sampling)을 통해 B시에 있는 론볼 동호회의 회원 중 지체장애를 가졌으며 활동 기간이 1년이 넘은 성인 8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결과는 Strauss와 Corbin(1990)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개념 도출 및 패러다임을 구성하고 상황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방코딩 결과 21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이를 다시 56개의 하위 범주로 구성하였으며, 하위범주는 15개의 상위 범주로 최종 범주화하였다. 인과적 조건의 범주로 ‘다양한 경로를 통한 론볼 입문’으로 확인되었다. 맥락적 조건의 범주는 ‘경제적 부담’, ‘환경의 제약’, ‘신체장애제약’, ‘참여의제한성’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하는 역할인 중재적 조건은 ‘접근성이 좋은 운동’, ‘경기 참여를 통한 성장’, ‘평등하고 공평한 운동’으로 도출되었으며, 중심현상을 대처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긍정적 변화’, ‘동료와의 관계를 통한 사회성 발달’, ‘가족 및 지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에 따른 결과로 ‘확실한 목표 의식’, ‘역할에 대한 책임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분석과정을 통해 ‘소수의 제한적 참여와 부족한 인지도’로 핵심범주를 도출하였고, 그에 따른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지체장애인, 론볼, 참여동기, 참여의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motivation and significance of participation in lawn bowling for individua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1990). The study specifically aims to employ theoretical sampling to select 8 adult members with physical disabilities, who have been actively involved in a lawn bowling club in City B for more than a year. Apply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results involve concept extraction, paradigm construction, and the development of a situational model. A total of 217 concepts were extracted through open coding, which were then organized into 56 subcategories. These subcategories were further grouped into 15 higher-order categories. The category of causal conditions confirmed as 'Entry into lawn bowling through various paths.' Contextual conditions emerged as 'Economic burden,' 'Environmental constraints,' 'Physical disability constraints,' and 'Constraints on participation.' Mediating conditions, playing a role in promoting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were identified as 'Accessible sports facilities,' 'Personal growth through game participation,' and 'Equal and fair sport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for coping with the central phenomenon included 'Positive changes,' 'Social development through relationships with peers,' and 'Family and friends.' The resulting core category was identified as 'Clear goal awarenes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 role.'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e core category of 'Limited participation by a minority and lack of awareness' was derived, leading to the presentation of a corresponding situational model. key word : Physical Disabilities, LawnBall, Participation Motivation, Meaning of Participation
한국 이주민 구술설화의 상징적 표상을 매개로 한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의 문화교육 -『다문화 구비문학대계』를 활용한 설화연구의 확장을 위하여
김정은 한국구비문학회 2023 口碑文學硏究 Vol.- No.68
This study aims to propose cultural education for foste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which increases understanding and empathy for one’s own and other cultures, by utilizing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Multicultural Oral Literature, an account of immigrants in Korea narrating oral folktales from their homeland in Korean. In the folktales in The Comprehensive Collection of Multicultural Oral Literature, immigrants affirm the identity of their mother country, but vividly reveal the image of cultural mediators who actively share the cultural universality or similarity between Korea and their mother country. In addition, this collection shows how intercultural sensitivity, through which one can enjoy and respect each other’s cultural differences, is enhanced as immigrants of various nationalities narrate the folktales of their mother countries in a multinational storytelling scene.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unfamiliar motifs in these folktales provides an experience of each country’s unique culture, while communicating the values of life. The ideas about the identity of these two cultures expands the thinking of immigrants, who were limited by Western modern standards, cultural chauvinism, and materialism, by presenting disparate motifs symbolizing the unfamiliar culture of their mother countries. This is shown through the Russian immigrants’ folktale The Daughter Who Married the Water God Badynoi. In the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the importance of cultural education to generate cultural empathy and respect for others is shown through a four-stage process by utilizing examples from the Korean folktale “Jangja Pond” and the Vietnamese folktale “Ba Be Lake” with symbolic representations.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 -
김정은,고관우 한국사회복지학회 2023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3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있어,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의 관계를 분석하고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을 이끄는 선행요인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5세부터 10세 사이의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 323명의 설문자료를 SPSS 29.0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교육 경험이 많을 수록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아동권인리인식 수준이 높았으며, 아동권리협약 인지수준이 높을수록 온정·격려 양육행동과 양육효능감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온정·격려 및 한계설정 양육행동이 높아지며, 과보호·허용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이 낮아졌다. 또한 어머니의 아동권리인식은 온정·격려 양육행동 수준을 높이며, 과보호·허용양육행동을 낮추는 등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은 긍정적이고 합리적인 양육행동을 수준을 높이고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의 관계에서 아동권리인식은 온정·격려 양육행동에 부분매개하였고, 과보호·허용 양육행동에는 완전 매개하였으며 한계설정 및 거부·방임 양육행동에는 매개효과가 없었다. 즉 양육효능감은 아동권리 인식을 매개로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수준을 높이고, 양육효능감이 낮더라도 아동권리인식을 매개로 부정적인 양육행동 수준이 낮아짐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긍정적인 양육행동 실천을 위해서는 양육효능감과 아동권리인식을 높여야하고 이를 위해 부모교육이 주기적으로 진행되고 특히 아동권리협약과 관련된 교육이 추가되어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