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업통신의 선진화를 위한 SSB 무선데이타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김정년(Jeong-Nyun Kim),조학현(Hag-Hyun J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8 No.5

        해양수산부에서는 어업분야의 선진화를 위하여 어로활동의 현황파악 및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어업정보화의 발전방향을 설정하여 해양자원 관리 및 활용성 제고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화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어업통신의 정보화는 전산화되는 자료가 원격지 여부에 관계없이 자료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전산화-정보통망-이용자서비스 까지를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선용 VMS(Vessel Monitoring System)를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으로 기존의 SSB(Single Side Band)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용비 부담이 없는 HF(Vessel Monitoring System)를 SSB 통신에 의한 어선의 어업통신망의 구성 및 무선통신망 프로토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have plaining the advancing fishery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for the fishing present condition, marine resource administration and applicability considering. The fishe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build as to the raw data & process-network-content. Th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small size, low cost and adapted SSB transceiver, that is using fishery shipping. In this paper We present digit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for fishery and safety between fishing ship and coast station in cheeper communication fee using SSB in HF band.

      • KCI등재
      • KCI등재

        어업의 선진화를 위한 디지털 어업통신망에 대한 연구

        김정년(Jeong-Nyun Kim),노창균(Chang-Gyun Noh),조학현(Hag-Hyun J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3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27 No.4

        국제적으로는 한ㆍ일, 한ㆍ중 어업협정의 체결로 인한 주변국과의 어업협상력 제고 및 국내적으로는 IMF체제를 겪으면서 어업경영에 있어서 어업의 존폐위기를 몰고오는등 국내외 사정이 무엇인가 일대 혁신을 요구하는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어업분야의 선진화를 위하여 어로활동의 현황파악 및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어업정보화의 발전방향을 설정하여 해양자원관리 및 활용성 제고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화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어업통신의 정보화는 전산화되는 자료가 원격지 여부에 관계없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전산화-정보통신망-이용자 서비스까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해상이동체인 어선들을 상대로 정보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으로 기존의 SSB 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용비의 부담이 HF SSB통신에 의한 어선의 어업통신망의 구축을 위하여 어업정보화의 환경, 디지털 어업정보 통신망의 구성 및 무선모뎀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It’s bout time we had to think an alternative to recover our insufficient fishery market caused by IMF locally as well as the fishery agreement on Japan and China.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e & Fisheries have planning the advancing fishery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for the fishing present condition, marine resource administration and applicability consideration. The fishe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build up to the raw data & process-network-content. Th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small size, exchange information for fishery and safety between fishing ship and coast station in cheeper communication fee using SSB(Single Side Band) in HF(High Frequency) band.

      • KCI등재후보

        디지털 어업통신망을 위한 어선용 단말기 구현 방안 연구

        김정년,Kim Jeong-n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4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8 No.8

        어업분야의 선진화를 위하여 해양수산분야의 현황파악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어업정보화의 발전방향을 설정하고 다양한 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여 해양자원관리 및 활용성 제고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화 기반을 조성해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어업통신의 정보화가 필수적일 것이다. 해상이동체인 어선들을 상대로 정보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통신수단에는 위성통신망이 있으나 장기적으로 사용시 막대한 통화료 부담이 있으므로 영세한 어업인들에게는 도입될 희망이 없다고 보아도 무방하며, 최적의 방안으로 기존의 SSB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운용비 부담이 없는 HF대 SSB통신에 의한 어업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육상의 해안국에서는 정보시스템 운영의 기본체계인 무선 송·수신소 구축 및 무선통신망 프로토콜에 의한 무선데이타 통신시스템이 갖추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어선에는 무선데이타 통신을 하기 위한 단말장치가 필수적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 시스템에 GPS를 연동하여 이동하는 어선이 실시간에 자동으로 위치를 송출하고, 해상기상, 엇가 및 해황 등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어선용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o advance fisheries, we set developmental directions of fishery information by grasping present situations and analyzing maritime & fisheries issues. We promote various policies through effective systematical information data bases, based on both control and utilization of oceanic resources. For these puposes, it is imperative that we set up fisheries communication networks. There are satellite assisted informational networks to assist fishing vessels with their marine based movements. However, there's no hope for poorly equipped fishermen to adopt this network because of extravagant network call charges. So we think that using existing SSB communication system is the best plan. We organize fishery communication network by HF SSB communication which doesn't have operational costs. We build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stations that are basic systems of informnation, and equip wireless data communication systems by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rotocols in coastal stations. It is necessary that a fish boat has a terminal device for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n this research we can conclude that if we transmit the location of a fishing boat in-real time through GPS channels then we propose that some methods be formulated to able terminal devices on fishing boats to collect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such as meteorological and oceanic conditions.

      • KCI등재

        VHF-DSC 위치요청 프로토콜 분석과 선박관제시스템 구축

        김정년,Kim, Jeong-N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12

        선박안전법과 어선법 개정에 따른 어선의 VHF(Very High Frequency) 무선설비와 위치자동발신장치 설치 의무화에 대비하여 수협중앙회 어업정보통신국에서는 VHF통신망과 어선관제를 위한 위치자동발신장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기능을 이용한 위치요청 호출의 프로토콜 분석과 선박위치 추적에 대한 최적의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어선관제시스템 구현과 모니터링 방법에 대한 기술을 제시한다. In preperation for the compulsory installation of VHF(Very High Frequency) wireless equipment and fishing vessel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The Ships Safety Act" and "Fishing Vessel act", Fishery Information & Communication Department of National Federation of Fisheries Cooperatives is building VHF communication network and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for fishing vessel monitoring. This study suggests the protocol analysis for the calling of location requirement using DSC(Digital Selective Calling) function and show best way for fishing vessel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lso, it suggest way to realize fishing vessel monitoring system.

      • 어업통신의 선진화를 위한 SSB무선데이타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

        김정년(Jeong-Nyun Kim),조학현(Hag-Hyun Jo)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 No.-

        해양수산부에서는 어업분야의 선진화를 위하여 어로활동의 현황파악 및 문제점을 실시간으로 분석하는 어업정보화의 발전방향을 설정하여 해양자원 관리 및 활용성 제고를 통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정보화 기반을 조성하고 있다. 어업통신의 정보화는 전산화되는 자료가 원격지 여부에 관계없이 필요한 사용자에게 공유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것으로 전산화-정보통신망-이용자서비스까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구축하여야 한다. 해상이동체인 어선들을 상대로 정보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최적의 방안으로 기존의 SSB통신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운용비 부담이 없는 HF대 SSB통신에 의한 어선의 어업통신망의 구성 및 무선통신망 프로토콜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have plaining the advancing fishery information integrated system for the fishing prsent condition, marine resource administration and applicability considering. The fishery information communication system is build up to the raw data & process-network-content. The communication system must be small size, low cost and adapted SSB transceiver, that is using fishery shipping. In this paper We present digital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exchange information for fishery and safety between fishing ship and coast station in cheeper communication fee using SSB in HF bana.

      • KCI등재
      • KCI등재

        디지털 SSB 모뎀 개발에 관한 연구

        김정년,Kim, Jeong-N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10

        SSB 무선모뎀은 데이터의 디지털 전압레벨을 가청주파수로 변환하는 변조와 역으로 가청주파수를 데이터의 디지털 전압레벨로 변환하는 복조과정을 거치는데 변 복조기는 하나의 DSP 칩을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SSB의 특성상 주파수가 변할 때 인접한 두 주기에서 왜곡이 발생하는데 이것은 음성통신방식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나 데이터 전송할 때는 심각한 영향을 준다. 다시 말하면 인접해 있는 2주기는 데이터 전송을 할 수 없다. 그래서 2-tone FSK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1비트를 보내기 위해 최소 3주기 이상을 보내야 한다. 그러므로, 고속전송을 위해서는 1개의 tone 신호를 보내는 변형된 위상지연 방식을 사용하여 모뎀을 구현하였다. 1200bps를 전송모드에서는 1.3kHz 심볼주파수에 지연시간 0과 $187{\mu}s$을 발생시켰고 2400bps 모드에서는 1.5kHz 심볼주파수에 0, $70{\mu}s,\;130{\mu}s$ 및 $200{\mu}s$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현하였다. 최고전송속도 3600bps 모드에서는 2.0kHz 심볼주파수에 0, $100{\mu}s,\;160{\mu}s$ 및 $250{\mu}s$의 지연시간을 두어 구현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SSB 모뎀을 구현하였으며 기존 독일의 PACTOR와 미국의 CLOVER계열의 스펙트럼과 비교했을 때 SSB 통과대역폭은 거의 비슷하였고 대역폭내의 신호대잡음비를 비교한 결과 본 연구 구현한 모뎀의 파형이 20dB정도 높은 이득으로 전송되는 우수한 특성을 보였다. 실제 전송시험 결과에서도 송수신 Platform에 데이터가 정확하게 수신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SSB modem performs the modulation process which converts the digital voltage level to the audible frequency band signal and the demodulation process which converts reversely the audible frequency signal to the digital voltage level. The modulator and the demodulator are implemented with a single DSP chip. Because of the SSB specific character, the distortion occurs when the frequency is changed. This distortion has no effect on voice communication but it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data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is impossible to send data stream with adjacent 2 periods. Therefore, in case of using 2-tone FSK, it is needed to send at least 3 periods to transmit 1 bit. Therefore we implemented the modem using modified phase-delay shift keying to transmit 1 tone signal for high speed transmission. In the 1200[bps] mode, it generates 0, $187{\mu}s$, delay time at 1.3kHz symbol frequency, and in the 2400[bps] mode, 0, $70{\mu}s\;130{\mu}s\;200{\mu}s$, delay time at 1.5kHz symbol frequency. Finally, in the maximum 3600[bps] mode, it generates 0, $100{\mu}s\;160{\mu}s\;250{\mu}s$ 2.0kHz symbol frequency. The measured results of the implemented SSB modem shows a good transfer functional characteristic by spectrum analyzer, almost same bandwidth in pass band and 20dB higher SNR comparing the emu FACTOR and American CLOVER and in the experimental transmitting test, we verified the transmitted data is received correctly in platform.

      • KCI등재

        전력선통신이 단파대 해상이동통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정년,최조천,조학현,Kim Jeong-nyun,Choi Jo-cheon,Jo Hag-hy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는 2005.7.1 시행 공포된 전파법 시행령 개정안 내용 중 전력선통신설비의 주파수 대 역이 $9kHz{\sim}450kHz$에서 그 상한선 범위가 30MHz까지 확대 시행됨과 관련하여 전력선통신설비가 단파대 무선통신에 혼신을 야기할 수 있음에 따라 그 영향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전력선통신설비를 운용함에 있어서 단파대 무선통신에 영향을 회피하기 위한 대책방안을 제안하는데 있다. 전력선통신의 운용주파수 확대와 관련하여 정보통신부 전파연구소에서 전력선통신이 단파대 무선통신의 혼신 여부에 대하여 측정 관찰해 왔으며 그 간섭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파수신기, 신호발생기 및 SINAD(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Meter를 사용한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무선(RF : Radio frequency) 환경에 적합한 측정 방법으로 기존의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환경에 의한 한계를 극복할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전력선통신설비가 단파대 해상이동통신에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보호구역을 설정 또는 해당 주파수에 대하여 운용금지하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무선통신환경을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하겠다. The revision of radio waves act, which took effect on July 1,2005, widened the bandwidth of PLC from $9kHz{\sim}450kHz$ to $9kHz{\sim}30MHz$. This high upper limit of frequency may cause the interference in HF wireless communications. From this point of view,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of whether-or-not the interference occurs and furthermore offer countermeasures to avoid it hereafter.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Radio Research Laboratory(MIC-RRL)has been researching for the interference and devoting themselves to turn out how much it affects to HF wireless communications since the revision took effect. This research suggests some estimation methods with receivers, signal generators, or SINAD(Signal to Noise and Distortion) Meter which is so suitable for the RF environment that we can overcome the existing limit to the EMC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focused on securing the environ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s by establishing the safety zone or suggesting the ways to prohibit the use of the bandwidth, which may cause serious interference, in order to minimize the effect of PLC on HF maritime mobile telecommunications.

      • KCI등재

        Pop-up식 전자태그와 재래식 태그로 알게된 한국 남해동부해역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이동

        이정훈 ( Jeong Hoon Lee ),김정년 ( Jung Nyun Kim ),이재봉 ( Jae Bong Lee ),최정화 ( Jung Hwa Choi ),문성용 ( Seong Yong Moon ),박준수 ( Junsu Park ),두남 ( Doo Nam Kim ) 한국어업기술학회 2015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1 No.4

        To estimate the movement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in the Korean Southeast Sea, three type tags were used. A total of 97 Pacific cod were tagged and released with either archival tags or conventional tags. Of these releases, commercial fishermen recovered thirteen conventional tags, and five of seven pop-up tags transmitted data to Argos satellites. Pacific cod began to move towards East Sea after release, and they spent most of their time at depths of 100 to 300m, water temperatures of 0.8 to 14.0℃. However, geographical ranges of their movement limited to area around the southern East Sea. Pacific cod attached conventional tag were recaptured near the release site(Jinhae Bay: main spawning ground) about one or two year after release. Data obtained from tagging investigations suggest that they migrated annually from spawning ground to habtat of the Korean Southeast S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