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지하옹벽 무지주 거푸집 사례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김재엽,김광희,이상우,손영진 한국건축시공학회 2009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9 No.4
Considering the entire critical path, underground works in construction projects occupy a large part of the total construction period, as well as a large part of the construction costs. Particularly in the downtown area, the scale of underground workhas been increasing every year. Currently, underground retaining walls, which are built at construction sites, require many skilled workers, and the works are being undertaken by means of the Euroform+Soldier system, which is quit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period. In order to complement this, forms made of new materials and new construction methods have been developed. Now more than ever, theshortening of construction periods and the reduction of construction costs is required. Considering this,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has tried to compare the Euroform+Soldier system, which has been the system most frequently used on construction sites, to the non-supporting form system, which has been used on the sites of civil engineering work. The result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although the Euroform+Soldier system was advantageous from the perspective of material costs, it was disadvantageous in terms of labor costs. It is thought that an additional study on a method for reducing the material costs is required, so as to revitalize the application of non-supporting forms to the construction site 건축공사에서 지하공사는 전체 주 공정으로 전체공기와 공사비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도심지의 경우 해마다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현장에서 시공하는 지하옹벽은 많은 기능 인력이 필요하고, 공사기간 측면에서도 불리한 유로폼+솔져시스템에 의하여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위해 신소재 거푸집과 신공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공사기간 단축과 원가 절감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 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유로폼+솔져시스템과 토목공사 현장에서 사용된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공법을 경제성 측면에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유로폼+솔져시스템이 재료비 측면에서는 유리하나, 노무비 측면에서는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무지주 거푸집의 현장 적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료비의 절감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upport Vector Machin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모델에 관한 연구
김재엽,박우열,Kim, Jae-Yeob,Park, U-Yeol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2
There is a greater importance for underground work designed and built in the urban areas when it comes to considering the cost-effectiveness and the period of construction commensurate with an increasing trend of skyscrapers. At this stage of underground work, it's extremely necessary to choose a proper earth retaining method. Therefore, the study has suggested the rational retaining wall method by developing the support vector machine(SVM) model as a tool to choose a proper retaining wall method applied at the stage of selecting the earth retaining method. In order to develop the SVM model, the binary SVM classifier is expanded into a multi-class classifier. and to present the feasibility of our SVM model, we considered 129 projects. Applying the 'SVM Model' developed in the study to the designing and developing stages of the earth retaining work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outcomes by decreasing any changes of design from implementing the earth retaining.
코로나 이후 국내대학 건축시공 분야의 온라인교육에 대한 학습자 요구 분석
김재엽,조민진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24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26 No.4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이후 국내대학의 온라인교육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전후 국내대학의 온라인교육의 변화를 분석했다. 2021년과 비교하여 2023년의 온라인강의의 비중은 66%에서 12%로 감소하였고, 대면 강의의 비중은 34%에서 88%로 증가하였다. 또한, 온라인교육을 경험한 학습자의 온라인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였다. 온라인강의가 필요하다는 응답은 온라인강의가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보다 약 3.8배 높았다. 강의방식별 선호도는 대면강의, 온라인(강의영상), 온라인(실시간)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온라인강의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online education in domestic universities after COVID-19. To this end, we analyzed changes in online education at domestic universities before and after COVID-19. Compared to 2021, the proportion of online lectures in 2023 decreased from 66% to 12%, and the proportion of face-to-face lectures increased from 34% to 88%. Additionally, the needs for online education of learn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education were analyzed. The response that online lectures were necessary was approximately 3.8 times higher than the response that online lectures were not necessary. Preferences by lecture method were in the following order: face-to-face lecture, online (lecture video), and online (real-time). It is analyzed that learners want to utilize online lectures appropriately.
미국 바이든 행정부의 ‘통합적 억지’ 전략: 배경과 특징, 한반도 안보에의 함의
김재엽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22 전략연구 Vol.29 No.3
미국과 중국의 강대국간 전략 경쟁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더 나아가 전 세계의 안보질서에서 핵심적인 현안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중국 군사력의 급속한 발전으로 미국이 냉전의 종식 이후 차지해 왔던 군사 부문의 우위가 약화, 잠식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미국은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을 계기로, 중국에 대한 군사적 우위, 역내에서의 방위 공약 제공 능력을 유지, 확보하기 위하여 ‘통합적 억지’ 전략을 추구하고 있다. 이는 ① 안보 위협의 유형, ② 전쟁 수행의 공간과 영역, ③ 현용 전력과 신종 군사기술, 그리고 ④ 동맹 및 우방 국가들과의 군사적 협력 등에서의 통합을 강조한다. 한국은 미국의 통합적 억지 전략이 한반도 안보에 가할 수 있는 영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그로 인한 기회는 최대한 현실화하면서 예상되는 도전은 억제 및 최소화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김재엽,박현만,이종응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8 전략연구 Vol.25 No.3
Pyeongyang has conducted the sixth nuclear test in 2017, and it isestimated that several missiles equipped with nuclear warhead are on theverge of deployment. It also has 1,000 strategic and tactical missiles capableof delivering chemical and biological weapons and WMDs. Thus, the current WMD threats of north Korea is a obstacle that must beeliminated not only for military action purpose in the entire koreanpeninsula but also for the preservation of peace in Northeast Asia. Accordingly, South Korean and U.S. authorities have been looking forcountermeasures in various ways related to north Korea's WMD issues. South Korea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PSI after the Cheonan incident andconducted the first South Korean-led combined PSI training on October 13and 14, 2010 with 15 major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southern sea infront of Busan. The action can be seen as South Korea's declaration of willingness toofficially block north Korea's WMD outflow to third countries andprolif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at the same time this demonstrate that Seoul's and Washington's willingness to take firm militaryaction against Pyeongyang's WMDs. Furthermore, our military is making various efforts such as developingoperational plans, conducting combined exercise with U.S., researchingoperational procedures, and so forth to counter against north Korea's WMDthreats. However, there are some difficulties remained in implementing 'theinterdiction of WMD proliferation' since the countermeasures for WMD hasbeen mostly focused around the WMD elimination operations. Therefore, Iwould like to set up the concept of 'the interdiction of WMD proliferation'and suggest operational concept for each operational level so that followingstudies on 'the interdiction of WMD proliferation' can be provided with arough direction and a condition for mission performance. 북한은 '18년 4월 27일 제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선언을 하고 꼭한 달 뒤인 '18년 5월 26일 제2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관계에 평화의 바람이 부는 듯하다. 하지만 지난 '17년에 6차 핵실험을 실시했으며, 핵탄두를 장착한 여러 종류의 핵미사일의 실전배치를 목전에 두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화학 및 생물학무기와 WMD를 투발할 수 있는 1,000여기의 전략·전술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처럼 현재 북한의 WMD 위협은 한반도 전역을 위한 군사작전과 나아가 전 세계와 동북아 평화유지를 위해 반드시 제거되어야 할 장애물이다. 이에 한·미 당국은 북한의 WMD 문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한국은 천안함 사건 이후 PSI 전면참여를 결정하고 '10년 10월 13~14일 부산 앞 남해상일대에서 15개 주요국이 참가한 가운데 최초 한국 주도의 연합 PSI 훈련을 실시하였다. 이는 한국이 북한의 WMD 확산 및 제 3국으로의 유출을 국제공조를 통해 공식적으로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며, 동시에 북한의 WMD에 대한 한·미의 확고한 군사적 대응의지를 보여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한 우리 군은 북한의 WMD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작전계획 발전, 한·미 연합훈련 실시,작전수행절차 연구 등의 노력을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WMD대응과 관련하여 WMD 제거작전 위주로 발전이 되어 『WMD 확산 차단』을 수행해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에『WMD 확산 차단』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작전 단계별 수행개념을 제시해 차후 『WMD 확산 차단』을 연구시 개략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임무수행을 위한 여건을 보장하고자 한다.
비핵(非核) 전력에 의한 확전우위의 달성: 주요 사례와 한국 안보에 대한 시사점
김재엽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8 전략연구 Vol.25 No.2
핵무기는 지난 70여년 동안 국제정치, 군사 부문에서 가장 지배적인 수단으로 인정받아왔다. 그러나 동시에 핵무기는 특유의 압도적인 파괴, 살상 능력으로 인해, 국제분쟁에서는그 사용이 억제되어 온 것이 엄연한 사실이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핵무장국 사이의 무력 분쟁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국가들이 핵무기의 사용을 최대한 회피하면서, 스스로의 이익을 관철시키기 위해 제한적인 무력 분쟁을 시도할 가능성을 열었다. 이에 따라 국제분쟁의 통제, 종결을 위한 정치·군사적인 주도권, 즉 확전우위를 달성하는 데 비핵(즉, 재래식) 군사력은 여전히 그 중요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1980년대 미국과 북대서양 조약기구(NATO)의 ‘공지전투’, 인도의 ‘콜드 스타트’ 전략은 그 대표적 사례다. 한국 역시 북한이 핵무기의 사용을 위협, 실행하기에 앞서 다양한 유형의 도발을 가할 수있음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는 미국에 의한 핵우산 공약의 실효성 강화를 통해 북한의 핵무기 사용 위협을 직접적으로 억지 및 상쇄할 수 있는 능력을 유지, 보장하는 동시에, 재래식 군사력의 발전, 강화에 기초한 확전우위의 달성 능력 확보를 요구할 것이다. Over the past seven decades, nuclear weapons have been regarded as a dominant power in international politics and military affairs.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use of nuclear weapons has been restraint at international conflicts; due to its overwhelming power of destruction. Especially such a tendency has been predominant at armed conflicts among nuclear-armed states. It makes possible that states can resort to limited armed conflicts against each other to realize their own strategic goals, while minimizing the danger of using nuclear weapons. As a result, the utility of "non-nuclear" (in other words, "conventional") military power has proven to be still useful to achieve "escalation dominance"; defined as the politico-military initiative for the control and termination of international conflicts. AirLand Battle of the United States and North Atlantic Treaty Organizations (NATO) in 1980s and Cold Start Strategy of India are good examples. Korea also needs to pay attention that North Korea can pose diverse threats of provocations, even before the regime threatens or implements the use of nuclear weapons. Therefore Korea should bolster its capabilities for achieving escalation dominance, based on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conventional military power, as well as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nuclear umbrella commitment from the United States to directly deter and countervail North Korea's threat of using nuclear weapons.
김재엽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1
Sea-based nuclear forces, including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 (SLBM), can acquire a high level of survivability, which offers a huge politico-military initiative from war-fighting to war termination. Such a characteristic of sea-based nuclear forces can be exploited for offensive objectives like war aggression and military compellence, as well as for defensive objectives including war deterrence. As a result, strategic anti-submarine warfare, which includes detecting, trailing, and destroying hostile sea-based nuclear forces, represents a great importance on accomplishing and assuring war deterrence against a nuclear-armed enemy, not just a category of traditional naval operations. As North Korea is recently speeding up its SLBM development program, a military threat to Korea from sea-based nuclear forces is becoming more substantial. This will be a clear reason for Korea to acquire and enhance its capabilities for conducting an effective strategic anti-submarine warfar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do this, both Korea's own efforts and cooper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will be desperately needed. 잠수함 발사 탄도미사일(SLBM)을 비롯한 수중 배치 핵전력은 고도의 생존성을 바탕으로전쟁의 수행, 종결 과정에서 막대한 정치·군사적 주도권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전쟁 억지와 같은 방어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군사적인 침략, 강압처럼 공격적인 목적으로도 이용될수 있다. 이에 따라 수중 배치 핵전력에 대한 탐지, 추적, 파괴 임무의 수행을 포함하는 전략적 대잠전은 단순한 해군 작전의 차원을 넘어, 핵무기로 무장한 적에 대한 전쟁 억지를 달성, 보장하는 데 핵심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다. 북한이 빠른 속도로 SLBM의 개발, 배치를 진행시키면서, 한국에게 수중 배치 핵전력에의한 군사적 위협은 점차 실체화되는 추세다. 이는 한국이 전략적 대잠전의 수행 능력을 조속히 확보, 발전시켜야 할 근거가 될 것임에 분명하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의 독자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동맹 미국과의 공조도 필수적으로 요구될 것이다
이스라엘의 복합전 경험과 한국 안보에 대한 함의(含意)
김재엽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4 전략연구 Vol.- No.64
복합전이란 “정치적 목적의 달성을 위해 정규군 수준의 재래식 무기와 비정규전의 전술을 동시에,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무력 투쟁”으로 정의된다. 다른 비정규전 유형과는 달리, 복합전은 비(非)국가 집단, 중소국가를 비롯한 군사적 약자가 강자에게 정치적 의지, 요구를 강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중(重)무장 재래식 군사력의 제한적·적극적인 운용을 강조한다. 2006년 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가 이스라엘 영토에 대규모의 로켓 공격을 가하고, 이스라엘 육군의 진격을 효과적으로 저지한 것이 대표적 사례다. 이에 충격을 받은 이스라엘은 복합전 대응 능력의 확보, 발전을 위한 일련의 군사적 개혁을 단행하였고, 그 결과 2008~2009년 가자 전쟁에서 하마스를 상대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복합전 경험은 한국이 천안함 피격사건, 연평도 포격전을 통해 가시화된 북한의 복합전 위협을 억지, 격퇴할 수 있는 군사력의 건설, 발전을 추구하는 데 유용한 교훈을 제공할 것이다. Hybrid warfare is defined as ‘an armed conflict which employs conventional weapons and irregular tactics simultaneously and selectively to achieve political objectives’. Unlike other irregular warfares, hybrid warfare emphasizes a limited and active use of heavily-armed conventional military power for the weak, such as non-state organizations and small states, to compel the strong to accept its political will and intention. In 2006 Lebanon War, Hezbollah showed a textbook case of hybrid warfare by launching massive rocket attacks against Israeli territory and blocking Israel Army’s land operation effectively. Shocked by Hezbollah’s military success, Israel carried out a series of resolute reforms to improve military power against threat of hybrid warfare. Finally Israel showed off better capabilities to counter hybrid warfare by achieving an overwhelming victory over Hamas in 2008~2009 Gaza War. Experiences of Israel will offer useful military lessons for Korea to deter and defeat threat of hybrid warfare from North Korea such as sinking of ROKS Choenan and artillery battle of Yeonpyeong in 2010.
군 초급간부의 부대 내 관계갈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가족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김재엽,장대연,배성훈,서대민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20 한국가족복지학 Vol.25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effect of relationship conflict on burnout among military junior officers and 2)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Methods: We selected junior officers with under 5 years of service from the Air Force, Navy, and Army in the Military and conduc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targeting the participa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starting on 1 June, 2017. We were able to collect a total of 1000 responses and questionnaire results from 82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SPSS. 25.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ults: First, 20.2 percent of junior officers responded that they had experienced relationship conflict in their unit. Second, among the control variables, the worse th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And the burnout level of officers was higher than that of NCOs. Third, relationship conflicts have an effect on burnout among junior officer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on burnout was verifi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social work-based interventions in the military for junior officers who experienced relationship conflict and burn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