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마트폰 기술을 이용한 건축공사 안전관리 어플리케이션 모델 개발

        김재엽 忠州大學校 2012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7 No.-

        Recently, as the technology based on ubiquitous has been improved following the U Korea strategies of the IT industry in Korea, the application technology using smart phones has begun to stand out in the entire industries. However, there are no organized systems and techniques for safety management of construc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s at suggesting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model’ using smart phones for rapid and efficient safety management. For the investigation,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existing application of ubiquitous technology to the construction field were analyzed with the standard of frame construction 1 cycle with great importance and higher rate of accidents among different work types at construction site. Afterwards, the actual condition and problems of present safety management system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by professionals at the site. Based on the problems, S-App model, the safety management application using smart phones, was suggested. On the ground of this, S-App was introduced to the safety management schedule of a typical construction site in Korea a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 KCI등재

        군(軍)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효과 검증

        김재엽,장대연,서정열 한국군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군사회복지학 Vol.11 No.1

        본 연구는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육군, 해군, 공군 5년차 이하의 부사관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지각된 직무불안정성, 우울, 사회적 유대감 등을 묻는 질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17년 6월부터 2개월간 진행되었으며 436명의 응답을 최종적으로 획득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 다중회귀분석을 위해 SPSS 24.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급 부사관의 30.7%가 직무불안정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35.2%가 우울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통제변수로 선정한 군 유형, 병과, 복무형태는 우울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건강상태만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수인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은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대감은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유대감이 높을수록 직무불안정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이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급 부사관의 직무불안정성과 우울을 해소할 수 있는 군 정책의 실질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1)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Insecurity on Depression of Junior NCOs and 2)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We selected Junior NCOs under 5 years service term from Army, Navy, Air Force in Military and conduct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s on the participants. The study was conducted for two months starting in June, 2017 and we were able to collect a total of 436 responses. With SPSS 24.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and the result follows. First, 30.7 percent of Junior NCOs responded that they feel Job Insecurity nowadays. Second, Military type, branch of the service, long/short term of Control Variable did not affect depression, but Subjective health had relation with depression. Third, Job Insecurity has an effect on Depression of Junior NCO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onnectedness on Depress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 practical and policy-based interventions for Junior NCOs experiencing Job Insecurity and Depression.

      • KCI등재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

        김재엽,장용언,민지아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7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school violence to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defines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For this study, 683 students were surveyed from 3 middle schools in Seodaemun area, Seoul, Korea. Descriptive analysis and Multiple-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test research hypothe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355 students(56.2%) out of 683 reported that they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for the past 1 year. Second, it demonstrated that adolescents who had not experienced school violence showed higher level of school adjustment and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an adolescents who had experienced school violence. Third,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violence and school adjustment. Fourth,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and parent-child communication. Fifth, parent-child communication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research propose practical social work interven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서울시 서대문구에서 진행한 학교폭력ㆍ성폭력 Free-Zone 사업 을 수행한 2개 중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 결과분석에는 683명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기술통계분석과 연구모형 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683명 중 355명(56.2%)이 지난 1년간 학교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적응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학교폭력 피해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없는 청소년이 학교적응과 긍정적 의사소통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폭력 피해경험은 학교적응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수 중에서는 학업스트레스가 부적, 친구지지 및 교사지지가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폭력 피해경험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경망과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선정에 관한 연구

        김재엽,김광희,박우열 대한건축학회 2006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2 No.5

        This study was intended to show the system, based on neural network and case-based reasoning(CBR), to help choose a proper earth retaining method to be applied at the stages of designing and construction-planning of earth retaining work. The new approach in selecting a proper earth retaining method can be an alternative to the present method of the subjective decision-making process because this system is able to keep track of all data recorded in the past and to give a professional analysis at the stage of method-choosing process. Applying the neural network model and the CBR model to earth retaining method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clarifying possible factors to cause the design change as well as improving the viability of the overall construction work.

      • KCI등재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의 공격성 및 폭력행동과의 관계

        김재엽,정윤경 한국청소년학회 2007 청소년학연구 Vol.14 No.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practice and parent abuse and school violence in adolescent. To test this, 482 students were sampled from third grade in middle to first grade in high school in Seoul. Among them, 25.2%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used verbal or physical violence toward their parent and 63.7% students had used violence in school for last one year. Adolescent's reports of parental reje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aggression and adolescents who perceived higher level of parental rejection reported more being involved in parent abuse and school violence. In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partial mediation for parenting practice on parent abuse was determined, as well as complete mediation for parenting practice on school violenc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 discussion extended to the implication of an invention that decrease the violent behaviors in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폭력행동 중 부모폭력과 학교폭력을 중심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에서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지난 1년간 부모에게 언어적 또는 신체적으로 한 번 이상 폭력을 행사한 청소년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25.2%, 학교폭력은 63.7%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청소년 자녀의 폭력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거부적이라고 인지하는 청소년들이 부모폭력과 학교폭력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부모폭력에 직접적, 그리고 공격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공격성의 두 변수 중에서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부모폭력에 더 큰 영향력을 가진 변수로 나타났다. 부모 양육태도와 학교폭력의 관계에서의 공격성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부모 양육태도의 직접 영향력은 없었고 공격성을 매개로 한 영향력만이 유의하게 나타나 공격성이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폭력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천적 개입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도전과 미국의 군사적 응전: 공해전투에서 다중영역전투까지

        김재엽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2019 한국군사학논집 Vol.75 No.1

        2010년대 이래 중국이 정치·군사적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미국의 패권에 기반을 둔 동아시아 지역의 안보질서는 도전에 직면하게 되었다. 특히 중국이 동아시아에 대한 미국의 군사적 개입을 좌절시키기 위한 반(反)접근·지역거부 능력을 강화, 발전시키면서, 이러한 우려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에 미국은 2010년대 초 해·공군력을 중심으로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위협을 분쇄하는 공해전투를 제시했다. 그러나 공해전투는 중국과의 확전 위험을 높여 동아시아에서 전략적 불안정을 가중시킬 것이라는 비판에 직면했다. 2016년부터 미 육군이 추진하고 있는 다중영역전투는 지상 배치 전투력의 해·공역 투사(投射)를 통해 중국의 반(反)접근·지역거부 위협을 극복, 상쇄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한국도 향후 예상되는 중국과의 군사적 분쟁에 대응하기 위한 독자적인, 혹은 주한미군을 포함하는 한미 연합전력 차원의 노력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도록, 다중영역전투의 효용성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As China has become a dominant politico-military power, regional security order in East Asia, which heavily relied on hegemony of the U.S., is facing a growing strategic challenges. Especially China's evolving military capabilities for Anti-access/Area Denial (A2/AD), which can discourage the U.S. military power for intervention toward East Asia, are heightening such concerns. In response, the U.S. sought to develop AirSea Battle concept, which pursued to destroy China's A2/AD threat by naval and aerospace power. However the idea of AirSea Battle was criticized for possible risk of escalating politico-military conflicts between the U.S. and China into a full-scale war. Later, Multi-domain Battle concept, pursued by the U.S. Army since 2016, is getting attention for emphasizing “combat power projection from land into maritime and aerial domain" to overcome A2/AD challenges from China. Korea also needs to closely study the utility of Multi-domain Battle 1) to cope with the possibility of military contest with China; and 2) to prepare restructuring of allied defense posture with the U.S., including reshaping missions and force structure of the U.S. troops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청소년의 음란물 이용이 성폭력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재엽,최선아,임정수,Kim, Jae Yop,Choi, Sunah,Lim, Jeong Su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on their subsequent violent sexual behavior, and to ascertai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support.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sample of 2,087 Korean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a descriptive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Poisson regression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A Poisson regression was performed because the dependent variable, violent sexual behavior, was measured b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nd most responses were distributed at '0', indicating a non-normal distribu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8.1% of adolescents admitted to having sexually violent experiences over the past year, with a relatively high rate of sexual harassment. Secondly, 53.3% of adolescents had used pornography over the past couple of year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use occurring via the Internet. Finally, pornography use among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and direct impact on their sexually violent behavior, with family support playing a moderating role. This indicated that, for adolescents with a high level of family support, the impact of pornography usage on sexually violent behavior decreased.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s to prevent sexually violent behavior by adolescents.

      • 통합발주체계 도입을 위한 한국형 다자간계약 모델 개발

        김재엽 한국교통대학교 2014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49 No.-

        In carrying on modern construction projects, people have made effort in enhancing productivity of industry through collaboration in the early stage of projects because they have become larger and more complicated and promoting management efficiency and value increasing. Recently, since the integrated project delivery (IPD) was presented by the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it has been becoming a new paradigm. IPD is a management method where the participants carrying on the projects operate them by integrating such projects on the whole from the early stage of design to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This paper analyzes multi-party agreements and their guidelines of three types of documents: AGC-ConsensusDOCS of USA and CIB-The Latham Report of England based on AIA-C191 of USA.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is to identify their merits in common and suggest Korean style new model of multi-party agreement by strengthening existing mutual cooperation of the parties that is shown in customary practice in entering into agreements in Korea-stronger-weaker relationship and nepotism.

      • KCI등재

        부모간 폭력 목격 청소년의 아르바이트 경험과 학교폭력가해행동간의 관계

        김재엽,김희진,송아영,장용언 한국청소년학회 2009 청소년학연구 Vol.16 No.10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youth's part time work experience to their aggressive behavior at school and it tries to define moderating effect of parent-child interac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1,140 adolescents from the third year in middle school to the second year in high school within Seoul and Kyung-gy provinces. 25.5% of the respondents report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job during the last 1-year period. Adolescents' part time work experience turned out to have effect on violence behavior in school. Adolescents who had working-experience were more prone to have higher school violence rates than adolescent groups who did not have any work experience. And, in the marital violence witnessing-experienced adolescence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had moderating effect within the relationship of adolescents' part-time work experience and school violenc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hould strengthen our legal system and control on illegitimate employment. To reduce the adolescents' school violence, programmes for improving parent-child interaction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of adolescent employment by removing harmful factors of labor environment. 본 연구는 부모간폭력 목격 청소년을 중심으로 아르바이트 경험이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 영향을 완충시킬 수 있는 변수로서 부모와의 상호작용을 선택하여 그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어떠한 형태로든 지난 1년간 아르바이트에 참여한 청소년은 25.5%였다. 이 중 부모간폭력 목격 경험이 있는 청소년은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학교폭력가해행동을 더 많이 행사하며 아르바이트의 부정적인 경험은 이를 더 강화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부모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있는 청소년의 경우 아르바이트를 통하여 부정적인 영향을 받게 되더라도 이를 조절함으로써 학교폭력을 행사할 가능성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아르바이트에 개입하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