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코로나19 시기 알아차림에 기반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심심풀이M3) 만족도와 활용방안 연구

        김자옥(Ja-Ok Kim),윤기호(Ki-Ho Yoon),송준혁(Jun-Hyuk Song),장진영(Jin-Young Jang)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2022 마음공부 Vol.5 No.-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알아차림에 기반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심심풀이M3) 만족도와 활용방안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21년 심심풀이M3를 교육받은 참여자 1,983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WIN 23.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심심풀이M3 내용과 수준에 대한 만족도는 지도인의 태도가 친절하고 성실하다 95.14점으로 가장 높았고 지도인의 진행방법이 우수하다 93.30점, 교육내용의 양과 수준이 적절하다 92.86점, 프로그램 교육 내용이 유용하다 91.71점으로 나타났다. 심심풀이M3의 환경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프로그램 교육 장소는 적절하다. 92.43점, 프로그램 교육 시간은 적절하다 91.71점을 나타났다. 심심풀이M3성과에 대한 만족도는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할 의향이 있다 88점, 다시 참여할 의향이 있다 87.43점을 나타났다. 심심풀이M3는 코로나19 시기 정부의 감염병 수칙을 준수하면서 기존의 정형화된 12차시 심심풀이M3 교육과정에서 벗어나 감염병 상황을 고려하여 다양한 4-6차시 단기집중형 운영의 변화를 추구하였다. 코로나19 시기 다양한 방법으로 전환하여 진행한 심심풀이M3의 만족도는 7점 기준시 평균 6.44±1.03점, 100점 기준시 평균 92점으로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를 기반하여 심심풀이M3가 12차시의 기존의 교육과정을 통한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변화를 모색하여 4-6차시, 전일제, 반전일제 등 심심풀이M3의 본래의 고유성을 유지하면서 상황과 생애주기별에 맞는 다양한 형태로 심심풀이M3의 변화를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for the satisfaction and using of the mindfulness-based youth character education program (Simsim-puli M3) in the time of COVID-19.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83 participants who were trained in the SimSim-Puli M3 in 2021.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WIN 23.0 version.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and level of SimSim-Puli M3 was the highest with 95.14points indicating that the instructor's attitude was kind and sincere. 93.3points are excellent in the instructor's method, and 92.86points are appropriate in the amount and level of educational content. The content of the program education was useful, with a score of 91.71.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SimSim-Puli M3 showed that 92.43points were appropriate for the program training location and 91.71points for the appropriate program training time. Satisfaction with the boredom SimSim-Puli M3 performance showed a willingness to recommend to others at 88points an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again at 87.43points. SimSim-Puli M3 pursued a change in short-term intensive operation in various 4-6 ses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 situation, breaking away from the standard 12th session SimSim-Puli M3 curriculum while complying with the government’s infectious disease regulations during the COVID-19 period. Satisfaction with SimSim-Puli M3, which was performed by switching to various methods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very excellent with an average of 6.44±1.03points based on 7points and an average of 92points based on 100points.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imSim-Puli M3 is not limited to the youth character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existing curriculum of the 12th session, but seeks various types of changes to enhance the original uniqueness of SimSim-Puli M3, such as the 4th-6th session, full-time system, and half-time system. This study was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to search for changes in SimSim-Puli M3 in various forms suitable for the situation and life cycle while maintaining it.

      • 타임뱅크 방식의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김자옥(ja-ok Kim) 한국자원봉사학회 2022 한국사회와 자원봉사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타임뱅크 방식을 적용하여 만든 서울시자원봉사센터의 지역밀착형 자원봉사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자원봉사 활동과 관리에 관한 인식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서울시자원봉사센터에서 타임뱅크 운영방식을 적용한 ‘안녕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한 자원봉사 관리자 6명의 심층인터뷰를 통한 질적 내용분석을 사용하였다. 자원봉사 관리자의 참여경험은 4가지 범주로 자원봉사 환경변화에 적응, 쌍방향의 교류과정이 있는 자원봉사, 현장 욕구에 부응하는 연계 전략, 실질적 교류 성과 확인이라고 나타났다. 자원봉사 관리자는 타임뱅크 방식의 참여경험은 새로운 자원봉사 유형을 이루는 도전이고 세밀한 과정을 인식하는 과정으로 여기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ception of volunteer activities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oul Volunteer Center's community-based volunteer well-being network project created by applying the time bank method. As a research metho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as us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volunteer managers who participated in the ‘Hello Network Project’ to which the time bank operation method was applied at the Seoul Volunteer Center. Participation experiences of volunteer managers fall into four categories: adaptation to changes in the volunteering environment, volunteering with an interactive exchange process, linkage strategy to meet the needs of the field, and confirmation of practical exchange results. Volunteer managers consider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time bank method as a challenge to form a new type of volunteer work and a process of recognizing the detailed process.

      • KCI등재

        자활사업 참여경험에 관한 연구 : 자활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김자옥 ( Kim Jaok ),유태균 ( Yoo Taekyun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업 참여경험의 본질을 현상학적 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앙자활센터의 『2015년 고용·복지 연계를 통한 근로빈곤층의 자립지원 강화방안 프로젝트』 내 질적 자료인 전국 지역자활센터 참여자 48명의 심층인터뷰자료를 사용하여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214개의 의미 있는 진술 및 일반적인 재진술과 24개의 주제, 9개의 주제모음, 5개의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참여경험의 공통분모적 본질을 엿볼 수 있었다. 참여자의 자활사업 참여경험은 ‘강제된 근로활동’이고, ‘자활사업 내에서 소외’였으며, ‘위기만을 겨우 모면할 수 있는 일자리’라는 맥락적 본질을 보였다. 동시에 자활사업 참여경험은 ‘스스로의 삶에 변화를 위한 동기가 일어나는 기회’이고, ‘자립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디딤돌’이라는 본질이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활사업의 긍정적 기대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실천적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how participa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self-sufficiency projects were. To do this, we analyzed phenomenological methods using in-depth interview data of 48 participants from the Central Self-Sufficiency Foundation, which is qualitative data of the “Project for Strengthening Self-Support for the Working Poor”. The study revealed 214 meaningful statements and general re-statements, 24 themes, 9 themes cluster, and 5 categories. Participants' experience was found to be forced work, felt alienated from the self-sufficiency business, and could not receive a clear vision for the future. At the same tim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s an opportunity for motivation for change in one’s own life, and the essence of becoming a stepping stone to move forward for self-reliance has been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d a practical policy task to create a positive expectation effect.

      • SSCI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아로마 롤온흡입법이 간호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 타액 코티졸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Kim, In-Sook),강승주(Kang, Seung-Ju),김자옥(Kim, Ja 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12

        본 연구는 국가고시를 준비하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아로마 롤온흡입법을 이용하여 간호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타액 코티졸 및 피로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연구이다. 대상자는 N시와 G시 지역시 일개 간호대학생으로 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실험군 21명, 대조군 25명으로 총46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1년 10월 10일부터 11월 21일 까지 시행하였다. 아로마 롤온흡입법을 검정하기 위해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생활 스트레 스, 타액 코티졸 및 피로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8.0을 사용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 1가설 : “아로마 롤온흡 입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생활 스트레스가 감소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제 2가설 : “아로마 롤온흡입 법을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타액 코티졸이 감소 할 것이다.”는 기각되었다. 제 3가설 : “아로마 롤온흡입법 은 받은 실험군은 받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피로는 감소 할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아로마 롤온흡 입법이 간호사 국가고시를 앞둔 간호대학생의 피로에 효과가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을 위한 생활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간호 중재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method with roll-on on life stress, salivary cortisol and fatigue in nursing student preparing national examination for nursing licensure. Methods: The study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46 nursing students of which 21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to the control group.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10 to November 21, 2011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version program. The intervention was conducted 3 times a day for 6 week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ported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fatigue between the two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of salivary cortisol and life stress importance rat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Aroma inhalation method with roll-o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decrease life stress experience frequency and fatigue of nursing students with national examination for nursing licensure.

      • KCI등재

        농촌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신체상 및 자아존중감

        서해주(Suh, Hae Joo),김자옥(Kim, Ja Ok),김자숙(Kim, Ja Sook),김학선(Kim, Hack Sun),한수정(Han, Su Jeong),지혜련(Ji, Hye Ryeon) 대한근관절건강학회 2017 근관절건강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self-esteem of women in rural area. Methods: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A total of 90 women in the K rural area completed a questionnaire, including perceived health status, body image, and self-esteem. Data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mean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was 3.00 out of 5.00, body image was 2.50 out of 4.00, and self-esteem was 2.80 out of 4.00. There were statistical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body image (r=.41, p<.001), perceived health status and self-esteem (r=.34, p=.001), and body image and self-esteem (r=.48, p<.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and manageable program regarding to body image and self-esteem to improve perceived health status of women in rural area.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인터넷 사용행태와 인터넷 중독증과의 관계

        안영준,김자옥,문경래,Ahn, Young-Joon,Kim, Ja-Ok,Moon, Kyung-Rye 한국전자통신학회 2013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8 No.7

        인터넷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인터넷 중독증 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 되었으나 인터넷 중독증에 대한 임상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증을 파악하여 임상연구와 교육중재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확인하는 서술적 조사 연구로 광주광역시 2개의 중학교의 1,984명을 대상으로 자가 기입식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증은 전체 대상자의 11.8% 이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증은 성별, 종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고, 인터넷 사용 행태와 인터넷 중독증과의 관계에서는 인터넷 사용량 시간, 사용 시간대, 사용 장소, 성인 사이트 이용 행태, 사용 목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인터넷 중독성의 경중에 따라 의료진에게 정신과적인 상담과 약물 치료를 받거나 인터넷 바로 알고 유용하게 이용하기, 즐거운 활동과 꿈 찾기, 과거와 미래의 인생 곡선과 자신의 현재 욕구를 찾아 긍정적인 부분을 강화하면서 변화된 자신의 모습을 찾아보는 프로그램을 통해서 본인 스스로 인터넷 사용을 줄이고 싶은 동기를 내재화 시켜 인터넷 게임 지향적인 활동을 억제 할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사회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효과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수행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ternet addiction is a social problem occurring by overuse of internet. And internet addiction is associated with pathologic personality but clinic study about Internet addiction disorder is lack.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pattern of internet utilization.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1,984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 -Ju. We questioned about internet addiction, general characteristics, pattern of internet utilization. 11.8% of total number were internet addiction. Sex, religion, duration, time, place, obscene sites, most frequent using service is associated with internet addiction. Family number, occupation of parents, using internet in home, use of parents isn't associated with internet addiction. We show interest i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internet utilization about internet addiction. So we council youths about internet problem in accordance with this study results. Then internet addiction and other psychologic problem are decreased.

      • KCI등재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

        박순명,김자옥,김자숙,Park, Soon-myeong,Kim, Ja-Ok,Kim, Ja-Sook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설문지는 감사일기와 관련된 캠페인을 추진하고 있는 4개의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를 대상으로 총 485부를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단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노인요양병원 근무자들의 감사성향은 감사일기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사성향은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p<.01). 그러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노인요양병원 근무자의 감사성향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감사일기 경험의 조절효과를 규명하여 근무자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노인요양병원 인력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f geriatric hospital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gratitude diary experience. A total of 485 copies of the research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workers in four geriatric hospitals who are promoting campaigns related to the gratitude diary. For data processing, a simple or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6.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gratitude disposi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gratitude disposition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udit diary experienc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for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geriatric hospital employees and provide basic data on manpower management of geriatric hospit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