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족과 민족주의-겔너와 스미스를 중심으로-

        김인중 숭실사학회 2011 숭실사학 Vol.0 No.26

        민족과 민족주의-겔너와 스미스를 중심으로- 김 인 중 네이션(nation)과 내셔널리즘(nationalism)을 민족과 민족주의로 번역하는 것이 옳은가? 아니면 국민과 국민주의로 번역하는 것이 옳은가?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내셔널리즘 이론의 두 대표적 인물인 어네스트 겔너와 앤서니 스미스를 살펴보았다. 겔너와 스미스는 각기 근대론과 종족-상징론의 대표자로서 서로 입장을 달리 하지만, 사제지간이면서, 문화를 중요시한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그러나 겔너에게 문화는 근대적 고급문화를 의미하고, 스미스에게 문화는 주로 긴 역사를 통해 형성된 대중문화를 가리킨다는 차이가 있다. 겔너에게, 네이션은 자신들을 공동체로 존속시키려는 의지나 공유된 문화에 의해 정의되는 것이 아니라 오직 ‘내셔널리즘의 시대’에 의해서만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내셔널리즘의 시대’는 상당히 길고 또 지역에 따라 다르다. 즉 중부 및 중동부 유럽의 경우, 그것은 적어도 나폴레옹전쟁 후 유럽의 지도를 새로 그린 1815년 빈체제로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기간이 되고 내셔널리즘은 그 기간 중에 그곳에서 일어난 중요한 변화들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어야 한다. 한편, 스미스는 네이션을 이상형적으로 “이름을 가지고 있고 자기 스스로를 정의하는 인간 공동체로서, 그 구성원들은 공유된 신화, 기억, 상징, 가치, 전통을 키워가며, 유서 깊은 고향땅에 거주하고 그것과 하나가 되며, 독자적인 대중문화를 창조하고 유포시키며, 공유된 관습과 보통법을 준수”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이를 기반으로 여러 역사시기의 네이션들의 문화적 토대를 추적하려는 시도를 감행하면서 네이션과 내셔널리즘 출현에 관한 새로운 연대기를 제시한다. 이 두 이론가들의 연구를 토대로 우리가 제기한 문제에 대해 대답해보면, 첫째, 겔너가 설명하는 네이션을 우리말로 옮기는 것은 현재로서는 일단 불가능하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가 현재 사용하는 ‘민족’이나 ‘국민’이라는 용어는 우리 나름의 여러 사정으로 인해, 겔너가 요구하는 세 가지 측면을 동시에 다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국민보다는 민족이 앞으로 네이션에 가까운 의미를 갖게 될 가능성이 더 높다는 이유로 둘 가운데 민족이 더 바람직한 번역어라고 말 할 수 있다. 둘째, 네이션에 대한 스미스의 정의는 네이션을 ‘국민’으로 번역하는 것이 왜 불가능한지를 보여줌으로써 귀류법적으로 ‘민족’이 상대적으로 더 나은 번역어임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이 글은, ‘민족’을 ‘종족’과 ‘국민’의 중간적인 의미를 갖는 것으로 사용하자는 한 연구자의 제안을 받아들이되, 그가 제시한 이유들과는 조금 다른 이유들을 제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Anthony Smith. Kim, Lynn Joong Which is a more suitable word as the Korean translation of nation between ‘kookmin’ and ‘minjok’? To answer this question, We examined the theories of nation and nationalism of Ernest Gellner and Anthony Smith, representatives of so-called modernism and ethno-symbolism respectively in the study of nation and nationalism today. Both have a feature in common,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culture in nationalism. For Gellner, however, culture means the high culture(standardized, literacy-and education-based system of communication) of modernity, for Smith it means mainly public culture taking shape through long historical periods. Gellner insists that We cannot define nations as group which will themselves to persist as communities, or as shared cultures. Nations can be defined only in terms of the age of nationalism. And the age of nationalism is comparatively long and differs from one zone to another. On the other hand, Smith proposes the ideal-typical definition of the nation, as “a named and self-defined human community whose members cultivate shared myths, memories, symbols, values, and traditions, reside in and identify with a historical homeland, create and disseminate a distinctive public culture, and observe shared customs and common laws”. And he offers new annals of emergence of nation and nationalism, emphasizing the importance to separate the category of ‘nation’ from that of ‘nationalism’. On the basis of the studies of this two scholars, We can answer our question. Firstly, at the present moment, it is impossible to translate the nation in the Gellner’s sense into Korean. But between ‘kookmin’ and ‘minjok’, the latter has more possibility to become suitable word for translating nation in the future. Secondly, Smith’s definition of the nation gives the reason why ‘kookmin’ is not suitable word at all for translating the nation. So We arrive at the same conclusion as a researcher, who suggested ‘minjok’ as an suitable translation for the nation having a intermediate meaning between ‘jongjok’ (=ethnicity) and ‘kookmin’(=people), only giving another reason to do it.

      • KCI등재

        이사회 성별 다양성이 신용등급 및 신용등급 불일치에미치는 영향

        김인중,김수인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6

        [연구목적]본 연구에서는 기업 지배구조의 관점에서 이사회 성별 다양성과 신용등급 및 신용등급 불일치의 관계를 검증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분석을 위해 2013년에서 2021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여성CEO 및 여성 임원의 비율 및 존재여부와 신용등급과의 관계 및 신용등급 불일치와의 관계를 검증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3대 신용평가회사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사용하고, 이사회의 성별 다양성과 기업의 신용등급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내생성을 통제하기 위해 도구변수를 사용한 2단계 분석방법을 사용한다. [연구결과]분석 결과, 여성CEO나 여성 임원의 비율이 높거나 여성CEO나 여성 임원이 존재하는 기업의 경우 여성CEO나 여성 임원의 비율이 낮거나 여성CEO나 여성 임원이 존재하지 않는 기업에 비해 신용등급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신용등급의 불일치는 덜 나타났다. 여성 임원의 존재 유무를 기준으로 표본수를 성향점수 매칭한 분석 결과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성별 다양성이 신용등급과 신용등급 불일치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기업지배구조 관점에서 설명하여 한정되어 있는 기업평가나 회사채 발행시장과 관련된 회계학의 연구 범위를 확장한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임원의 선임 의무화가 시작된 시점에 여성 관련 연구의 범위를 지배구조와 연결하여 확장했다는데 공헌점이 있다. [Purpose]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gender diversity of board of directors on credit rating and rating disagreement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Methodology]We test whether the ratio or presence of female CEOs and female executives is associated with credit rating and credit rating disagreement for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the KOSDAQ market from 2013 to 2021. We use two-step analysis using instrument variable to control endogeneity that may exist between the gender diversity of the board and the credit ratings of the company. [Findings]We find that the ratio of female CEOs or female executives is higher, or that if female CEOs or female executives exist, the credit rating is higher and the credit rating disagreement is less. The results of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the presence of female executives are similar. [Implications]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literature of corporate valuation or corporate bond issuance market by explaining the impact of gender diversity on credit rating and credit rating disagre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corporate governance. In addition, this study has a contribution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women-related research by linking it with governance structure at the time when the mandatory appointment of female executives began.

      • KCI등재

        중요핵심기반시설(SCADA)에 대한 보안 관리 연구

        김인중,정윤정,고재영,원동호,Kim InJung,Chung YoonJung,Koh JaeYoung,Won Dongho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8C

        전력, 가스, 상하수도, 고속전철 등 국가에서 관리하는 중요핵심기반시설은 대부분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시설들이 사이버 테러 및 해킹, 바이러스 등 에 의하여 원격 조작 및 통제되는 경우 심각한 위험에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중요핵심기반시설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보호 관리기법을 수립해야 할 시점에 이르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자산, 위협/취약성, 위험도 계산 등의 위험분석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정보보호대책(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및 장애처리를 포함한 보안관리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미국, 일본 등 중요핵심기반시설에 대한 정보보호 관리 현황을 알아본다. Most of the national critical key infrastructure, such as power, piped gas and water supply facilities, or the high-speed railroad, is run on the SCADA system. Recently,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possibility of these facilities being attacked by cyber terrorists, hacking, or viruses. Thus, it is time to adopt the relevant security management techniques.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such security management techniques, including information protection measures and troubleshooting, based on a risk analysis process concerning assets, threats/vulnerability, and hazards, and to examine the security management status of critical key infrastructure in the U.S. and Japa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