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풍환자 1기 고혈압에 청혈단(淸血丹)의 항고혈압 효과

        김이동,이상호,은주,태훈,박영민,정동원,신원준,정우상,배형섭,윤상필,Kim, Lee-Dong,Lee, Sang-Ho,Kim, Eun-Ju,Kim, Tai-Hun,Park, Young-Min,Jung, Dong-Won,Shin, Won-Jun,Jung, Woo-Sang,Bae, Hyung-Sup,Yun, Sang-Pil 대한한방내과학회 2004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25 No.2

        Background and Purpose : Hypertension is one of the modifiable risk factors for stroke. Lowering blood pressure is a primary or secondary preventative measure for stroke.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efficacy of Chunghyul-dan(Qingxue-dan) in stage 1 hypertensive patients who have suffered a stroke by 24 hour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24ABPM). Subjects& Methods : We enrolled 40 hospitalized stroke patients with stage 1 hypertension and divided them into 2 groups by stratified randomization; group A took 1200mg of Chunghyul-dan(Qingxue-dan) at 8:00 a.m. for two weeks without changing herbal medicine, and group B was the control group. 28 pati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15 in group A. 13 in group B). Blood pressure is monitored from 8:00 am to 7:30 am every 30 minutes for 24 hours. Blood pressure was monitored two times at baseline and again two weeks later. We used 3 parameters for evaluating the efficacy of Chunghyul-dan(Qingxue-dan); The first parameter is change from baseline to two weeks later in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The second parameter is the trough/peak ratio(TPR) and smoothness index(SI). The third parameter is antihypertensive rate by antihypertensive efficacy guideline. Results :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eline assessment hetween the two groups. Systolic blood pressure $(141.37{\pm}8.96\;mmHg\;vs\;132.28{\pm}9.46\;mmHg)$ decreased after two weeks of 1200mg(P=0.03) intake of Chunghyul-dan(Qingxue-dan). Systolic TPR and SI was 0.87 and 1.04 in group A. Antihypertensive rate was higher in group A.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1200mg doses of Clunghyul-dan(Qingxue-dan) is an effective antihypertensive agent on stage 1 hypertension patients who have suffered a stroke.

      • KCI등재
      • KCI등재

        나라기록관 미소독 서고의 실내공기중 부유세균 조사

        수산,예은,노형진,이동,준영,안금란,성환 한국냄새환경학회 2021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Vol.20 No.1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indoor air quality of un-disinfected libraries used for paper records preservation, temperature, humidity, and bacterial concentration and species were investigated at five un-disinfected libraries from May to September in 2019 in the National Archives, Seoul (Nara Repository), Korea.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ll the five un-disinfected libraries were well maintained at 18-22oC and 40-55% in compliance with the National Archives Paper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Standard. Bacterial concentration ranged from 2 CFU/m3 up to 280 CFU/m3 which were lower than the Korean indoor air quality standard value. A total of 68 bacterial species belonging to 33 genera were identified from indoor air of the five un-disinfected libraries. Among the 33 genera, Bacillus, Micrococcus, and Staphylococcus were the major genera. Only Micrococcus yunnanensis, Roseomonas mucosa, and Moraxella osloensis were commonly found among the five un-disinfected libraries. Bacterial species producing colonies with color on TSA media were present. Among the 68 species, Bacillus circulans and B. megaterium known to produce cellulases were found. There were also 17 species which have harmful effect on human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ontinuous monitoring of air borne bacteria is necessary in the un-disinfected libraries used for paper records preservation.

      •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Kim) 개체군 특성

        소담 ( Sodam Kim ),이동형 ( Donghyoung Lee ),윤석민 ( Seokmin Yun ),휘민 ( Hwi-min Kim ),문애라 ( Ae-ra Moon ),상용 ( Sang Yong Kim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21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21 No.2

        특산식물(Endemic plants)은 어느 제한된 지역에만 생육하는 식물로 지리적으로 격리되고 전파나 이동 능력이 약한 식물을 말한다. 과거에는 광범위하게 분포하던 종이 여러 환경요인에 의해 분포역이 좁아지게 된 잔존고유종(Relic endemics) 또는 새로운 국지적 종분화에 의해 형성된 신고유종(Neoendemics)이기 때문에 개체군의 크기는 축소되거나 소집단 상태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환경적인 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인해 특정 미소서식지(microhabitat)에만 적응해서 살아가고 있으며, 현재 개체군 증식을 위한 환경 조건이 규명되지 않아 심각한 멸종위기에 처해 있는 종이 대다수다. 한반도 특산식물은 세계에서 한반도에만 분포하는 유일 식물로 우리나라 고유 자연환경에 적응 진화해온 귀중한 유전자원으로 우리나라의 생물 주권에서 최우선으로 고려되어야 할 대상이다. 보전전문가 네트워크 기관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에서는 위협 정도에 따라 등급별로 세계 희귀·멸종위기생물을 목록화(Red Data Book)하여 전 지구적 수준에서 생물 다양성의 감소와 멸종위협에 직면한 종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오고 있다.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분포범위와 개체군의 수와 개체군 내 개체 수에 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명확하지 않은 정보는 멸종 위협을 과대평가하거나 멸종위협에 직면해 있음에도 과소평가 될 수 있으므로 멸종위협종에 대한 분포현황 및 변화, 개체군 구조와 동태 등을 포함한 정량적인 데이터 정보의 확보는 보전 식물학적으로 필요 불가결하나 매우 불충분한 실정이다. 선모시대(Adenophora erecta S.T.Lee, J.K.Lee & S.T. Kim)는 초롱꽃과(Campanulaceae) 잔대속(Adenophora) 여러해살이풀로 1994년 울릉도에서 처음 채집되어 Lee et al.(1997)에 의해 신종으로 발표된 오직 한반도 울릉도에서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다. 발표 당시 울릉도 북면 천부리의 석포동 해안절벽에 10여 개체가 분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현재 2003년 태풍 매미의 피해로 인한 복구 과정 중 콘크리트 옹벽 설치로 최초 발견 자생지가 완전히 파괴되었다. 이후 Nam and Kim(2017)에 의해 최초 보고 자생지를 중심으로 석포동 해안절벽과 태하령 등 2010년부터 2015년 총 4회에 걸친 개체군 조사가 이뤄졌으며, IUCN Red list 범주(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2003; 2012) ‘Critically Endangered (CR)’에 부합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울릉도 특산식물인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향후 선모시대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in situ Conservation)과 관리방안 추론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파악을 위해 문헌·표본 DB 및 연구자의 기존 정보 등을 참고하여 개체군 분포 정보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울릉도 2 지역(나리분지~형제봉 구간, 태하령 일대)에서 선모시대의 출현 개체 줄기 좌표, 해발고 등을 GPS (Oregon 750t, Garmin) 2대를 사용하여 기록하였다. 기록한 출현 개체 줄기는 개화 개체와 미성숙 개체로 구분하여 현장에서 전수 조사하였다. 출현면적은 기록한 선모시대 출현 개체 줄기 수를 기반으로 QGIS 프로그램(QGIS Desktop ver. 3.16.8)을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밀도는 출현 개체 줄기 수 대출현면적 비로 구하였으며, 개화율(%)은 개화 개체 수 대 출현 개체 줄기 수비로 산출하였다. 확보된 선모시대의 종발생정보를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GeoCAT (Geospatial Conservation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분포범위(Extent of occurrence, EOO) 및 점유면적(Area of occupancy, AOO)을 산출하여 지리적 분포범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ver 3.1의 평가 기준 B를 적용하여 선모시대 보전지위를 평가하였다. 울릉도 특산식물 선모시대의 개체군 특성 조사 결과 출현 면적 1,078.48㎡ 내 출현한 선모시대 개체 줄기 수는 총 808본으로 확인되었으며, 밀도는 0.7492/㎡로 산정되었다. 특히, 태하령 일대에서 1,035.62㎡ 내에 795본이 출현 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개체군 전체에 대한 개화율(개화 개체 수 / 출현 개체 줄기 수)은 0.8456으로 출현 개체 줄기의 대부분이 개화한 것으로 나타나 생식 생장(reproductive growth)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본 연구에서 확인한 종발생정보를 기초로 계산된 출현범위(EOO)는 8㎢, 점유면적 8㎢로 나타났다. 개체군 쇠퇴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는 없으나 태풍과 해안도로 건설 등으로 석포동 일대의 훼손으로 최초 서식지가 파괴되었으며, 현재 주로 해안가 일대에 자생하고 있어 자연재해와 개발 등으로 인한 개체 수 및 서식지의 극심한 변동이 예상된다. 따라서 CR B1ab(ⅲ,ⅳ)+2ab(ⅲ,ⅳ) 범주에 해당한다. 울릉도 대표적인 특산식물인 선모시대는 일부 자생지가 보호 구역 내에 있으나 종에 대한 보호 대책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보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향후 연속적이고 계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개체군 지속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가격정책과 비가격정책이 청소년과 성인의 흡연행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분석

        이동형(李東炯),영성(金榮成),재홍(金宰弘) 한국정부학회 2018 한국행정논집 Vol.30 No.4

        본 연구에서는 흡연율 저감을 위하여 시행되고 있는 가격정책과 비가격정책이 청소년과 성인의 흡연행태에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명시선호실험을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흡연량 감소효과와 담배가격 탄력성을 추정하였다. 가격정책의 경우 담배가격 1,000원 인상할 때 흡연량이 2013년에는 4.56개비, 2018년에는 4.78개비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비가격정책의 경우 경고그림 삽입 및 확대에 대한 감소효과는 2013년 성인과 청소년 모두 약 4-5개비 정도의 감소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2018년 경고그림이 2배로 확대될 경우 성인은 8.75개비 감소하는 반면 청소년은 4.11개비 감소하여 경고그림의 효과는 성인 집단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담배가격탄력성은 0.63∼-1.85로 추정되었으며 2013년보다 2018년에 상대적으로 낮게 추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기적으로 큰 폭으로 담배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물론, 금연구역 확장이나 경고그림 확대 및 주기적인 교체 등을 홍보나 교육과 함께 시행함으로써 흡연량을 저감시키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is study estimates and analyzes the reduction effect of the smoking amount and the price elasticity of cigarette demand by the price policy and non-price policy on the smoking behavior of teenagers and adults based on the data obtained through stated preference experiments. In the case of the price policy, it is estimated that the amount of smoking decreases by 4.56 pieces in 2013 and 4.78 pieces in 2018 for each 1,000 won increase of a box price of cigarettes. In case of non-price policy, It is estimated that there is a reduction effect of about 4-5 pieces for both adults and teenagers in 2013. If the size of warning picture in 2018 is doubled, however, the adults decrease 8.75 pieces of cigarettes, while the youths decrease by 4.11 pieces. The price elasticity of cigarettes was estimated to be -0.63 ~ -1.85, which is relatively lower in 2018 than in 2013.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reduce the smoking amount and rate through some policies such as periodical and significant raising of the cigarette price, expanding non-smoking areas and/or periodical exchange of warning pictures together with public relation an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