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 19 상황에서 음악 수업 실천 사례 분석을 통한 교사의 수업 역량 탐색

        김은주 ( Kim¸ Eunju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3

        코로나 19의 등장 이후, 학교 음악 교육은 학생과 교사와의 ‘만남’이 단절됨으로 인해 실음 중심의 수업이 제한되는 매우 본질적인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에서 음악 교육을 위해 교사가 갖추어야 할 수업 역량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수업 역량의 일반적 의미와 범위를 살펴보고 최근 교육의 흐름으로 반영된 사항을 분석해 보았다. 이어서 음악 수업 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해 봄으로써 음악 수업 역량의 의미와 요소를 정리해 보았다. 코로나 19 이후 초등학교의 수업 상황은 크게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과 원격-등교 블렌디드 러닝 수업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이에 전면 비대면 원격수업 상황과 원격-등교 병행 블렌디드 러닝 상황에서 이루어진 음악 수업 실천 사례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초등학교 음악 교육을 위한 수업 역량을 탐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음악 수업 역량으로는 ‘교수학습 상황에 따른 수업 설계 능력’, ‘음악 교과 특성을 기반으로 한 수업 구현 능력’, ‘디지털 기술과 정보에 관한 이해와 활용 능력’, ‘동료 교사 및 학습자와의 협력과 상호작용 능력’ 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코로나 19 이후의 초등 음악 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초등 음악 수업 발굴과 우수 사례 보급, 음악 교육 특성에 맞는 원격수업 플랫폼과 기능 개발 및 활용 방안 마련, 다양한 교사 연수, 수업 환경 지원, 교수학습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 예비 초등교사 양성 과정에서 새로운 상황의 수업 수행 역량 함양 내용과 방법 포함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앞으로 교육 실행의 주체로서의 교사 역량에 관한 다양한 연구와 시도를 통해 음악 교육의 본질을 실현할 수 있는 수업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ince the appearance of COVID-19, music education has suffered very fundamental difficulties in which practical sound-centered classes are limited due to the severance of ‘meeting’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competency that teachers should have for music education in the context of COVID-19. First, the general meaning and scope of instruction competency was explored, and the points reflected in the recent education flow were analyzed. Nex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usic instruction competencies were summarized by examining related prior studies. First, the general meaning and scope of instruction competency was explored, and the points reflected in the recent education flow were analyzed. Next, the meaning and elements of music instruction competencies were summarized by examining related prior studies. The classroom situation in elementary schools after Corona 19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completely non-face-to-face remote learning situation and a blended learning class situation. Accordingly, cases of music class practice in both non-face-to-face distance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were analyzed from various perspectives. Based on the above content, instruction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in the Corona 19 situation were explor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Music teaching competencies in the context of COVID-19 include 'class design ability according to teaching and learning situations', 'class implementation ability based on music subject characteristics', 'understanding and using skills of digit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ability to cooperate and interact with fellow teachers and stud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music education after COVID-19. First, it is necessary to discover elementary school music classes and disseminate best practi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distance learning platform and func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music education and prepare a plan for its us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eaching program for teachers, support for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a database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inally, in the process of nurturing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contents and methods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perform classes in new situ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classes that can realize the essence of music education through various studies and attempts on the teacher's competency as the main body of education.

      • KCI등재

        면역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한 국내 반려견의 Dog erythrocyte antigen 1 분포도 조사 연구

        김은주,최창용,류재규,오상익,정영훈,조아라,김수희,도윤정,Kim, Eunju,Choe, Changyong,Yoo, Jae Gyu,Oh, Sang-Ik,Jung, Younghun,Cho, Ara,Kim, Suhee,Do, Yoon Jung 대한수의학회 2018 大韓獸醫學會誌 Vol.58 No.2

        Blood group determination in dogs is an important factor in transfusion medicine to minimize immediate or delayed adverse reactions after red blood cells transfusion in small animal clinics. Dog erythrocyte antigen (DEA) 1 is the most important blood type due to its high degree of antigenicity causing acute transfusion adverse reactio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A 1 in various dog breeds in Korea. As a result of testing 592 blood samples from more than 35 dog breeds, DEA 1 blood typing for each breed showed that 57.8% of Malteses, 63.3% of Poodles, 76.2% of Mastiff-like dogs, 72.5% of Pomeranians, 47.7% of Shih Tzus, 70.3% of mixed breeds, 60.0% of Yorkshire Terriers, and 71.4% of Beagles were DEA 1-positive. Miniature Schnauzers and Jindo breeds had a significantly high prevalence (100%) of DEA 1-positive dogs compared to that in other small breed dogs. This is the first report of immunochromatography-detected DEA 1 prevalence in various domestic dog breeds. Although additional studies need clarifying the potential blood transfusion risks in domestic breed dogs with DEA 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ful when selecting a blood donor.

      • KCI등재

        IPA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지원 요소 탐색

        김은주 ( Kim¸ Eunju ),김은라 ( Kim¸ Eunra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고,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요소를 탐색하여 각 과정별 지원 전략 수립 및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최종 188부를 설문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이 중요도의 인식 수준과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중요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실행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연수경험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항목에는 ‘과정중심평가 실시 및 채점’,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영역이 분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영역으로는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가 낮은 영역은 ‘과정중심평가 채점 기준 개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 운영의 내실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자료 개발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과정중심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된 평가 기준 및 방법·절차·도구의 개발· 보급과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용어들을 개발해야 하고, 셋째,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연수 과정을 보다 촘촘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IPA techniqu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first supported for the execu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o establish support strategies for each evaluation process. To this end, 188 elementarc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the level of ‘feedback and result recording for process-based evaluation'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PA matrix analysis, in the first quadrant where items that need to be supported continuously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distributed, the areas of ‘execution and scoring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recording of feedback and results of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distributed. However, the areas requiring intensive support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but low level of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tasks', and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establish support for each assessment proc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that can evaluate the learner's process,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cused on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velopment of various evaluation terms that can reveal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execution of training courses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proposed.

      • KCI등재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과 만족의 에고이즘 -17세기 감정론과 역량의 윤리 (1)-

        김은주 ( Kim¸ Eunju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8 가톨릭철학 Vol.0 No.30

        데카르트가 정의하는 사랑의 정념은 자기 보존과 유용성 중심의 이기적인 것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고, 사랑의 대상을 위해 자기희생까지 감수하는 이타적인 것으로 해석될 여지도 있다. 여기서 나는 데카르트의 입장을 이기주의에 가까운 것으로 보되, 그가 심신합일의 바탕에 심신이원론을 설정함으로써 이타주의나 공동체주의와 완전히 양립 가능한 독특한 에고이즘을 벼려냄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나는 첫째, 사랑에 대한 데카르트의 정의가 ‘대상의 좋음’을 사랑의 핵심에 두는 아퀴나스적 관점과 결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둘째, 사랑의 동기가 대상에서 주체로 옮겨온다고 해서, 데카르트의 사랑 개념이 홉스 류의 생물학적 이기주의를 함축한다고 볼 수는 없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사랑이 주체에게 가져다주는 진정한 이익이 자기 보존이나 욕구 충족이 아니라 감응 자체에서 얻는 영혼의 만족임을 보여주고, 이 만족이 영혼이 자기 신체와 합일되어 있으면서도 지적 거리를 가질 수 있다는 점에 기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Descartes’s definition of love apparently suggests the non-egoism of Cartesian ethics. I clarify that his ethical position implied in his treatment of love remains egoistic. However, I also show that, on the basis of his dualistic theory of mind-body union, he elaborates an egoism entirely compatible with altruism or communitarianism. For this, I show first that Descartes' definition of love breaks off from Aquinas’ view on love, placing at the core of love the subject’s contentment rather than the objects’ value. Nonetheless, this subjectivism does not imply a biological egoism like in Hobbes. I argue that the true benefit of love consists neither in the self-preservation nor in the satisfaction of appetites, but in the contentment of the soul that increases along with the increase of affectivity itself, the affectivity secured by the intellectual distance that the soul can take with regard to its own body.

      • KCI등재

        대리보충: 데리다의 루소 읽기

        김은주(Kim, Eunju)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 Vol.81 No.-

        『그라마톨로지』(1967)는 데리다 문자학의 출범작이지만 그 실질적 내용은 루소의 『언어기원에 관한 시론』(1781)에 대한 다층적 분석으로 채워져있다. 그렇다면 루소의 언어 이론과 데리다 문자학의 관계는 무엇인가? 본고는 이 문제를 루소가 단지 말과 기록 사이에서 국지적으로 발견한 대리보충의 관계를 데리다가 어떻게 전면화할 수 있었으며 그 귀결이 무엇인가라는 각도에서 탐구하고,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먼저, 데리다가 대리보충의 관계를 루소 안에서 전면화하고 하나의 논리로까지 격상시킬 수 있었던 것은 루소의 ‘자연’과 ‘기원’ 개념을 해체함으로써이다. 둘째, 데리다는 대리보충의 논리에 힘입어 루소 텍스트의 모순들을 집요하게 밝혀냄과 동시에 이 모순들이 일정한 구조 안에 일관되게 조정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이렇게 해서 데리다는 기원 지향의 목적론 성격을 띤 인류학적 텍스트 『시론』을 구조주의 텍스트로, 나아가 데리다 자신의 문자학 텍스트로 재(탈)구축한다. De la grammatologie (1967) is the first work which set out Derrida’s own grammatology, but its actual content is mostly filled with a multi-layered analysis of Jean-Jacques Rousseau’s Essay on the Origin of Language (1781). What, the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Rousseau’s language theory and Derrida’s grammatology? This paper makes three points on this problem, investigating how Derrida generalizes the relationship of supplement(le supplément), which Rousseau discovered regionally between speech and writing, and what is the result of this generalization. First, Derrida is able to bring the fore the supplement and to make it a logic through deconstructing Rousseau’s concepts of “nature” and “origin.” Second, it is by virtue of the logic of the supplement that Derrida persistently reveals the contradictions of Rousseau’s text, while showing that such contradictions are consistently coordinated. Third, in this way, Derrida re(de)constructs Rousseau"s Essay, which could be characterized as an archi-teleological anthropology, to a kind of structuralist text and even to Derrida"s own grammatological text.

      • KCI등재

        초등학교 합창 동아리 운영 프로그램 분석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은주 ( Eunju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합창 동아리의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합창 동아리 운영의 발전을 위한 시사점과 과제를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19년 3월부터 12월까지 합창 동아리를 운영한 학교 현황을 살피고 16개 학교의 합창 동아리 운영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로 합창 동아리 운영 자료와 지도 일지, 학생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운영 개요와 실제 운영 프로그램 내용으로 나누어 수행되었으며, 분석 내용은 정책 전문가, 예술교육 전문가, 운영 교사의 검토를 거쳤다. 연구 결과, 합창 동아리 운영 학교가 점차 증가하고 있었으며, 실제 운영 프로그램에서 합창 교육 및 지도, 동아리 운영, 대내외 활동과 관련된 세부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전문성 함양, 학생 표현 기회 제공, 우수 사례 공유, 행정 업무의 간소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chorus club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to find implications and challenges for the development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status of the schools that operated chorus club from March to December 2019 was reviewed, and operational programs of 16 school’s choral club were analyzed. As the research data, the chorus club operational data, coaching journal and interview data of students were used.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into operational overview and actual operational program contents, and the analyzed contents were reviewed by policy experts, art education experts and operational teachers. As a result, the number of schools that operate chorus club wa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 actual operational program provided details related to chorus education and instruction, club operation and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ed to fostering teacher expertis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ressing students, sharing good cases and simplifying administrative tasks.

      • KCI우수등재

        대중(multitude)의 ‘호명’에서 감정의 역할 -『신학정치론』 히브리 신정의 사례와 알튀세르의 스피노자 독해에서 빠진 것-

        김은주(Eunju Kim)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이 글에서 나는 스피노자 『신학정치론』의 히브리 신정 분석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에 어떻게 활용되는지를 다룬다. 이는 단지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의 원천이 스피노자임을 밝히기 위해서라기보다, 알튀세르가 이 사례를 부분적으로만 활용하면서 스피노자 분석의 핵심 중 하나를 누락시키기 때문이다. 나는 스피노자의 히브리 신정 분석이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적 국가장치 개념을 예증하는 탁월한 사례라는 것, 그러나 스피노자의 분석에서 호명은 개인보다는 대중에 대해, 그리고 대중의 감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마찬가지로 대중 감정의 메커니즘에 의해 작동을 멈출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알튀세르가 이 사례를 철저하게 활용했더라면 그의 이데올로기론에 가해지는 주된 비판인 기능론의 혐의에서 벗어날 수도 있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As Althusser acknowledges in his autobiography, the Hebrew theocracy Spinoza analyzes in his Theologico-political Treatise is an excellent example that can illustrate how Althusser’s ideological state apparatus works. However, unlike the examples Althusser himself presented in his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e Apparatuses, the interpellation in the Hebrew state is directed to the multitude and achieved through their affects, and the interpellation can also stop functioning by the same mechanism of affects. I argue in conclusion that if Althusser had thoroughly utilized the example of Hebrew theocracy, his re-production theory might have been open to conflicts and uncertainty, so that his theory of ideology could have been spared from the charge of functionalism.

      • KCI우수등재

        스피노자와 유대주의 -『신학정치론』의 종교 비판을 중심으로-

        김은주(Eunju Kim) 한국철학회 2021 철학 Vol.- No.149

        ‘배교자’에서 시작하여 ‘최초의 근대적 유대인’, 심지어 ‘시오니즘의 선구자’에 이르기까지, 유대인 스피노자는 역사 속에서 다양한 형상 아래 평가되어 왔다. 이 다양한 평가들의 바탕에는 신학정치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유대교 분석이 있다. 이 글에서 나는 스피노자의 유대교 분석의 목표가 무엇인지를 분명히하는 가운데 유대교에 대한 그의 입장을 밝히고자 한다. 스피노자는 우선 당대나 후대의 ‘반유대주의’의 모든 논거를 제시했다고 평가될 만큼, 예언, 선민사상, 의례 등 유대교의 특수성을 이루는 요소들에 대해 실로 가차없는 비판을 가하고 있다. 이 비판은 유대교를 폄하하고 기독교를 편드는 것으로, 혹은 종교 일반을 철학(이성)이나 자유주의 정치에 복속시키려는 우회적 수단으로 평가되어 왔다. 우리는 이런 평가들을 일면적이라고 보고, 보다 온전한 평가를 위해 스피노자가 신앙의 본질로 간주한 복종의 의미를 고찰한다. 이로부터 우리는 스피노자가 이성의 관점에서 인정하는 종교 고유의 적극적 역할과 더불어 유대교의 장점을 도출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는 유대교에 대한 스피노자 진술에 나타나는 비일관성이 이 측면을 통해 볼 때 어떻게 해소되는지 보여준다. Spinoza has appeared under various figures in Jewish history: from an apostate to the first emancipated modern Jew and even the pioneer of Zionism. At the bottom of these evaluations lies Spinoza’s analysis of Judaism, which occupies most of his Tractatus Theologico-Politicus. In this paper, I try to clarify what Spinoza aims at with his analysis of Judaism. On the one hand, Spinoza ruthlessly criticizes the elements peculiar to Judaism, such as prophecy, the doctrine of God’s chosen people, ceremonies etc. This harsh critique of Judaism has been considered to be expressive of either Spinoza’s self-hatred as a Jew and his taking the side of Christianity, or his intention to subordinate religion in general to philosophy or liberal politics. I point out the one-sidedness of these opinions and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role of religion recognized by Spinoza,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significance of obedience which he regarded as the essence of faith. Judaism then turns out to be the most prominent religion for encouraging obedience. Finally, I show how the apparent inconsistency of Spinoza’s statements about Judaism can be resolved.

      • KCI등재후보

        반복 간격 및 반복 유형에 따른 어휘 학습 효과

        김은주(Kim Eunju),이재근(Lee Jaekeun)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11 영어교과교육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paced repetition and nature of repetition(retrieval) on vocabulary learn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ollowing key questions: 1) Does presentation of word form and meaning repeatedly gi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vocabulary? 2) Do different ways of presenting word form and its meaning bring different results on learning vocabulary?: simultaneous presentation of both a form and its meaning vs delay presentation between a word form and its meaning. One hundred sixty one students of Grade 4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sisting of 3 groups: control group, experiment group 1 and experiment group 2 for 20 weeks. Data was collected to examine how much spaced repetition and retrieval was helpful for learners to learn vocabulary. Three different types of vocabulary test were administered to evaluate different knowledge of vocabulary of students after experiment. This study concluded that presentation of word form and its meaning repeatedly and delayed presentation between a word and its meaning helped students learn formal features of a word, its meaning and connect the form to the meaning.

      • 국내 Irisin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김은주 ( Kim Eunju ),어수주 ( Eo Suju ) 한국스포츠코칭학회 2017 한국스포츠코칭학회지 Vol.2 No.1

        이 연구는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국내 Irisin 연구에 관한 연구 형태와 주요 변인들의 효과를 통계적으로 계량화하고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세부적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Irisin 관련 국내 연구는 학술정보서비스 (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회전자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활용하여 검색한 후 세심한 검증과정을 거쳐 12편의 연구물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대상별(노인, 당뇨, 운동선수, 젊은 여성, 다이버, 젊은 남성, 질환자, 고지방 식이 쥐, 비만자), 영양적 접근(카페인 섭취, 마늘 추출물, 운동(강도의 차이, 형태별), 환경적 변인(저온 노출), 질환이 없는 일상적 생활 등에 대한 세부적인 Irisin 농도 변화의 양상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혈중 Irisin 농도 변화 외에 다양한 조직에서의 Irisin 발현 양상은 앞으로의 Irisin 역할 규명에 있어서 주요한 사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research on the Irisin study and the effects of the main variables using meta - analysis. Irisin-related domestic research was conducted by using the RISS, KISS, and the website of the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finally selected 12 research articles through careful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tritional approach (caffeine ingestion, garlic extract, exercise (difference of strength, type), Irisin concentration in various tissues in addition to the change of serum Irisin concentration, and Irisin expression level in various tissues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Irisin in future It can be a major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