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구도심 복합 용도 전환 마스터플랜 연구

        김은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is confronting urban decay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To counter this, the government initiate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llocating 50 trillion won over five years, starting in 2017. One of its policies, community-based regeneration, aims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eighborhood living areas, activate communities, and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e objective is to address persistent issues like population decline, aging, urban decay, and vacancy by improving commerci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promoting community engagement, with local authorities spearheading these efforts. This study focuses on Heungdeok Village in Mungyeong, a neglected residential area, to research feasible and sustaina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and formulate a master plan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 Using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nd Support' as a foundation, this study utilizes urban decay indicators to analyze five legal indicators associated with the humanities and social aspects, industrial and economic aspects, and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of Heungdeok Village. This analysis seeks to comprehe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arget residential area and urban decay within the city. Additionally, by leverag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SCH) as a sustainable solution for senior housing issue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he city, this research proposes feasi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declining elderly residential areas. These strategies form the basis for examining the master plan and an overall strategic approach for the target area. (Results) Heungdeok Village qualifies as an urban decay area, evident from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residents, and a rise in aging housing and vacant properties. This paragraph concentrates o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g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gional declin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us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have been investigated for Heungdeok Village, proposing block-specific master plans tailor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target area. (Conclusions) Transitioning to Senior Collective Housing can significantly address the housing issues of the elderly in neglected urban areas. It not only resolves elderly housing problems and enhances the urban environment but also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revitalizing urban areas. Repurposing vacant buildings and spaces through mixed-use development can transform them into diverse community hubs, fostering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ies. Additionally, utilizing underutilized spaces can offer new sustainable option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로 도시가 쇠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7년부터 5년간 50조 원을 투입하여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정책 중 근린 재생형은 도시 내의 마을 생활권 단위의 물리적 환경개선, 공동체 활성화, 쇠퇴한 지역의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노후화, 공실화 등으로 쇠퇴한 상권과 주거환경 개선 및 주민 참여 사업 추진하여 지자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낙후된 주거지역인 문경의 흥덕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한 마스터플랜을 계획·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는 도시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흥덕마을의 인문·사회 부문, 산업·경제 부문, 물리·환경 부문과 관련한 5개 법정 지표를 분석하여, 대상 주거지역의 현황 분석과 도심 쇠퇴화를 알아본다. 또한, 도심의 노인 주거 문제 및 주거 환경개선에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하여 쇠퇴한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가지고 대상지의 마스터플랜 전략을 연구한다. (결과) 흥덕마을은 지속적인 인구의 감소, 고령인구 비율의 증가, 노후 주택 및 빈집의 증가가 뚜렷하여 도심 쇠퇴기준에 부합되는 쇠퇴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인구 증가, 주거환경 노후화, 지역 쇠퇴화의 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춰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흥덕마을의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방안을 검토하였고 대상지의 블록별 현황에 맞는 마스터플랜을 제안해 보았다. (결론) 낙후된 도심 내의 고령자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로의 전환은 도시재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노인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도심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공동체 의식과 소속감을 유도하고 도심지역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빈 건물과 공간은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다양한 공동체 거점으로 재생되어 지역 커뮤니티를 조성할 수 있으며,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속가능성 옵션을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톤레삽 호수의 지속가능한 마스터플랜 디자인

        김은광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톤레삽 호수는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큰 담수호로, 캄보디아에 중요한 사회·경제적 역할을 한다. 주변에는 6개의 도시와 1,000여 개의 마을이 있으며, 약 170만 명의 주민이 거주한다. 톤레삽 호수 주변의 수상마을에는 주로 베트남 전쟁 피난민들이 살고 있으며, 플로팅 하우스에서 극악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거, 경제, 건강, 교육, 의료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기후변화와 자연재해로 인한 안전성 부족과 경제적 어려움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난민들은 깨끗한 물, 의료 서비스, 교육 시설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에 대한 종합적이고 지속 가능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당 지역의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마스터플랜을 제안하여 안전한 주거환경 조성, 경제적 독립 제공, 건강과 의료 서비스 향상, 교육 환경 강화를 통해 지역 사회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연구방법) 캄보디아 톤레삽 호수의 Chong Kneas Floating Village 지역에서의 환경 및 수질오염에 따른 주민 삶을 조사하며, 현지 방문, 인터뷰, 문헌조사를 통해 정보 수집했다. 주요 관심사는 빈곤 종식, 기아 종식, 건강과 웰빙, 양질의 교육, 깨끗한 물과 위생, 적정한 청정에너지, 기후 변화 대응, 육상 생태계 등으로, 이를 중심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책을 논하였다.(결과) Chong Kneas Floating Village는 주민들의 삶이 호수의 오염과 함께 캄보디아 전체의 생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생활환경 개선을 위한 플로팅 하우스 Docking Station 도입과 교육, 의료 인프라 강화를 제안하였다. 또한, 양식업과 수경 농업을 도입하여 식량 확보를 강화하였고, 생산물을 판매하는 지역 시장 조성과 지역 특색을 살린 관광업 개발을 통해 경제적 안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주민들은 안전하고 안정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본 연구는 톤레삽 호수의 Chong Kneas Floating Village에 거주하는 빈곤한 주민들의 주거, 경제, 건강, 교육, 의료 등의 문제를 분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마스터플랜을 도출하였다. 주요 논의는 Docking Station과 같은 새로운 주택 모델의 도입,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 자연재해 대응 가능한 새로운 주거 개발 등이었다. 또한, 보건 시설 확충과 위생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수질오염 근본 대책을 제안하였다. 교육 인프라 개선, 경제적 고립에서 벗어나기 위한 다각화된 경제 지원 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마스터플랜은 교육 및 의료시설 영역, 지역 주민 커뮤니티 시설 영역, 상업 시설 영역, 관광 시설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에 맞는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 발전과 주민 생활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톤레삽 호수 지역에서 현지 정부 및 국제기관과 협력하여 실행 가능하고 효과적인 해결책을 제안하였으며, 빈곤한 주민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지역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부정적 언론보도 상황에서 인증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추천이 지각된 위험과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은광,강영선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8 고객만족경영연구 Vol.20 No.1

        This study focuses on handling negative publicity about product categories. Negative publicity is one of important risk factors for companies that greatly affect sales, stock value, and corporate image. In this research, we compare the certification obtained from the institution with the recommendation by online community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response strategy in the media situation of these negative presses.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dvertising messages including certification and online community recommendation as product type (experience goods vs. search goods) will affect consumers’ perceived risk and product attitude. Using 2 (product type: experience goods vs. search goods) X 2 (message type: certification vs. recommendation by online community) experimental design, we analyze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re were significant 2-wa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message type and product type on perceived risk and product attitude. In the case of experience goods, consumers have more positive responses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n advertisement message including certification rather than when being exposed to an advertising message including recommended by online community after being exposed to negative publicity.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earch goods, consumers have more positive responses when consumers are exposed to an advertisement message including recommended by online community rather than when being exposed to an advertising message including certification after being exposed to negative publicity. These research results contribute practically for companies to formulate effective countermeasures for each product type when negative publicity occurs. 기업들에게 부정적 언론보도는 매출, 주식가치, 기업 이미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인이다. 이러한 부정적 언론보도 상황에서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관으로부터 획득하는 인증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추천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부정적 언론보도 상황에서 제품유형별(경험재 vs. 탐색재)로 인증과 온라인 커뮤니티의 추천이 포함된 광고메시지가 제품에 대한 지각된 위험과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설계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제품유형: 경험재 vs. 탐색재) X 2 (메시지유형: 인증 vs. 온라인 커뮤니티 추천) 집단 간 요인설계를 하여, 제품에 대한 정보가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각된 위험과 제품태도에 대한 제품유형과 메시지유형 간의 유의한 2-way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경험재의 경우에는 부정적 언론보도를 접한 후, 온라인 커뮤니티의 추천을 받은 광고메시지에 노출된 경우보다 인증 획득을 포함한 광고메시지에 노출된 경우에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반면에 탐색재의 경우에는 부정적 언론보도를 접한 후, 인증 획득을 포함한 광고메시지에 노출된 경우보다 온라인 커뮤니티의 추천을 받은 광고메시지에 노출된 경우에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정적 언론보도가 발생한 경우에 제품유형별로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하는데 실무적으로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32Watt 형광등용 3단자 반도체 스타터의 개발 및 특성

        박종연,지광현,김은광 江原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7 産業技術硏究 Vol.17 N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starter have been developed for the general fluorescent lamps with magnetic-type ballasts. However, the FL032/T8 fluorescent lamp requires higher voltage to discharge the lamp. The general starter with two-terminal is not suitable for the FL032/T8 slim-line type fluorescent for its higher discharge voltage. The suitable starter with three terminals have been studied for the FL032/T8 lamp in this paper. The developed starter have better characteristics in view points of the discharge voltage magnitude. We have proposed and designed the three terminals electronic starter. The proposed starter have been experimented and compared with the other 2-terminal general starters. By the experimental results, we have concluded that the proposed starter is suitable to the FL032/Ts lamp.

      • KCI등재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구도심 복합 용도 전환 마스터플랜 연구

        김은광 ( Kim Eunk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은 인구감소와 고령화의 문제로 도시가 쇠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2017년부터 5년간 50조 원을 투입하여 ‘도시재생 뉴딜’사업을 시행하였다. 이 정책 중 근린 재생형은 도시 내의 마을 생활권 단위의 물리적 환경개선, 공동체 활성화, 쇠퇴한 지역의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인구감소, 고령화, 노후화, 공실화 등으로 쇠퇴한 상권과 주거환경 개선 및 주민 참여 사업 추진하여 지자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낙후된 주거지역인 문경의 흥덕마을을 대상지로 하여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하고 지속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이용한 마스터플랜을 계획·제안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근거하는 도시 쇠퇴지표를 이용하여 흥덕마을의 인문·사회 부문, 산업·경제 부문, 물리·환경 부문과 관련한 5개 법정 지표를 분석하여, 대상 주거지역의 현황 분석과 도심 쇠퇴화를 알아본다. 또한, 도심의 노인 주거 문제 및 주거 환경개선에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하여 쇠퇴한 노후 주거지역의 실현 가능한 도심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 이를 가지고 대상지의 마스터플랜 전략을 연구한다. (결과) 흥덕마을은 지속적인 인구의 감소, 고령인구 비율의 증가, 노후 주택 및 빈집의 증가가 뚜렷하여 도심 쇠퇴기준에 부합되는 쇠퇴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인구 증가, 주거환경 노후화, 지역 쇠퇴화의 대응 방안에 초점을 맞춰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를 이용한 흥덕마을의 지속 가능한 도시재생 방안을 검토하였고 대상지의 블록별 현황에 맞는 마스터플랜을 제안해 보았다. (결론) 낙후된 도심 내의 고령자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니어 컬렉티브 하우스로의 전환은 도시재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는 노인 주거 문제를 해결하고 도심 환경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며, 공동체 의식과 소속감을 유도하고 도심지역을 활성화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빈 건물과 공간은 복합용도개발을 통해 다양한 공동체 거점으로 재생되어 지역 커뮤니티를 조성할 수 있으며,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새로운 지속가능성 옵션을 제공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 is confronting urban decay due to population decline and aging. To counter this, the government initiated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llocating 50 trillion won over five years, starting in 2017. One of its policies, community-based regeneration, aims to enhanc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neighborhood living areas, activate communities, and revitalize declining regions. The objective is to address persistent issues like population decline, aging, urban decay, and vacancy by improving commercial and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promoting community engagement, with local authorities spearheading these efforts. This study focuses on Heungdeok Village in Mungyeong, a neglected residential area, to research feasible and sustaina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and formulate a master plan based on these findings. (Method) Using the 'Special Act on Urban Regeneration Activation and Support' as a foundation, this study utilizes urban decay indicators to analyze five legal indicators associated with the humanities and social aspects, industrial and economic aspects, and the physical and environmental elements of Heungdeok Village. This analysis seeks to comprehe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arget residential area and urban decay within the city. Additionally, by leverag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SCH) as a sustainable solution for senior housing issues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s in the city, this research proposes feasible urban revitalization strategies for declining elderly residential areas. These strategies form the basis for examining the master plan and an overall strategic approach for the target area. (Results) Heungdeok Village qualifies as an urban decay area, evident from continuous population decline, an increasing proportion of elderly residents, and a rise in aging housing and vacant properties. This paragraph concentrates on addressing the challenges of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aging residential environments, and regional decline.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using Senior Collective Housing have been investigated for Heungdeok Village, proposing block-specific master plans tailored to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target area. (Conclusions) Transitioning to Senior Collective Housing can significantly address the housing issues of the elderly in neglected urban areas. It not only resolves elderly housing problems and enhances the urban environment but also fosters a sense of community and belonging, revitalizing urban areas. Repurposing vacant buildings and spaces through mixed-use development can transform them into diverse community hubs, fostering the formation of local communities. Additionally, utilizing underutilized spaces can offer new sustainable option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 KCI등재

        A Study on Feasibility of Office-to-Residential Conversion for Urban Regeneration in the Downtown Areas

        김은광 ( Kim Eunkwang ),정성권 ( Jung Sungkwo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빠른 산업화 이후 한국은 대도시에서의 인구 집중, 도심 지역의 공실화, 인구 및 산업 다양성의 감소 등의 도시 개발 과제에 직면했다. 현재 도심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시 기능을 회복하기 위한 사회적, 환경적, 문화적, 경제적 통합된 전략이 필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도시 구조 개편, 인프라 향상,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전략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잉여사무 공간을 주거 공간으로 재사용하는 것을 통해 지속 가능성의 범위를 정의하고, 이를 통해 도시 다양성을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쇠퇴한 구도심의 경쟁력 회복과 활성화 방안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도시재생 뉴딜사업 실현 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체계'의 '도심활성화계획'의 분석항목을 기준으로 한국 6대 도시의 '구도심의 쇠퇴진단'을 알아보고 '도심 자산을 조사'한 다음, '지역 현안 문제를 도출'하여 지역 문제 대응을 위한 '맞춤형 지속가능 컨텐츠 발굴'을 제안하는 방법을 계획한다. (결과) 2023년 도시 자산 조사를 통한 전국 6대 도시 구도심 지역에 오피스 공실률과, 최적 잉여 공간을 평가하기 위한 자연 공실률 계산 결과, 한국의 자연 오피스 공실률은 6%에서 8% 사이로 추정되었다. 이를 사업 시설 지역에 적용하여 빈오피스 공간의 예상 면적을 산출함으로써, 한국 6대 도시의 도심에는 심각한 공간 낭비의 문제가 현존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지역 현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잉여 오피스 공간을 주거로 변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도시재생의 전략, 환경 개선, 지속 가능한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추가 토지 구입이나 거대한 건설 비용 없이도 도시재생에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 맞춤형 지속가능 컨텐츠로의 사용이 가능하다. 셋째, 도심 지역에서 오피스 공실 증가와 주거 인구감소의 상호적 문제 해결을 통해 도시재생 뿐만 아니라 경제 활성화 및 삶의 질 개선으로까지 연계될 수 있다. (결론) 한국 주요 도시의 구도심 지역은 그들의 역사와 기능을 상징하면서도, 불균형한 발전으로 인한 쇠퇴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높아지는 토지 및 주택가격은 이러한 쇠퇴를 더욱 악화시키며 이러한 지역을 재활성화하기 위해 주거 확장과 지속 가능성을 강조하는 새로운 전략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잉여 오피스를 주거로 변환은 지속 가능한 주거 개발을 위해 도시 자산의 적응적 재사용을 촉진하는 실현 가능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증가하는 사무실 공실률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구도심을 재생할 수 있으며, 정주 조건을 개선하고 지역 사회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도시 회복력을 향상시키고 도심의 쇠퇴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rapid industrialization, South Korea faced urban development challenges such as population concentration in major cities, urban vacancy in downtown areas, and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industrial diversity. It is a critical time to address these urban issues and restore urban functions through socially, environmentally, culturally, and economically integrated strategies. Therefore, urban structural reorganization, infrastructure enhancement, and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imperative. This paper aims to define the scope of sustainability through the adaptive reuse of surplus office spaces into residential areas, with the goal of continuously increasing urban diversity to restore and revitalize the competitiveness of declining urban cores. (Method)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we plan to initially conduct a 'Diagnosis of urban decline' in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utilizing the 'Urban Revitalization Plan' of the 'Evaluation System for Feasibility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as the basis for analysis. Subsequently, we will proceed to investigate urban assets and derive 'Derivation of current urban issues', followed by proposing methods for 'Discovering customized sustainable contents' to address local problems. (Results) The natural vacancy rate for office spaces in urban areas of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was estimated to be between 6% and 8% based on the nationwide urban asset survey conducted in 2023. Applying this to business facility areas, the study calculated the expected area of vacant office spaces, revealing a significant problem of space wastage in the downtown areas of the six major cities in Korea. Converting surplus office spaces into residential units to address these local issues offers several benefits. Firstly, it can contribute to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local community. Secondly,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urban regeneration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land acquisition or massive construction costs, thus enabling the use of tailored sustainable content. Thirdly, by addressing the mutual issues of increasing office vacancies and declining residential populations in urban areas, it can lead to not only urban regeneration but also economic revitalization and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Conclusions) The downtown areas of major cities in Korea, while symbolizing their history and functions, are facing challenges of decline due to uneven development. Rising land and housing prices exacerbate this decline, making it crucial to emphasize new strategies that prioritize residential expansion and sustainability to revitalize these areas. Therefore, converting surplus office space into residential units can provide a feasible solution by promoting adaptive reuse of urban assets for sustainable residential development. This method effectively addresses the increasing office vacancy rates, revitalizes downtown areas, enhances settlement conditions, restores community ties, and is expected to improve urban resilience and prevent urban decay.

      • KCI등재

        A Study on the Conversion of Sustainable Spatial Complexity in the Declined Traditional Market - Focused on the Gyo-dong Market in Daegu

        김은광 ( Kim Eunk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2

        (연구배경 및 목적) 한국의 전통시장은 도시화와 소비패턴의 변화로 쇠퇴하고 있으며, 대형 쇼핑몰과 온라인 쇼핑의 영향으로 경쟁력이 약해지고 있다. 상점들은 편의성 부족과 노후화된 시설로 소비자를 끌어들이기 어려워지고 있어, 지역 상권이 위축되고 지역주민의 일자리와 생활 여건이 악화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고 새로운 매력을 제시하기 위해 현대와 전통을 융합하는 창의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전에 대응하여 쇠퇴한 전통시장을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해결을 위한 공간 복합화 모델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대구 중구의 교동시장을 대상으로 하며, 국내·외 전통시장의 국내·외 사례조사, 문헌조사, 현지답사, 주민 인터뷰를 통해 교동시장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분석한 다음, 공간복합화의 보편적 구성요소를 해결 전략으로 성립하여 교동시장의 지속가능한 공간복합화 전환 디자인 계획을 제안한다. (결과) 교동시장의 공간 계획 프로세스를 통해 쇠퇴한 전통시장을 새로운 가치 있는 복합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결성과 접근성이 낮고 획일화된 시장 공간의 역사성와 장소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먼저 동성로와 연결된 대상지를 분석하여 흩어진 소규모 상가들을 재정비하고 상생하는 공간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인 마스터플랜 계획은 대상지 내의 소규모 유닛을 재배치하고, 클러스터를 형성하여 주보행로와 연결성을 강조하며, 각 섹터를 상업시설, 문화시설, 업무시설, 커뮤니티시설, 주거시설 등으로 전환하여 역동적이고 다양한 공간을 조성한다. 주보행로와 가까운 곳에 상업시설, 문화시설, 업무시설, 커뮤니티시설, 주거시설 등을 조성하여 공간의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계획을 통해 교동시장과 주변의 소규모 상가들은 새로운 열린 공간으로 변화하여 활성화한다. (결론) 본 연구는 교동시장의 지속 가능한 변화를 위한 다양한 전략을 조명하고 역사와 장소성을 갖춘 가치 있는 복합공간으로 재탄생시키기 위해 대상지를 확장하는 동시에 산발적인 소규모 상가들을 재정비함으로써 상생적 공간 전환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전통시장의 공간 복합화 모델은 상업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상업시설 및 지역 문화를 존중하고 활성화하는 역할의 문화시설 이외에도 지역주민과의 소통과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커뮤니티 공간 및 주거와 상업지역을 통합한 주거 공간까지 갖추고 있어 추후 지속 가능한 지역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다. 이러한 종합적인 전략은 교동시장의 지속 가능한 공간 복합화 전환과 지역 사회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raditional markets in Korea are declining due to urbanization and changes in consumer patterns, leading to reduced competitiveness against large shopping malls and online shopping. Stores struggle to attract customers due to inconvenience and outdated facilities, resulting in the contraction of local business districts and worsening job opportunities and living conditions for resident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and present new allure, creative strategies that blend modernity with tradition are necessary.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transform declining traditional markets into sustainable spaces and proposes a spatial integration model to address these issues. (Method) This study focuses on the Gyo-dong Market in Jung-gu, Daegu, conducting a literature review o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raditional markets, as well as on-site surveys and interviews with residents to analyze the historical and locational aspects of the Gyo-dong Market. By establishing universal components of spatial complexity as resolution strategies, the design plan for the sustainable spatial conversion of the Gyo-dong Market is proposed. (Results) Through the spatial planning process of Gyo-dong Market, we explored avenues to transform the declining traditional market into a new, valuable mixed-use space. To restore the historicity and placeness in homogenized market spaces that have low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initially, analyzing the target area connected to Dongseong-ro, we identified the need to revamp dispersed small-scale shops into symbiotic spaces. Our detailed master plan involves reallocating small-scale units within the target area, forming clusters to emphasize connectivity with the main pedestrian path, and transitioning each sector into commercial, cultural, business, community, and residential facilities, fostering dynamic and diverse spaces. Creating commercial, cultural, business, community, and residential facilities near the main pedestrian path promotes space activation. This plan aims to transform Gyo-dong Market and its surrounding small-scale shops into vibrant new open spaces. (Conclusions) This study illuminates various strategies for the sustainable transformation of Gyo-dong Market, proposing the expansion of the target area and the revitalization of scattered small-scale shops to foster symbiotic spatial conversion, thus rejuvenating it into a valuable mixed-use space imbued with historicity and placeness. The proposed spatial hybridization model for traditional markets in this study encompasses not only commercial facilities performing diverse functions but also cultural facilities that respect and activate local culture, community spaces that facilitat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among local residents, and residential spaces integrating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thereby paving the way for sustainable local development in the future. Such comprehensive strateg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le spatial conversion of the Gyo-dong Market and the economic revital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