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6분도보검사 중 발생한 저산소증과 관련된 인자

        김유은,임수진,이승훈,조유지,정이영,김호철,이종덕,황영실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12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Vol.114 No.0

        배경: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에서 운동시 발생하는 저산소증은 운동능력의 중요한 제한요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6분도보검사 중 저산소증의 발생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와 연관된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정상태의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6분도보검사 시행 중 산소포화도가 90% 미만인 경우를 저산소환자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대상환자는 총 75명이었고, 평균나이는 71.0±7.5세, 이중 남자는 68명(90.7%)이었다. 저산소환자군과 정상산소환자군은 각각 27명 (36%), 48명(64%)이었고 두 환자군 간의 남녀비율, 나이, 흡연력, 심장질환 유병률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MMRC dyspnea scale은 저산소환자군에서 더 높았고(2.0±0.9 vs 1.4±0.6, p=0.008), 만성폐쇄성폐질환 평가테스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폐기능 검사에서 FEV1(%)이 저산소환자군에서 45.3±18.2, 정상산소환자군에서 57.6±15.7(p=0.005)이었고, FEV₁/FVC(%)은 각각 44.0±12.6, 50.4±13.1 (p=0.041), DLco(%)는 각각 55.6±19.0, 89.5±23.1 (p=0.001)로 저산소환자군에서 더 감소되어 있었으나, RV(%)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체질량지수(kg/m2)는 저산소환자군에서 더 낮았고(20.9±3.1 vs 22.5±2.9, p=0.03), 6분도보거리(m)는 더 짧았다 (301.9±94.8 vs 347.2±88.1, p=0.047). BODE index는 저산소환자군에서 더 높았다(4.4±2.2 vs 2.4±1.9, p=<0.001). 운동시 저산소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기 위한 다변량 분석에서는 DLco(%)의 감소가 운동시 저산소증의 가장 좋은 예측인자임을 확인하였다(Odd ratio=0.0882, p=0.010). 결론: 운동중 저산소환자군에서 MMRC dyspnea scale이 더 높고, FEV1(%), FEV1/FVC(%), DLco(%)가 더 감소되어 있었고, 체질량지수는 더 낮고, 6분도보거리가 더 짧았으며 BODE index가 더 높았다.그리고 DLco(%)의 감소가 운동시 저산소증의 가장 좋은 예측인자였다.

      • KCI등재

        푸틴의 공세적 외교정책과 러시아의 동북아 다자안보에 대한 입장

        김유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0 중소연구 Vol.34 No.3

        Russia’s foreign policy in Putin’s second term became more assertive than in his first term. This paper examines how Russia’s assertive foreign policy has been reflected in its strategy toward Northeast Asia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he contents of assertive foreign policy of Russia can be summarize that while Russia maintained its foreign policy objectives such as economic modernization, political stability, and enhancement of security which had been established in Putin’s first term, it modified the methods of pursuing them more assertively. The assertive policy used methods such as ‘sovereign democracy,’ ‘sovereign economy,’ and the building of a multipolar world. Russia tries to develop Far East and Siberia through regional cooperation without any infringement of sovereignty (reflection of sovereign democracy and economy), participating in the integration process in Northeast Asia, and to promote a boost of regional influenc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multilateral cooperation (promotion of multipolar order). Russia expects that the Six-Party Talks could become an important vehicle for building a multilateral security mechanism in Northeast Asia which would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s well as increase the influence of Russia in the region. However, it will not hurry to build the mechanism even if it continues to emphasize the respect of sovereignty as a norm for the mechanism in the situation of the stalemate of the Six-Party Talks. 러시아는 푸틴 2기 이후 수세적 외교정책에서 보다 공세적인 외교정책으로 전환하였다. 이 글은 러시아의 공세적 외교정책이 동북아 다자안보전략에는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공세적 외교정책의 내용은 푸틴 1기에 수립했던 러시아의 경제 현대화, 정치적 안정, 안보 증진이라는 기본 목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서 주권민주주의, 주권경제, 그리고 다극적 질서를 내세우고 이를 보다 공세적으로 추진하였다는 것이다. 러시아는 국가주권의 침해 없는 협력을 통해 극동 및 시베리아를 개발함으로써(주권민주주의와 주권경제의 반영) 이 지역의 통합에 동참하고자 하며, 다자협력의 강화를 통해 역내 영향력 제고(다극적 질서 추구)를 꾀하고자 한다. 러시아는 동북아 다자안보체제 구축이 러시아의 동북아에서의 영향력 제고는 물론 러시아의 극동지역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6자회담을 이를 위한 추동체로 인식한다. 그러나 동아시아 다자협력이 EAS 등을 중심으로 속도를 내고 있는 반면 6자회담은 정체된 상태에서, 러시아는 미래 동북아다자안보협력체를 위한 주요 규범으로써 주권 보장 등을 강조하지만 무리하게 서두르지는 않고 있다.

      • KCI등재

        해외정보활동에 있어 윤리성의 개념 및 효율성과의 관계

        김유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010 한국정치외교사논총 Vol.31 No.2

        민주화 시대의 정보기관은 효율적인 해외정보활동과 얼핏 보기에 양립하기 어려운 윤리성의 요구를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해야 하는가 하는 어려운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정의의 전쟁 이론을 활용하여 해외정보활동 자체의 정당성과 해외정보활동 행위의 정당성이라는 두 차원에서 윤리성의 틀을 제시하고 특히 비밀활동들을 중심으로 윤리성의 적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해외정보활동의 윤리성 확보는 정보관의 사기와 정보기관의 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정보활동 환경을 개선시키고 이는 장기적으로 해외정보활동의 효율성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러한 윤리성의 확보를 위해 정보활동 윤리지침의 작성과 공개의 필요성을 권유하였다. In the age of democratization, intelligent agency is obliged to face awkward ethical questions which are incompatible with the effective practice of intelligence at a glance. This paper suggests a framework for ethics of intelligence activities at two levels of jus ad intelligentiam and jus in intelligentia on the analogy of ‘just war’ theory, and examine its application to clandestine operations in particular. I argue that to strengthen ethics of intelligence would raise the morale of intelligence officers and increase the agency’s popularity from the people, which would be followed by enhancing the environment of intelligence activities. It means that the emphasis on intelligence ethics has positive impacts upon eff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composition of an unclassified ethics code for intelligence officers is recommended to secure and reinforce intelligence ethics.

      • KCI등재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과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김유은,김정화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perception of infant’s use of digital devices on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5 parents of 1-2year old infants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the digital devices that infants were exposed to the most was the television, and their first exposure to digital devices was at 13~17 months. The most time spent using digital devices was 30 minutes and they most frequently used them at home. Second, parents perceived the educational value of digital devices as low. Third, language development was high when the initial use of digital devices for infants was late, when the daily use time of digital devices was less than 30 minutes, when digital devices were used with parents, and when parents always managed digital devices and usage time. Fourth, Parents' perception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북핵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 : 6자회담을 중심으로

        김유은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04 중소연구 Vol.28 No.3

        제2차 북핵 위기 이후 중국의 북핵 문제에 대한 기본 입장은 변함이 없었지만 그에 대처하는 방식은 변화해 왔다. 이러한 중국의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최우선 국가 목표로부터 연유한 세계 및 동북아 전략의 차원에서 북핵 문제를 조망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중국의 변화하는 태도를 일관된 틀로 설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중국의 북한에 대한 ‘완충지대론’ 및 ‘북한 위협 야기론’과 중국의 신안보관의 결합을 시도하였다. 북핵문제에 대처함에 있어 중국의 변화는 바로 이러한 시각에서 일관되게 설명될 수 있다. 제2차 북핵 위기 발생 이후 처음에는 당사자간에 타협이 가능하리라 생각했을 수도 있고 중국의 판단이 아직 서지 않았을 수도 있다. 그러나 북핵 위기가 고조되고 그 위험이 중국에까지 미치게 된다고 생각하자 이 문제에 적극성을 보이게 되었다. 이는 미국과의 우호적 관계의 지속을 위해서도 필요하였지만, 더 깊게는 북한이 위협요소가 되는 것을 미리 차단하고 전면적 소강 사회 건설에 차질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6자회담이 진행되면서 중국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았다. 북한 위협 야기론에서 다시 완충지대론으로 균형추가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북핵 문제의 미래를 결정짓는 관건은 미국과 북한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미국이다. 미국은 주도권을 가지고 있고 중국은 자신의 목표를 손상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여기에 반응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일본 하토야마 총리의 동아시아공동체 구상: 한계와 전망

        김유은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09 평화학연구 Vol.10 No.4

        This paper examines where Japanese Prime Minister Hatoyama’s call for an East Asia Community is on the spectrum of Japanese discourse on East Asian regionalism and appraises its limits and prospects as well as the background of his initiative. The bases of his political philosophy for the community are ‘the principle of independence and coexistence’ and ‘the principle of albsidiarity’ which he draws from the concept of ‘fraternity.’ He tries to alggest a vision of the community in East Asia, using those principles. It is evaluated that the contents of his initiative goes and comes cross the boundary between cautious centrists’ and modestly optimistic leftists’ thinking in Japan. It seems that his initiative intents not only to minimize negative effects from a rapid changing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in which the slow but steady dehanne of United Sistes and the growing imporisnce of China are expected, but also to enhance Japanese Leadership in the region. In order to realize the community vision, he wnted have to deal alccessfully with diplomatic problems including the history problem and the territorial disputes in relations with other countries alch as Korea and China, to maintain a good relationship with United Sistes continuously, to aecure the domestic backing of plblic opinion with high popularity which cnted give him a driving force, and to present a more detailed and concrete roapoap toward regional cooperation and the East Asian Community. 이 논문은 일본 하토야마 총리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이 그동안 일본학계에서 논의되었던 다양한 동아시아 지역주의의 어디에 근접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의 배경 및 한계와 극복 전망을 고찰하였다. 그의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의 철학적 기초는 우애 정신에 기초한 자립과 공생의 원칙 및 보완성의 원칙이다. 그의 그러한 구상은 일본 학계의 주류인 중도적 입장과 좌파적 입장의 경계를 넘나드는 위치에 존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구상은 역내 미국의 영향력 감소와 중국의 부상이라는 국제환경의 변화 추세 속에서 그 부정적 파급효과를 최소화하면서 일본의 지도력을 제고하고자 하는 의도가 깔려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하토야마 총리가 자신의 동아시아 공동체 추진을 위해 극복해야 할 과제들로서 첫째, 역사문제, 영토문제, 미일관계의 지속적 유지와 주변국과의 협력을 병행하는 문제 등의 외교적 문제의 지혜로운 해결, 둘째, 그의 구상에 추진력을 줄 수 있는 국내적 지지의 지속적 확보, 셋째, 동아시아 공동체 추진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의 제시를 지적하였다.

      • KCI등재

        장기처방이 외래투약에 미치는 영향

        김유은,서성연,한현주,이병구,조남춘 한국병원약사회 1999 병원약사회지 Vol.16 No.3

        Since the medical insurance has come to cover up to 90-days at one time in outpatient base in Dec. 1995, the long-term medication(over 30days) has been increased abruptly and rapidl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outpatient long-term medication at one visit on filling the prescription,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and to enlarge the effectiveness of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in outpatient pharmacy. We compared the data related the long-term medication in 1998 with those in 1996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number of order day, incidence and frequency of long-term medication were reviewed in different medical department, disease group and each diseased respectively. The average waiting time for medication per year was also investigated to recognize the influence on doing dispensing and administration directly. In basic, we figured out the average number of outpatients for one day, total amount of drug expense for every outpatient and total amount of dispensing fee per year from 1996 to 1998. The medication over 60-days was most increased, cardiovasular diseased and hypertension is most frequent in long-term medication. The average number of outpatient for one day has been increased in every year. Although the long-term medication was increased continuously at much rate, the average waiting time for medication has been shorter by adopting alternative measures(i.e automatic transport system, diverse preliminary prepa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increased number of long-term medication caused increased load of dispensing, increased number of first-coming patients, increased income of the hospital. In the viewpoint of patients, they do not have to visit clinic as often as before, but the necessities of medication counselling for drug adverse reaction and management of noncompliance due to the long-term medication are increased as much 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