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거리(Cultural distance)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거리(Communication distance)에 관한 연구

        김유경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연구센터 2004 국제지역연구 Vol.8 No.3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distance and communication distance. Cultural distance among Korea, France and the US was presumed to reflect a variety of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ractice such as advertising expression. So, commmunication distance was interchangeably emplyed with advertising distance in this study. In order to observe and explain cultural distance, this study employed cultural dimensions by Hofstede, Hall and Trompenaars-Turner as explanatory variables on advertising differences. Also, creative strategy, information content and appeals in advertisement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Methodologically, the study content analyzed advertisements of TV from Korea, France and the US. Concept m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see clear patterns of similarity and dissimilarity in advertising expressions among three countries. Study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 clear association between cultural distance and communication distance. Study initially assumed that there might be a relativity in cultural distance among three countries i.e, cultural distance between France and the US would be longer than that between France and Korea, but much shorter than that between Korea and the US. This assumption was also substantiated in the relationship of advertising among three countries. In particular, creative strategy, information content and appeals in advertising messages differed from country to country. Advertising difference was found to be the biggest in Korea-the US dyad , followed by the US- France and Korea-France dyads in order. Mor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clear association between cultural dimensions and advertising elements. Significant implications was further discussed. 본 연구는 한국, 프랑스, 미국 사이의 문화적 거리가 광고 표현과 같은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차이를 반영하는가를 살펴보았다. 문화적 거리를 설명하고 관찰하기위해 Hofstede, Hall, Trompenaars-Turner에 의해 제시된 문화적 차원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또한 광고에 나타난 소구(ad appeal), 정보적 내용(information content), 표현전략(creative strategy) 등을 종속변인으로 채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한국, 프랑스 그리고 미국의 잡지광고들에 대한 내용분석과, 세 국가 간의 광고표현상의 경향을 관찰하기 위한 다차원 개념도(Concept Mapping)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문화적 거리와 커뮤니케이션 거리간에는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광고 소구, 정보적 내용, 표현전략들은 나라마다 다르게 나타났지만, 한국과 미국 사이의 광고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프랑스 그리고 한국-프랑스 순으로 차이의 크기가 나타났다. 그밖의 연구함의 등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패션브랜드 알렉산더 맥퀸에 나타난 낭만적 특성에 관한 연구

        김유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2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진정한 패션브랜드란 단순히 로고나 상품 자체가 제공하는 기능 이상의 것으로 그 안에는 감정과 정신이 존재하므로 차별성과 의미가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독특한 주제와 표현방식, 실험적 디자인으로 세계인의 주목을 받던 중 2010년 2월 11일 갑작스럽게 타계한 영국출신의 패션디자이너 알렉산더 맥퀸의 패션에 나타난 낭만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현대 패션브랜드 기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연구방법으로 선행연구와 문헌들을 통하여 낭만주의시대 표현 특성을 규명하였고, 패션 큐레이터 앤드류 볼튼(Andrew Bolton)에 의해 재조명된 패션브랜드 알렉산더 맥퀸의 디자인에 나타난 낭만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자료는 1992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한 맥퀸의 컬렉션 중 2011년 봄 5월 4일부터 8월 7일까지 개최된 메트로폴리탄 뮤지엄 전시회 ‘알렉산더 맥퀸: 야만적 아름다움’(Alexander McQueen: Savage Beauty)에서 보여준 작품 122점을 대상으로 전문가 6인에 의해 유목별 발생빈도와 디자인의 특징을 질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역사주의, 민족주의, 이국주의, 원시주의, 자연주의로 나타났다. 알렉산더 맥퀸의 창조적인 상상력과 정신은 낭만주의를 지나 현재를 재구성하려고 하는 패션브랜드에 비전과 지속적인 영감을 제시하고 미래의 새로운 유행으로 재창조 될 것으로 본다. An authentic fashion brand is beyond a function to supply just only logo or product itself, and has differentiation and meaning because emotion and mind exist in i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pply basic materials for brand projecting in the future fashion by analyzing romantic characteristic shown in Alexander McQueen's fashion, who is a fashion designer from England. He passed away suddenly on 11th, February in 2010 in the middle of coming into the spotligh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romantic characteristic through the advanced studies and documents and to grasp the romantic characteristic shown in Alexander McQueen's design reconfigured by Andrew Bolton, fashion curator. As a material for analysis, 122 works, among the collections presented from 1992 to 2010, are used, which were shown in the Metropolitan Museum exhibition from 4th, May to 7th, July in 201, in Alexander McQueen : Savage Beauty. And also 6 professionals analyzed the repetition rate each type and the characteristic of design in quality. The result shows that Historicism, Nationalism, Primitivism and Naturalism are classified. McQueen's creative imagination and mind will present a vision and continuous inspiration and recreate a new trend in the future to the fashion brands to reconstruct present after Romanticism.

      • 도시 브랜드의 전략적 관리와 과제

        김유경,이종락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커뮤니케이션연구소 2010 東西言路 Vol.27 No.-

        본 연구는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시 브랜드 관리의 전략적 과정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국가브랜드 가치 제고로 확장하기 위한 과제와 방안 을 지방정부의 역할 및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한국의 도시 브랜드 활성화를 위해서는 Substance의 개발, City Identity 정립, 도시브랜드 위원회의 설치, 전국 지역 브랜드 협의체 구성, 인프라 구축 및 행사 연계, 도시 브랜드 전문 교육시스템 구축, 공공-민 간 협력 파트너십 구축, 도시 간 공동브랜딩 모색, 체계적인 도시브랜드 자산 모형 구축을 통한 상설 평가 체제 구축이 필요하였다. 이는 국가브랜드력을 높이기 위한 선도적이고 적극적인 도시 정부의 역 할을 기대함과 동시에 국가와 도시 간 호혜적이고 발전적인 상호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조직적인 브랜드 관리 구조가 필요함을 강조하는 것이다. 나아가 효율적인 집행을 위해 행정적 메커니즘을 뛰어넘는 전략적 관리와 실행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 정수기용 폐 필터의 오염도 및 성능 평가

        김유경,홍예린,전병문,한상우,권영남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전량 폐기되는 정수기용 폐 필터를 재활용하고자 폐 필터의 오염도 및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 평가를 위해 실제 정수기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RO 멤브레인 필터(도레이 케미칼에서 제조)를 회수하여 flux 및 rejection 을 측정하였고, 대조군으로써 새 필터도 같은 조건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SEM), 감쇠전반사-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기(ATR-FTIR), X선 광전자 분광기(XPS)를 이용하여 폐 필터의 표면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폐 필터 표면에 막 오염(fouling)의 요인과 정도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폐 분리막 모듈의 재활용 및 복원 기술 연구를 통한 순환 활용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우심방 내로 돌출된 혈전을 동반한 신세포암 환자의 근치적 신적출술과 혈전제거술을 위한 마취관리 -증례 보고-

        김유경,이윤경,이지희,최성수,함경돈,황재현 대한마취통증의학회 2010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Vol.5 No.1

        Renal cell carcinoma (RCC) rarely extends to the cardiac chambers,and the presence of an extension of tumor thrombus to the inferior vena cava or the right atrium has not been shown to determine the survival of patients with RCC. Although an aggressive surgical approach remains the primary treatment for RCC, the anesthetic management remains a difficult intraoperative challenge. We report here on a case of performing cavoatrial tumor thrombectomy and radical nephrectomy in a patient with RCC with an intracardiac extension, and we used cardiopulmonary bypass and intraoperative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to assess and treat this tumor.

      • 생애단계별 여성의 취업행태와 정책과제

        김유경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보건복지포럼 Vol.199 No.-

        본 고는 2012년`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실태조사`자료를 활용하여 생애단계별로 살펴본 결과, 취업률은 결혼 직전에 88% 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막내아 초등학교 입학 전부터 증가하여 입학직후에 43%의 수준을 보였다. 또한 결혼 및 첫째아 출산 전·후 단계에는 대체로 동일 직종 및 종사상 지위를 유지하는 경향을 보이다 막내아 출산 전·후 단계로 오면서 비전문직종은 다른 직종으로 변경되는 경향이 높았다. 취업중단 이유는 결혼 전·후 단계에는 결혼 때문에, 출산시기인 첫째아와 막내아 출산단계에는 자녀양육 때문에 중단한 경향이 많았다. 정책과제로는 생애단계별 기혼여성의 취업지속성 제고 방안,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 방안, 생애단계별 고용안정화 방안,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 제거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Elastic net 회귀분석을 활용한 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예측요인 탐색

        김유경,이정원,김동호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22 한국교육문제연구 Vol.40 No.2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predi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SDL) of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perception on high school students’ SDL were examined regarding school, comparative activities, teachers, private education, career-academic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us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The components of SDL consisting of learning strategy, learning effort and learning attitudes were analyzed via elastic net, using data from the 8th year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Elastic net is a useful technique for large-scale data analysis to prevent multicollinearity problems and overfitting and to build a simple predic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the variables of six categories (the perception of school, comparative activities, teachers, private education, career-academic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us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DL. 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of learning ability, special aptitude development, career guidance of school, subject knowledge of teachers and internet searching did not affect or negatively affect SD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on the direction for improving SDL of high school students by category.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예측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8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고등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인식, 비교과 활동, 교사에 대한 인식, 사교육, 부모와의 진로 및 학업관련 관계 인식,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이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세 영역인 학습전략, 학습노력,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Elastic net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Elastic net은 대규모 데이터 분석에 유용한 기법으로 다중공선성 문제와 과적합을 방지하고 간명한 예측모델을 구축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 6개 항목(학교에 대한 인식, 비교과 활동, 교사에 대한 인식, 사교육, 부모와의 진로 및 학업관련 관계 인식, 컴퓨터 및 스마트폰 활용)에 속한 대부분의 변수가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기주도학습에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학습능력 배양, 특기적성 계발, 상담과 진로지도, 교사의 교과 지식, 인터넷 검색이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향상을 위한 방향성을 항목별로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와 빈곤에 대한 사고와의 관계

        김유경,김미경 대한사고개발학회 2013 사고개발 Vol.9 No.3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degree of faith maturity and thinking toward poverty among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teachers with Christian faith, thus providing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basic data for checking their faith and thinking and enhancing their attitudes for their roles as social supporters to young children under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poverty. The subjects for this study consisted of 239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for child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ttached to churches and missionary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recorded the highest degree of faith maturity in the doctrine, faith, and personality aspect in the descending order. Second, they showed a favorable and positive thinking toward poverty when their faith maturity was high. Third, their faith maturity had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their thinking toward poverty. Their faith maturity in the personality aspect, in particular, exhibited very high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their attitudes toward poverty. In conclusion, Christian early childhood teachers' faith maturity had relations with their thinking toward poverty. 본 연구는 기독교 신앙을 가지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신앙성숙 정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지역에 위치한 교회 부설 어린이집과 유치원, 선교원 등의 기독교 유아교사 239명이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교사의 신앙성숙도가 높을수록 빈곤에 대해 우호적이며 긍정적인 사고를 나타냈다. 둘째,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교리적, 신앙적, 인격적)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하는데 설명력이 있으며, 특히 인격적 측면의 신앙성숙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함에 있어 매우 높은 설명력을 가지고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기독교 유아교사의 신앙성숙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으며, 신앙성숙도가 높은 교사는 빈곤에 대해 우호적이며 빈곤의 원인을 사회구조적 문제로 인식하는 경향으로 긍정적 사고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신앙성숙도가 빈곤에 대한 사고를 예측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기독교 유아교사로서의 신앙과 사고를 점검하는 기회를 삼고 빈곤에 기인한 직·간접의 영향 속에 있는 유아에게 사회적 지지자로서의 교사 역할을 위한 태도함양 모색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