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용훈,김준수 대한심장학회 2004 Korean Circulation Journal Vol.34 No.4
Background and Objectives:The Implantable Cardioverter-Defibrillator (ICD) has become the standard treatment for patients with life-threatening or potentially life-threatening ventricular tachyarrhythm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arious clinical outcomes and courses of patients with ICD implantation from the perioperative period to the follow-up period. Subjects and Methods:We evaluated 12 patients (M:F=11:1) who underwent ICD implantation between October 20, 1999, and August 30, 2003.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dverse events were monitored and recorded from the in-hospital period to the follow-up period. Only one patient received dual chamber ICD. Results:The mean age of the patients at implantation was 56±13 years. The average duration of follow-up was 17.9±10.9 months. During the initial perioperative period, there were 8 events in 5 patients:ventricular lead dislodgement (n=1), electrical storm (n=1), difficulty in inserting ICD lead (n=1), appropriate shock (n=1), high DFT (Defibrillation Threshold, n=2), and hematoma (n=2). During the follow-up period, there were 6 events in 5 patients:atrial lead dislodgement (n=1), exchange of generator (n=1), upgrade to ICD with biventricular pacing (n=1), electrical storm with inappropriate shock (n=1), electric storm with appropriate shock (n=1), and appropriate shock without electric storm (n=1). Conclusion:We found that the clinical courses and outcomes were complex and varied from the perioperative period to the follow-up period. Thus, the therapeutic modality should be adjusted to individual and specific clinical circumstances. (Korean Circulation J 2004;34(4):395-404) 배경 및 목적: 심장성 급사의 위험이 높은 환자에서 삽입형 제세동기 치료가 사망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본원에서 ICD를 시술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시술 당시와 시술 후 경과 관찰 중의 임상적 특징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방 법: 1999년 10월 20일부터 2003년 8월 30일 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 심혈관센터에서 ICD를 시술 받은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명에게 dual-chamber ICD가 나머지 11명에게는 single-chamber ICD가 시술되었다.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적 특징과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56±13세였고, 남자가 11명, 여자가 1명이었다. 시술 후 관찰기간은 17.9±10.9개월이었다. 기저질환은 허혈성 심질환 환자가 6명(50%), 비후성 심근증 환자가 3명(25%), 우심실이형성증, 동기능부전증후군과 심방세동에 동반된 심실빈맥, 기질적 심질환이 없는 환자가 각각 1명이었다. 내원 시 빈맥성 부정맥 형태는 지속성 단형 심실빈맥이 5명(41.7%), 비지속성 단형 심실빈맥이 3명(25%), 지속성 단형 심실빈맥과 비지속성 단형 심실빈맥을 동시에 보인 경우가 1명(8.3%), 심실세동이 3명(25%)이었다. 시술 당시와 추적관찰에서 각각 5명의 환자에서 특징적 사건이 발생하였다. 시술 당시를 살펴보면, DFT가 높게 측정되어 reverse polarity를 이용한 경우, DFT가 높게 측정되어 ICD 시술에 실패한 경우, electrical storm이 발생한 경우, active ICD lead를 사용한 경우, 심실전극의 위치를 조정한 경우, 적절한 shock이 발생된 경우가 각각 1예, 혈종이 형성된 경우가 2예 발생하였다. 추적관찰 시에는 심방전극의 위치를 재조정한 경우, ICD 전원 발생기의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기계적 문제로 ICD 전원발생기를 교체한 경우, 타원에서 biventricular pacing 기능이 있는 ICD로 교체시술을 받은 경우, 동빈맥으로 인한 부적절한 shock이 electrical storm 양상으로 나타난 경우, electrical storm이 발생되면서 적절한 shock이 발생된 경우, electrical storm은 없으면서 적절한 shock이 발생된 경우가 각각 1예씩 발생하였다. 결 론: ICD는 심실성 부정맥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ICD의 시술과 동반되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들은 시술당시와 경과관찰 중에 다양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또한 개개인에 따라서도 다양하다. 따라서, ICD시술 후의 치료는 개개인 임상적 특징에 따라 개별화되어야 한다.
기내흡연 저감 대책에 관한 연구 - 비운임(non-ticket) 수익 모델 개발을 중심으로 -
김용훈,유성훈,오동민,황호원 한국항공경영학회 2017 한국항공경영학회 춘계학술대회 Vol.2017 No.-
우리나라는 1948년 항공 산업에 첫 발을 디딘 이후, 68년만인 2016년 국내 항공역사상 최초로 연간 항공여객 이용객 1억 명을 돌파하였다. 우리나라는 1987년에 이르러서 항공여객1,000만 명을 돌파하였으며, 여러 어려운 여건 속에서 꾸준히 성장한 결과 2007년에는 항공여객 5,000만 명을 돌파했다. 이후 불과 채 10년도 지나지 않은 2016년에 항공여객 1억 명시대를 달성해냈다. 그러나 이러한 각계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항공 보안에 관한 중요도의 인식은 부족해 보이기만 하다. 작년 초에 일어난 불법입국 사건을 시작으로 공항 내 폭발물 의심물체 설치, 여행 목적지의 날씨가 나쁘다는 이유로 자발적 하기(下機)기를 요구해 항공기가 출발 지연된 사건 그리고 최근 발생한 승객 기내난동 사건 등으로 인해 항공보안에 관한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은 현재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기내 흡연 문제의 경우, 최근 5년간 공항경찰대에 인계된 불법행위 중 기내난동, 음주 후 위해행위보다 더 많은 수(806건, 75.6%)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심각하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와 국회는 최근 항공보안법을 개정해 기내 흡연 시 처벌수위를 강화하는 등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고 있으나, 예방적 차원에서의 대책은 현재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착안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애연가들의 흡연 욕구를 대신 충족할만한 금연보조제 등의 대체수단을 제공하여 안전운항을 위협하는 기내 흡연을 사전에 방지하는 대책을 강구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대체수단을 최근 항공사들이 부가적인 매출을 위해 개발하고 있는 비운임(non-ticket) 수익 모델 중 하나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이러한 대체수단을 제공하기 위해서 현재 국내의 관련 법령 및 제도에 대해서 분석해보고, 해외 유수의 항공사들이 운용하고 있는 비운임(non-ticket) 수익 모델 등을 참조하여, 국내 항공사들이 비운임(non-ticket) 수익 모델로 활용할 수 있는 기내흡연 저감 대책을 강구하고자 한다.
NEIS 평가시스템 기능 향상을 위한 필기체 한글 인식
김용훈,박성호 전남도립대학교 2006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Vol.8 No.-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the Korean handwriting recognition method with the help of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Learning Method, apply the method to the evaluation system, and improve the problems derived from the multiple choice type test. When the short written answers were scored, every syllable was divided into graphemes and strokes were extracted. Extracted stroke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of their appearance, and then trained with six Type Recognition Neural Network. They were trained and recognized again with the specific neural network. After trained by PE92, the certified DB, and recognized by using the result of the subjective answers, the recognition ratio was 79.2%. This ratio is higher than the ratio in previous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