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대(經臺) 김상현(金尙鉉)의 교유시에 대한 일고찰

        김용태 ( Kim Yong-tai ) 한국한문학회 2021 韓國漢文學硏究 Vol.- No.83

        김상현은 19세기 중반 서울 문단의 중요한 작가였지만 안타깝게도 문집이 오늘날 전해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그가 젊은 시절에 지은 시들을 모은 『경대시략』과 『경대시존』만전하고 있다. 본고는 이 자료를 통해 김상현의 교유시를 살펴보았다. 젊은 시절 김상현의 교유는 크게 ‘정약용 부자와의 교유’, ‘김매순과 홍석주 등 선배 문인과의 교유’, ‘윤종의와 박규수 등 동료 문인과의 교유’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정약용 부자와의 교유’에서는 김상현이 어떻게 당파가 다른 정약용에게서 가르침을 받을 수 있었는지 그 경위를 밝혔고, 어린 김상현의 눈에 정약용과 정학연이 어떠한 모습으로 비쳤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부분은 향후 다산학단의 시문학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선배 문인과의 교유’에서는 ‘북촌 한문학’이 19세기 전반기 세대에서 중반기 세대로 이어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김상현은 김매순, 이정리, 홍석주 등 선배들의 학문과 문학을 존경 어린 시선으로 증언하고, 선배들은 김상현을 격려하며 이끌어주었다. ‘동료 문인과의 교유’에서는 1840년 무렵 김상현이 동료 문인들과 매우 활발한 교유 활동에 나섰음을 확인하였다. 이 당시 이들의 움직임에서는 대단히 활기찬 에너지가 감지되는데, 끈끈한 동지적 결속을 바탕으로 미래에 대한 희망이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은 문학사를 넘어 정치사에서도 주목할 지점이라고 생각되는바 향후 학계의 집중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Kim Sang Hyun is an important writer of Seoul literary circles in the mid-19th century, but unfortunately, his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s not available today. However, the books of poetry he wrote when he was young, “Kyung Dae Si Ryak(經臺詩略)” and “Kyung Dae Si Jon(經臺詩存)” remain. Therefore,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poems he wrote while interacting with people, based on Kyung Dae Si Ryak and Kyung Dae Si Jon, which are the only materials that can examine the literary world of Kim Sang Hyun. Kim Sang Hyun’s social interaction in his youth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eraction with Jeong Yak Yong’s family”, “interaction with senior writers such as Hong Seok Ju”, and “interaction with fellow writers such as Yoon Jong Eui and Park Kyu Soo”.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Jeong Yak Yong’s family”, I revealed how Kim Sang Hyun was able to be taught by Jeong Yak Yong of other factions. In addition, Kim Sang Hyun’s poems about Jeong Yak Yong’s family were examined to understand what the appearances of Jeong Yak Yong and Jeong Hak Yeon were reflected in the eyes of Kim Sang Hyun at that time. The contents in this chapter can be used for future study on literature of Dasan Academy.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senior writers”, it was possible to see how “Sino-Korean literature in Bukchon” was changing from the first half of 19th century to the mid-19th century. Kim Sang Hyun respected the studies and literature of his seniors such as Kim Mae Soon, Lee Jeong Ri, and Hong Seok Ju. Hence, the seniors encouraged and guided him. In the chapter on “interaction with fellow writers”, it was confirmed that Kim Sang Hyun had active interaction with many fellow writers around 1840, while he had mainly interacted with the Jeong Yak Yong family and senior writers before. This fellowship seems to come from the strong comradeship between young writers and their hope for the future. However, this atmosphere rapidly disappeared after the death of Heonjong of Joseon. This point should be noted not only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ut also in the history of politics, and intensive research will be necessary for the future.

      • KCI등재

        USN 기반의 실시간 수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김용태,유능환,박길철,김석수,김태훈,이상호,Kim, Yong-Tae,Yoo, Neung-Hwan,Park, Gil-Cheol,Kim, Seok-Soo,Kim, Tai-Hoon,Lee, Sang-Ho 한국정보통신학회 200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6

        기존의 수도설비의 밸브실과 유량계의 관리는 기계적이고 숙련자의 경험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USN 기반의 실시간 수도설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시설물 관리는 안전성과 정확성을 제공함으로서 양질의 수자원을 관리하는데 기술적인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USN(Ubiquitous Sensor Network)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망을 이용한 수도 시설물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수도 설비 중에서 밸브실과 유량계실을 대상으로 유량계, 압력센서, 진동센서, Co센서, 온 습도센서들의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센서로 구성된 USN을 구성하고, USN으로부터 실시간으로 수도 시설물 정보 및 수(水)처리 측정 정보를 수집하여, CDMA망을 통해 원거리 관제 시스템에 전송한다. USN 기술을 이용하여 수도설비를 관리함으로서 현장에서의 편리성, 안전성, 정확성을 높여 더욱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깨끗한 수돗물을 공급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This paper has researched water supply facilities management using real-time water utili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which is consisted of wireless sensors transferring waterworks facilities md treatment information about a valve-room and flowmeter-room of water supply installation. In the manholes, it was installed with flowmeter, pressure sensors, vibration sensors, Co-sensors, and hydro-thermograph sensors. These measurement values which are received by PDA are used for facilities operation on the spot safely and conveniently. It has also provided safe installation management via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network which transfers data to remote servers to monitoring at a distance place. With safety management system of water supply facilities on USN technology convenience and safety is increased in real situ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we can supply clean water to people as much safer and more effective water supply installation management.

      • KCI등재

        아시아 공공주택기관의 사업특성 및 재무현황 비교 연구 : 한국, 일본, 싱가포르, 홍콩을 중심으로

        김용태,박신영,조승연,Kim, Yong-Tai,Park, Shin-Young,Cho, Seung-Yo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1 토지주택연구 Vol.2 No.4

        Recently,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Korea is the huge debt and future role of Korea Land and Housing Corporation. In this rega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implications from other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such as UR of Japan, HDB of Singapore and HA of Hongkong. The changes of housing policy since 1960s, business and financial structure of housing agencies in each nation are investigated and compared. As a result, some policy directions can be proposed as follows : review of current mass housing program, relaxing qualifications for public rental housing, promotion of urban renewal projects, reinforcing cooperation with private sector and local governments, more government's support to LH's financing and loss from businesses for public interests and re-evaluation of LH's deb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at suggestions to improve housing policy and to alleviate financial problem of LH are based on the actual conditions of public housing agencies in Asian countries where the housing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s similar to Korea, not on the theoretical basis.

      • KCI등재

        錦舲 朴永輔의 글쓰기에 끼친 茶山의 영향

        김용태(Kim, Yong-tai) 대동한문학회 2020 대동한문학 Vol.62 No.-

        박영보는 19세기 조선의 유명한 시인이었던 신위의 수제자였다. 스승을 따라 박영보 또한 19세기 중반 서울의 유명한 시인이 되었다. 그런데 박영보는 조선 후기를 대표하는 대학자였던 정약용에게 직접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정약용은 박영보의 재능을 아껴 학자로서 대성하기를 바랐지만, 박영보는 학자의 길 대신에 관료의 길을 선택하였다. 그렇지만 두 사람의 사제관계는 다산이 삶을 마칠 때까지 이어졌고, 정약용의 가르침은 박영보의 사상과 행동에 적지 않은 영향력을 발휘했다. 박영보의 풍부한 작품세계에서 그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정약용의 문학과 사상의 영향이 감지되는 시와 산문 작품이 뚜렷이 존재한다. 그 작품들을 통해 박영보는 백성들의 고통을 자신의 아픔으로 여기기도 하고, 수리시설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하고, 군사적 방어시설의 확충을 주장하기도 하고, 수레 제도의 개선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이런 작품들은 정약용의 사상과 일정한 연관 관계를 맺고 있다고 보인다. 그렇지만 박영보를 학자나 사상가로 규정할 수는 없다. 정약용의 사상과 학문을 계승하고 있는 저술이 많지는 않기 때문이다. 박영보는 관료의 삶이 너무 바빠 학문에 전적으로 힘을 기울일 수 없었다. 다만 그는 정약용에게서 배운 애민정신을 실제로 실천하기 위해 모든 힘을 기울였고 성실하게 관료 생활에 매진하다가 결국 과로로 삶을 마감하고 말았다. 이러한 점은 박영보라는 시인을 이해할 때 비중 있게 고려되어야 하며 또한 정약용의 학문이 후학에 의해 활용되었던 한 양상으로 기억되어 마땅하다. Park Young-bo was a brilliant pupil of Shin Wi, a famous poet of Joseon in 19th century. As his teacher Shin Wi was, Park became a famous poet in the mid-19th century Seoul. Park Young-bo not only learned from Shin Wi but also from Dasan Jung Yak- yong, one of the prominent schola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Jeong Yak- yong hoped to conserve Park Young-Bo s talents and succeed as a scholar, but Park Young-Bo instead chose the bureaucratic pat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ntinued until Dasan finished his life, and Jeong Yak-yong s teachings exerted considerable influence on Park s thoughts and actions. Although it is not a large proportion of Park Young-bo’s abundant literary works, some of his literary works express what he learned from Jung Yak-yong in poetry and prose. Throughout these works, Park Young-bo grieved at the people’s suffering, insisted on the need for irrigation facilities, claimed the expansion of military defense facilities, and demanded the improvement of the wagon system. These works are closely related to Jung Yak-yong’s thoughts. In spite of that, Park Young-bo cannot be defined as a scholar or a philosopher. This is because there are not many writings that inherit the thoughts and studies of Jung Yak-yong. Park Young-bo’s official life was so busy that he couldn t concentrate fully on literary studies. However, he did his best to practice the love of the people he learned from Jung Yak-yong, and he ended his life with overwork while serving as a government official. This poin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understanding the poet Park Young-bo, and it should be remembered as one aspect in which the studies of Jung Yak-yong were used by later schola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한문학에 있어서 의고주의(擬古主義)연구의 최근 쟁점

        김용태 ( Yong Tai Kim ) 우리한문학회 2014 漢文學報 Vol.30 No.-

        This paper seeks to explain the most recent controversy surrounding Archaism(擬古主義) and examin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There are two central issues regarding Archaism(擬古主義) addressed in this paper. The first, concerns the question whether Chosoˇn society spontaneously formed Archaism(擬古主義) or whether they only partially made use of it. Second, was Archaism(擬古主義) of literature popular because of internal requirements or external influences? An important area of discussion also must address the actual definition of Archaism(擬古主義). The uncertainty surrounding exact definition has led to the opposing arguments listed in the first issue regarding spontaneity or partial use. Therefore, an initial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of Archaism(擬古主義) must be the point of departure in the East Asia region. Subsequently a more focused analysis on literary works may proceed in more concrete terms. Additionally, challenges with the second debate discussed in this paper regarding internal requirements`` or external influences, these questions will naturally be solved if a comparative study is undertaken on Thoughts in East Asia. In conclusion, if the academic community is to achieve new perspectives on the study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in East Asia, arguments related to Archaism(擬古主義) will also be resolve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시대 漢詩文에 나타난 景福宮에 대한 心象

        김용태(kim yong tai)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6 동양한문학연구 Vol.43 No.-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法宮이었기에 경복궁에 대한 수많은 시와 산문이 지속적으로 창작되었다. 이 글들을 검토하게 되면 ‘경복궁’이 어떻게 표상되었는지를 시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경복궁은 지금도 ‘복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인문학적 깊이를 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는 ‘세움(영광)’과 ‘무너짐(성찰)’이라는 열쇠말을 통해 이 자료들을 분석해 보았다. 주지하듯, 경복궁은 창건 이후 수차례에 걸쳐 화재등의 심각한 재해를 입었으며 임진왜란 때는 완전히 폐허가 되었다. 그 후 19세기에 대규모 중건이 이루어졌지만 일제시기에 대부분의 전각이 헐리고 말았다. 이런 점에서 ‘세움’과 ‘무너짐’은 의미 있는 분석의 도구가 될 수 있 다고 보았다. 먼저 ‘세움’과 ‘영광’을 강조하는 글들에서는 조선왕조의 무궁한 안녕을 바라는 마음이 강하게 투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폐허가 된 이후에도 이 마음을 담은 글들이 지어졌으며, 이것이 결국 19세기 경복궁중건으로 이어졌다고 본고는 분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글들은 다분히 ‘선전’의 목적을 띄고 있어 문학적 흥취는 높지 않은 경향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경복궁이 심하게 훼손됨을 목격하고 지어진 글들은 보다 성찰적 성격을 지니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경복궁이 무너진 원인을 찾는 가운데 자연스럽게 지배계층의 반성을 유도하는 내용이 담기게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임란 이후 경복궁이 오래도록 폐허로 방치되자 그곳이 여러 사람들이 유람하는 곳이 되었던 점이 흥미롭다. 당시 사람들은 그곳을 생활의 일부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였던 것이며, 이를 표현한 한시들이 많이 지어졌다. 이러한 점을 살펴보았을 때, 경복궁은 ‘영광의 기억’과 함께 ‘폐허의 기억’도 동시에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으며, 향후 경복궁 복원 사업을 해나감에 있어 ‘영광’의 측면만 강조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볼수 있다 This paper will analyze poetry and prose related to Gyeongbokgung in two major keywords, “building/glory” and “demolition/introspection”. Since Gyeongbokgung had been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people in the Joseon era had consistently written a lot of poetry and prose about Gyeongbokgung. By examining the poetry and the prose,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ow Gyeongbokgung had been symbolized in each period. Furthermore, we will be able to add new humanistic meanings to Gyeongbokgung's recent reconstruction plan. The reason why we should look at the writings related to Gyeongbokgung through the keywords of “building/glory” and “demolition/introspection” is as follows. In fact, the palace has both the memory of glory and that of pain. To be specific, while Gyeongbokgung had reigned as the main palace of the Joseon for several years, it had also suffered from few major fire, and thoroughly ruined during the Imjin War(1592~1598). In the 19th century, the palace had underwent reconstruction plan on a large scale, however the majority of the buildings were demolished in the Japanese ruling era. In this point, two keywords mentioned above will be an effective tool to analyze the writings. In the case of the writings which emphasize the positive aspects about Gyeongbokgung, such as “building” and “glory”, we can understand that patriotism toward the Joseon Dynasty is strongly reflected in the writings. After the demolition, the writings with patriotic purposes were written continuously, and the writings seem to result in the reconstruction plan of the 19th century. However, these writings have strong propagational purpose, so they show a tendency of lacking in literary merit.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writings which emphasize the aspect of the demolition, the writings reveal the characteristic of introspection. Looking for causes of the palace’s destruction, writers put contents that led the ruling class to an introspection naturally in their writings. Interestingly, after Gyeongbokgung went by ruins, it was used as a place to entertain many ordinary people. At that time, people considered the palace as their part of life, and this notion was portrayed by Joseon writers in numerous Chinese poetry. Considering these standpoints, we are able to say that Gyeongbokgung has both memory of glory and that of demolition, and we are able to argue that we should pay attention to memory of demolition not only the palace’s glorious memory.

      • KCI등재

        표해록(漂海錄)의 전통에서 본 『海外聞見錄』의 위상과 가치

        김용태 ( Yong Tai Kim ) 한국한문학회 2011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48

        일본 천리대학에 소장되어 있는 『海外聞見錄』은 宋廷奎(1656?1710)가 1704년 제주목사로 부임하여 저술한 漂海錄이다. 『해외문견록』에는 17세기 초반부터 18세기 초반까지 제주에서 발생하였던 표류 관련 사건이 수록되어 있는데, 기존의 표해록이나 여타 자료에 보이지 않는 정보가 풍부히 담겨 있어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예를 들어, 1611년에 발생하였던 이른바 ''유구(오끼나와) 왕자 살해설''과 관련해서는, 베트남에서 일본 측에 보내는 외교문서가 수록되어 있는데, 이 외교문서는 다른 어느 자료에서도 볼 수 없는 내용이다. 또 1653년 발생하였던 ''하멜 표류''와 관련해서는, 송정규가 제주 관아에 보관되어 있던 하멜 일행의 무기류를 직접 살펴보고 그 특징을 자세히 기록한 내용이 있는데, 이 또한 『해외문견록』에서만 볼 수 있는 내용이다. 이밖에 『해외문견록』에는 중국 선박의 구조에 대한 치밀한 보고서가 수록되어 있고, 중국 남부, 베트남, 일본, 대만 등지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국제 무역의 현황에 대해서도 많은 정보가 수집되어 있다. 당시 조선은 민간의 해외 무역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었던 시절임에도 불구하고, 송정규가 이러한 저술을 하였던 것은, 언젠가는 해양의 시대가 열릴 것이므로 이를 대비해야 한다는 송정규의 사상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송정규의 혜안은 朴齊家(1750~1805)가 『北學議』(1778)를 저술하여 해외통상을 주장하였던 것보다 수십년을 앞선 것이니 만큼, 이에 대한 학계의 정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Overseas Travelouge in the possession of Tenri University of Japan is Pyohaerok authorized by Song Jeong-gyu(1656~1710) after he was assigned to serve as the governor of Jeju in 1704. The Overseas Travelouge describes ships drifting incident that occurred off Jeju from the early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Compared with other ship drifting records and other data, Pyohaerok encompasses ample information, offering highly valuable materials. For instance, in connection with the presumed homicide of Prince Yugu (Okinawa) in 1611, the Overseas Travelouge describes a diplomatic document that Vietnam sent to Japan, and this document is not mentioned in other materials. Also, in connection with the Hamel's Account of the Voyage in 1653, Song Jeong-gyu detailed the weapons of the Hamel-led travellers which were kept at the Jeju government office, after he personally observed them. This description can be found only in the Overseas Travelogue. In addition, the Overseas Travelogue describes details of Chinese ship structures, as well as international trades conducted in southern China, Vietnam, Japan and Taiwan. At that time, Joseon strictly banned non-governmental overseas trade, but by writing the book, Song Jeong-gyu probably believed that the country must prepare for the opening of marine era someday. Such foresight was tens of years ahead of that of Park Je-ga (1750~1805) who recommended to conduct overseas trade by writing Bukhakui (Observations of Qing China Civilizations) (1778). As such, his foresight should be rightly evaluated by the academ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