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계명대 소장 「유연전 후서」를 통해 본 「이생송원록」

        김영연 국문학회 2020 국문학연구 Vol.0 No.41

        본고에서는 권득기(權得己, 1570∼1622)의 「이생송원록(李生訟寃錄)」을, 계명대 소장 필사본 『유연전』에 실려 있는 이항복의 「유연전 후서(後敍)」와 비교하여 고찰하였다. 「유연전 후서」는 현재까지 제목만 알려져 왔고 실물은 전해지지 않은 자료로, 「이생송원록」의 창작 동기와 내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마리를 담고 있다. 「유연전 후서」의 내용을 살펴보면, 「유연전」의 내용과는 달리, 「유연전」의 작자 이항복 스스로도 유연 옥사의 주범을 이지(李禔, 1523∼1579)로 단정하는 데 유보적이었다는 점 및 유연 옥사 당시 유유로 사칭했던 사기꾼 채응규에게 현혹된 사람들이 보다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유연전 후서」의 내용 중에서도 당시 유연 옥사의 주범으로 지목되었던 이지의 무고(無辜)함을 뒷받침할 수 있는 단서를 위주로 유연 옥사의 전개를 재구성한 것이 「이생송원록」이다. 본고에서는 계명대본 『유연전』에 실린 텍스트들의 내용을 참조하여, 현재까지 창작연대가 불확실했던 「이생송원록」의 창작시기를 1609년 이후로 비정(比定)함과 더불어, 내용 면에서 이지의 무고함을 뒷받침할 근거로 채응규의 성공적인 사기 행각을 상술하였고 특히 유연까지도 채응규의 사칭에 속았음을 강조한 점에 주목하였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Yisaengsong’wŏllok(A Record for redressing Mr. Yi’s grievances) in comparison to a newly found manuscript, Yuyŏnchŏn Husŏ(Afterword to the Biography of Yuyŏn) included in Yuyŏnchŏn, held by Kyemyŏng University library. Yuyŏnchŏn Husŏ which has been known by its title without contents offers valuable information and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Yuyŏnchŏn written by Yi Hangpok: first, the author of Yuyŏnchŏn which blames Yi Ji, Yu Yŏn’s brother- in-law, doubted the culpability of Yi Ji; second, the impersonator Chae Ŭngkyu was extremely successful in impersonating Yu Yu, Yu Yŏn’s elder brother, hence many people were bewildered by Chae’s fraud, which exculpates Yi Ji’s intentional framing of Yu Yŏn. Also, ‘Yuyŏnchŏn Husŏ’ allows specifying the year Yisaengsong’wŏllok was written, which is after 1609. Yisaengsong’wŏllok elaborates Yuyŏnchŏn Husŏ by focusing on the following points: Yu Yŏn himself once misrecognized Ch’ae Ŭngkyu as his own brother, which is silenced in Yuyŏnchŏn. These features imply that we need to take the historicity of literary texts more seriously rather than solely focus on aesthetic aspects of a given text.

      • KCI등재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찰

        김영연 한국교원교육학회 2008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삶을 풍성하고 윤택하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문화 체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를 통하여 체험 속에 내재하는 상징적 체계에 대한 이해와 향유를 도모해주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유아교사교육에 적용해 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관련 문헌과 인터넷 자료 조사를 통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유아교사에 대한 시사점, 문화예술교육의 현실에 대하여 지역사회에 연계한 외국의 사례와 더불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문화예술교육은 교육과정에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유아교육내용이라는 점과 이에 대한 교육이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활발히 전개되고 있는 외국에 비하여 우리의 문화예술교육 현실은 매우 취약하다는 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향후 유아교사교육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구체적 내용과 방법 그리고 효율적인 실행을 위한 지역사회와의 협조체제 구축등에 대한 지속적인 안내와 교육애 대한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예술경험영역 음률(음악) 및 음악활동 내용분석

        김영연,이성화,김경숙,김복희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usic activity plans provided in the teachers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three- to five year children and belonged to an art experience category,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provided activity goals match with it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assessment as well. From the review of related materials o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curriculum and Nuri curriculum, Tyler's curriculum plan model of goal, contents and methods and assesment was utilized as a analysis too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activity goal was not matched with contents and teaching method and there was weak connect between the music subject knowledge and curriculum. In other words, music knowledge was not reflected to the activity plans, also no guideline was provided regarding assesment for each activity. This implies that there is need for a clearly mentioned arts experience activity plans in the teaching manual of Nuri curriculum for the pursuit of high quality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lso it was suggested that requires exist professional academic communication among the music, curriculum and education professional scholars in the proces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음악 활동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제시된 활동안의 음악 활동의 목표가 활동영역의 관련요소와 관련성이 높은지, 목표가 활동서술어로 구체적이며 명확하게 진술되었는지, 활동 내용과 방법의 선정이 발달수준과 목표 도달에 적합한지, 유아가 목표에 도달했는지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었는지에 대해 분석하는 일은 추후 음악교육에 기초를 둔 유아교육과정 발달에 도움을 줄만한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관련 문헌과 1985년 이후 최근까지 발행된 유아교육과정 관련 석․박사 학위논문 및 유아음악교육 관련 단행본 등에 대한 검토를 거쳐 「3-5세 연령별 누리과정」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음악활동안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음악 활동안의 목표와 내용범주-내용-세부내용과의 관련성이 미약하다는 점, 목표 진술의 구체성과 명확성이 부족하며, 진술된 활동내용과 방법으로는 목표 도달에 어려움이 예상되는 점과 유아의 목표도달 여부에 대한 평가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점이 밝혀졌다. 이는 국가수준의 유아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음악활동은 음악교과학, 유아교육학, 교육과정의 내용지식에 기초하여 교육과정 수립의 단계로부터 연구 검토된 내용이, 활동 목표의 설정, 활동 내용과 방법의 선정, 활동 후 목표 도달 여부를 확인하는 평가에 대한 내용을 교사용 지침서에 구체적으로 진술하여 유아교사의 현장 활용을 돕고 궁극적으로는 유아의 음악적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유아교육과정의 개발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우리나라의 산업발달과 사회교육 : 근로청소년을 중심으로

        김영연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1979 교육 연구 Vol.- No.48

        현대는인구폭발, 지식의 폭발로 인하여 모든 면에서 교육적 기능이 아쉬운 시대이다. 우리나라 역시 19C 이후 산업화가 이루어지면서 급속한 사회변동을 가져왔고, 교육 또한 학교 교육외의 교육이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총 근로자중 45%가 청소년근로자인 우리나라의 경우 평생교육으로서의 사회교육은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그런데 우리나라에는 아직 사회교육법잉 제정되어 있지 않고 예산 또한 상당히 부족하여 앞으로 미래를 이끌어 갈 자라나는 청소년에 대한 사회교육은 매우 저조한 상태를 면치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는 시급히 사회교육에 대한 법적체제를 구축하고 충분한 재정적 지원을 하여 민주시민으로서의 교양과 자질을 갖춘 훌륭한 인간의 양성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하며, 각 기업체 및 지역사회, 국가는 서로 유기적인 관련을 맺고 이들에 대한 계속적인 교육을 지원하여야 한다.

      • KCI등재

        TV 유아교육프로그램과 유아음악교육

        김영연 한국유아교육학회 1996 유아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1980년대 말부터 최근까지 발표된 TV 유아교육 프로그램과 관련된 연구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에서 방영되고 있는 TV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음악교육적 측면에서 관찰 분석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노래 전달 방식과 전달자에 있어서 부정적인 측면이 있었고, 악기의 활용이 단순했으며 음개념 전달에 중심을 두어야 하는 유아음악교육에로의 접근이 결여되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TV 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상업적, 오락 중심에서 탈피하여 유아의 음악성 발달을 유도하는 교육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을 요구한다. 또한 교육적인 TV 유아교육 프로그램의 제작을 위해 유아교육자, 방송관계자, 음악교육가를 주축으로 하는 방송 연구기구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There have been several children's educational TV programs in Korea since the 1980's. However, most children's educational TV programs seem more concerned with commercial rather than educational asp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V programs from an educational point of view, especially music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at differences exist among programs in terms of song teaching methods, singers, ways in which song texts are transfered, program length, and frequency with which instruments are used. Most children's educational TV programs are still inclined to commercialism rather than to education. However, 'Tingdongdaeng TV yuch'iwon' by EBS is educationally excellent both in the selec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in the method used for teaching music. Based on this study's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1. A new song should be repeated and accompanied by its text on the screen at least three times. 2. Young singers rather than older ones should perform. 3. Music should be played by itself, not as a background for other activities. 4. Various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traditional Korean Changgo, should be presented. 5. More than twenty minutes should be allotted per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