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50~60년대 外來語 表記 政策 樹立과 普及에 관한 一考察 –문교부(1958),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를 中心으로–

        김아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51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loanword transcription policy in the 1950s and 1960s by reviewing printed materials such as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58 and editing materials No. 1 and No. 3. The “Koreanization of Roman Characters” is a revision of the loanword writing norm enac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1948, and is an orthography that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current loanword writing rules. In the 1950s, there was no institution or department dedicated to Korean language policy; therefore, the Korean language related committee performed research and discussed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itself. At the time of enactment, this norm mainly considered only the transcription of English loanwords, but later supplemented the detailed rules of various languages through editing materials. In addition, a memo from the reviewer in the book makes it possible to check the discussions of policymakers at that time, such as regarding long vowel writing. The fact that loanword orthography was supplemented, and examples of loanword usage were disseminated through editing materials reveals that when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in charge of Korean language policy, the dissemination of language regulations was emphasized in the public domain, especially in the field of education. 김아영, 2023, 1950~60년대 외래어 표기 정책 수립과 보급에 관한 일고찰, 어문연구, 197 : 81~106 이 연구에서는 문교부에서 1958년 제정한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과 편수 자료 제1호(1959), 제3호(1960) 등의 실물 자료를 검토하여 1950~60년대 당시 외래어 표기 정책의 수립과 보급 양상을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마자의 한글화 표기법”은 문교부에서 1948년 제정한 “들온말 적는 법”을 개정한 것으로, 현행 “외래어 표기법”에도 큰 영향을 끼친 표기법이다. 1950년대에는 국어정책 전담 기관이나 부서가 없어 국어 관련 위원회에서 표기법의 개정을 직접 논의하였다. 이 표기법은 명칭에 ‘로마자’를 사용한 것이 특징이며, 제정 당시 영어 외래어 표기만을 주로 고려하였으나 이후 편수 자료 를 통하여 다양한 언어의 세칙을 보완하였다. 실물 자료에 남아 있는 당시 검토자의 기록을 통해 장모음 표기 등에 대한 정책 입안자들의 논의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편수 자료 를 통해 외래어 표기법이 보완되고 외래어 용례가 보급되었다는 점은 문교부가 국어정책을 주관하던 당시에는 공공 영역 중 특히 교육 분야에서 어문규정의 보급이 중시되었다는 일면을 보여준다.

      • KCI등재

        뇌경색환자에서의 자기공명영상 및 자기공명 혈관조영술 소견간의 비교

        김아영 대한영상의학회 1996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4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magnetic resonanceangiography(MRA) in patients with cerebral infarction by comparative analysis of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Materials and Methods : MRI and MRA using 3D time-of-flight(TOF) technique with magnetization transfer andramp(MTR) or 3D TOF with multiple overlapping thin slab acquisition(MOTSA) were performed in 39 patients withcerebral infarction. Vascular lesions detected on MRA were classified as “normal”, “stenosis” and“occlusion”, and the different infarction sites were named according to their vascular territory. Correlationbetween MRI and MRA findings was evaluated. Results : In 24(62%) of 39 cases, MRA showed stenosis or occlusion and19(86%) of those corresponded to their vascular territory of infarction, as visualized on MRI. In 15(62.5%) of the24 cases, MRA revealed additional diagnostic information such as visualization of unpredicted vascular lesions orthe presence of collateral circulations. Of the 15 cases diagnosed as normal according to MRA, most of themactually had small infarctions of less than 2cm in maximal dimension in the area of the perforating arteries.Conclusion :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vascular lesion observed by MRA and the distribution ofthe infarct areas on MRI. Additional information was provided by MRA obtained together with conventional MRI.

      • KCI등재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and Buhrer) Nickle]의 GaLectin에 대한 특이적인 단클론 항체 제작과 진단에의 활용

        김아영,김영하,최보혜,트랑뉴겐,윤경재,이시혁,한혜림,고영호,Kim, A-Young,Kim, Young Ha,Choi, Bo-Hye,Nguyen, Trang,Yoon, Kyungjae Andrew,Lee, Si Hyeock,Han, Hye-Rim,Koh, Young 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1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PWN) 감염 소나무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진단을 할 수 있는 방법은 현재 없다. 본 연구에서는 PWN특이적인 항원으로 알려진 PWN-GaLectin을 baculovirus발현체계로 발현시켜서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라이브러리를 제작 하는 항원으로 이용하였다. 총 1,464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 중, PWN-GaLectin에 대한 높은 반응을 보이는 62개의 fusion hybridoma 세포 주를 선별했다. 이들 중, 표준 PWN 감염소나무 PBS추출물과 PWN 단백질 추출물에 강한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 12개를 선별하여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 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한 limited dilution을 실시하였다. Mab분비세포 주 확립을 위해서 표준 PWN 감염소나무 추출물에 대한 반응이 표준 정상 소나무 추출물 보다 높은 세포 주들을 선별했다. 그리고 추가로 PWN 단백질 추출물에 대해서 3종의 비 병원성 선충 단백질 추출물 보다 높은 반응을 보이는 세포 주들도 선별, 확립했다. 본 연구에서 확립된 Mab들을 우리는 현장과 실험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신속진단키트의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there is no available tool that rapidly diagnoses pine wood nematode (PWN)-infected pine trees in the field. In this study, we synthesized and purified PWN Galectin, which might be an antigen specific to PWN, using the Baculovirus expression system. We used PWN Galectin as an antigen for generating 1,464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abs). Among them, we selected 62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high reactivity to PWN Galectin. We further selected 12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high reactivity to the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extract. Additionally, two fusion hybridoma cell lines showing no or extremely low reactivity were used as controls. The selected fusion hybridoma cell lines were subjected to limiting dilutions for selecting and establishing Mab-secreting cell lines showing higher reactivity to the standard PWN-infected pine tree extract than to the standard normal pine tree PBS extract. Moreover, the selected fusion hybridoma cell lines were further selected based on their higher reactivity to PWN protein extracts than to three non-pathogenic nematode protein extracts. The Mab-secreting cell lines establish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to develop rapid diagnostic tools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or in laboratories for detecting PWN-infected pine trees or PWN.

      • KCI등재

        인성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의 핵심 주제 및 관련 교육과정 성취기준 탐색

        김아영,차우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1 敎員敎育 Vol.3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tegorize various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to contribute to strengthening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by exploring relevant curriculum achievement criteria. Education related to information ethics should be strengthen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the information society and spreads the categories of the cyber world so that it is meaningless to distinguish the real world from the cyber world. However, information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mainly focused on improving informatization functions, and information ethics is mainly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or middle school information subjects, so only topics directly related to information life are covered. For this reason, in this work, we propose topic categorization that can explore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as personality education to cover human relationships in the cyber world and a wide range of ethical issues resulting from them. To this end, the “Value Relationship Expansion Act”, which was used as the 2015 revised ethics and curriculum, was intended to present “media usage habits”, “privacy protection”, “relationships and communication”, “copyright protection”, and “development of desirable digital culture” as a social and community relationship.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number of classes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is significantly insufficient in the current curriculum, the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each key topic are proposed to realize practical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윤리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교육 내용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범주화 하고, 그와관련한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탐색하여 정보윤리교육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이다. 4차 산업 혁명(the 4thIndustrial Revolution)으로 정보화 사회가 가속화 되고, 현실 세계와 사이버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할 만큼 사이버 세계의 범주가 확산되는 만큼 정보윤리와 관련한 교육은 강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에서의 정보 교육은 정보화 기능 향상을 위한 교육이 주를 이루는 것이 현실이며, 정보 윤리와 관련한 교육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또는 중학교 정보 교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기에 정보 생활과 직접적으로관련 있는 주제들만 주로 다뤄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 교육으로서 정보윤리교육을탐색하여 사이버 세계에서의 인간 관계와 그로부터 비롯된 광범위한 윤리 문제들을 포괄할 수 있는 주제범주화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2015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영역 제시법으로 활용된 ‘가치관계확대법’을참고하여, 자신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미디어 이용 습관’, ‘개인 정보 보호’, 타인과의 관계 영역으로서 ‘관계와 소통’, ‘저작권 보호’, 사회·공동체 관계로서 ‘바람직한 디지털 문화 형성’을 핵심 주제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행 교육과정에서 정보윤리교육을 위한 수업 시수가 현저히 부족한 물리적 환경을 고려하여, 각핵심 주제와 관련있는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제시하여 실제적인 정보윤리교육의 실현을 도모하고자한다.

      • KCI등재

        Chlorantraniliprole 저항성 초파리 계통 확립과 저항성 특성 구명

        김아영,권덕호,정인홍,특안판,트란비느안,이시혁,고영호,Kim, A-Young,Kwon, Deok Ho,Jeong, In Hong,Thuc, Ahn Phan,Tran, Vi Ngan,Lee, Si Hyeock,Koh, Young 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Chlorantraniliprole은 곤충 근육의 $Ca^{2+}$ 농도를 조절하는 Ryanodine 수용기(RyR)에 작용 하는 diamide계통의 작물보호제이다. 최근에 보고된 chlorantraniliprole 저항성 배추좀나방 계통은 RyR에 돌연변이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파리를 모델 곤충으로 저농도와 고농도의 chlorantraniliprole로 도태된 두 종류의 저항성 계통을 확보하였다. 두 종류의 저항성 계통은 접촉독성과 섭식독성 평가법을 활용하여 저항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접촉 독성 평가에서 두 종류의 저항성 계통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95% 신뢰구간에서 저항성 발달에 차이가 없었지만, 섭식 독성 평가의 경우에서는 고농도 저항성 계통과 저농도 저항성 계통에서 대조군 대비 각각 2.1배와 8.1배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저항성 증가가 나타났다. 작용점 유전자인 RyR 발현량 비교 결과, 두 종류의 저항성 계통에서 RyR의 발현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주요 약제 관련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와 Glutathione-S-transferase 활성은 조직 특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초파리에서 chlorantraniliprole에 대한 섭식독성 저항성의 발달에는 주요 해독 관련 효소의 과활성도 관여할 것 임을 보여주고 있다. Ryanodine receptors (RyRs) regulate the contractions of insect muscles by altering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and are the targets of chlorantraniliprole. Recently, a chlorantraniliprole-resistant strain was reported in the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by obtaining point mutations on the RyRs. In the present study, we established two resistant strains from Drosophila melanogaster, which were treated with low or high concentrations of chlorantraniliprole, and their resistance levels were determined on the basis of contact and ingestion toxicities. Compared with the control strain, the two resistant strain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tact toxicity. However, they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esistance ratios in ingestion toxicity than that by the control strain. The low and high concentration resistant strains exhibited 2.1- and 8.1-fold increased resistance ratios,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by the control strain. Moreover, we found that the resistant strains had altered expression levels of RyRs and more enhanced Acetylcholinesterase and Glutathione-S-transferase activities than that by the non-selected strai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resistance development of chlorantraniliprole in the two strains might be mediated by the activation of detoxification pathways in D. melanogaster.

      • KCI등재후보

        관계맺음 대상으로서 인공지능의 가능성 탐구 -시몽동과 해러웨이의 논의를 중심으로-

        김아영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23 한국교육논총 Vol.44 No.1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other of relationship in line with the 2022 revision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Simondon’s research on the existence of technological objects and Haraway’s research on cyborgs and companion species were reviewed. Through these,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subject of relationship was examined. Simondon gave the instrumental machine a status of technical object, separated human action from the technical object, and posited the technical object itself as the other in the relationship. Haraway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a cyborg as a companion species in a symbiotic relationship with humans through cyborg and companion species metaphors. In this study, based on the discussion of Simondon and Haraway, we tried to find a theoretical basis for the statu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the other of relationship. Furthermore, it is suggested that the discussion of moral educati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should be expanded by considering various forms of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진보에 맞추어 인공지능의 관계맺음 대상으로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몽동의 기술적 대상들의 존재 양식 연구에 드러나는 관점과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및 반려종 연구에 드러나는 관점의 유사점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관계맺음 대상으로서 인공지능의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시몽동은 도구적으로 인식되던 기계에 기술적 대상으로서의 지위를 부여하고, 기술적 대상에서 인간적 행위를 분리하여 기술적 대상 그 자체를 관계맺음의 대상으로 상정하고자 하였다. 해러웨이는 사이보그와 반려종 메타포를 통해 인간과 공생관계에 있는 반려종으로서의 사이보그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몽동과 해러웨이의 논의를 바탕으로 인공지능의 관계맺음 대상으로서의 지위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찾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과 관련한 도덕 교육의 논의가 다양한 지평의 관계맺음을 고려하여 확장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소간세포암의 경피적 에탄올 주입 요법 : 단기 치료 성적을 중심으로 예후인자 분석

        김아영 대한영상의학회 1998 대한영상의학회지 Vol.38 No.6

        Purpose : To analyze the effect of various parameters used in PEIT on the short-term results of this procedurefor the treatment of small HCC. Materials and Methods : Among 76 lesions in 63 patients with HCCs, 66 werediagnosed by tissue biopsy (n=30) or according to clinical features, tumor marker, and the results of angiographyand other diagnostic imagings (n=36). These patients underwent PEIT between November 1993 and October 1996 ; theindications for PEIT were nodular lesions less than 3cm in size, less than three in number, and unsuitable forsurgical resection or transcatheter arterial chemoembolization therapy. The effect of PEIT was evaluated by twophase spiral CT one month later (64 lesions) or by serial ultrasound for 6 months. We analyzed and graded theshort-term effect of PEIT on HCCs as complete remission (CR), partial remission (PR) or no change/aggravation(NC/AG). We also evalua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hort-term results of PEIT and variable parameters such assize of the lesion, frequency of PEI per session, Child classification of the patient, the ratio of amount ofinjected ethanol per volume of the lesion, and ($\alpha$-fetoprotein level before the procedure. Results : Thetherapeutic effect of PEIT was CR in 45 lesions (59.2%), PR in 18(23.7%) and NC/AG in 13(17.1%). The size of thetumor, Child-Pugh class, number of injections per session and ratio of injected volume of ethanol to tumor volumewere factors affecting the therapeutic result (p <0.05). Conclusion : Sufficient knowledge of prognostic factorsaffecting the short-term results of PEIT might help improve the effects of therapy in patients ith small HCCs.

      • KCI등재

        국제이해교육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초?중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분석

        김아영,박소영,김대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원 양성과정에서 국제이해교육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는데 있다. 교직과목 내의 국제이해 교과목 개발과 관련하여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조사연구와 포커스 집단 면담을 혼합한 통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의 학생 431명이 조사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교직과목 수강자 27명을 포커스 다섯 집단으로 나누어 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의 국제사회에 대한 관심도는 전반적으로 낮았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국제이해교육의 영역 중, 환경, 기아, 다문화 등의 국제사회의 문제에 대해 더 관심을 보였다. 셋째, 국제이해교육 교과목 개설은 2학점으로 저학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문제적 사안을 중심으로 한 토론과 활동위주의 수업방법이 적합하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넷째, 포커스 집단 면담의 결과 실제로 학생들은 국제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교사임용고사의 부담과 관련하여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은 국제이해교육 교과목이 국제이해를 지도할 방안에 대해 배우는 방향으로 설계되기를 희망하였다. 이에 연구자들은 교직과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재개념화할 것과, 비판적 안목 형성을 염두에 둔 내용, 현장과 연계한 수업방법 개발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역량중심교육관점 범교과학습주제 연구의 도덕교육적 의의

        김아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범교과 학습주제 교육 내용을 2022 개정교육과정의 주요 구성 원리인 '역량중심교육관점'에 기반하여 체계화할 것을 제안하고, 이 체계화 과정이 도덕교육적으로 갖는 의의와 과제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교육과정상 진술된 범교과 학습주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제한점을 분석하고 그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2022개정 교육과정의 선행 연구가 된 OECD Education2030 역량 관점의 세 가지 특성을 밝혀, 범교과 학습주제를 역량의 세 측면으로 진술할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 주제가 도덕교육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밝히고 역량중심교육관점에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이 도덕교육적으로어떤 의의를 갖는지 보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범교과 학습주제는 그 특성상 가치 ⋅ 태도와 관련된 교육내용을 다수 포함하고, 도덕과 교육 내용과 유사도가 높은 주제들을 다루기 때문에 202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역량중심 진술 방식의 세 측면이 각 범교과 학습주제 역량을 연구하는 것에 참고가 된다. 결론 역량중심교육관점으로 범교과 학습주제를 진술하는 것은 범교과 교육과정의 체계성을 강화하고 현장 적합도를 높이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도덕과는 학교 가치 ⋅ 태도 교육의 중핵 교과이기에 범교과 학습주제의 체계성 강화와 더불어 도덕과 교과 기능과 학습자 주체성을 강화할 것이 요구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o systematize the educational content on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hich was important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o reveal the significance and task it leaves behind in mor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it was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ated in the curriculum and to supplement those limitations. In addition, the three characteristics revealed in OECD Education 2030, which is the ba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were revealed, and concrete measures were proposed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Finally, it was intended to reveal how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are related to moral education and to show the significance of moral education to state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Results: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can be stated in three aspects of competence by referring to the competency-based statement method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because they include many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values and attitudes. Conclusion: Statement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from a competency-based education perspective contributes to strengthening the systematicity of the cross-curricular curriculum. In addition, since morality is a core subject of school value and attitude education, it is required to strengthen the system of cross-curricular learning topics, strengthen morality and subject functions, and restore learner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