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기의 교육 및 노동시장 이행 경로 유형화: 고교계열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김성남,최수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2 職業 敎育 硏究 Vol.31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escribe the transition path of education and labor market of youth, in short words, “career patterns”. Especi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atterns and those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Korea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KEEP) is analyzed by applying optimal matching and clustering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areer patterns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luster 5 types: ‘Cluster 1: Continuous unknown status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Cluster 2: Work after university graduation’, ‘Cluster 3: Return to the university after military service’, ‘Cluster 4: Continuous unknown status after entering college’, ‘Cluster 5: Work after college graduation’. Secondly, career pattern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luster 4 types: ‘Cluster 1: University attending’, ‘Cluster 2: Continuous unknown status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Cluster 3: Work after high school graduation’, ‘Cluster 4: Mixed with college attending and unknown status’. 이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7차년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활용하여 일반고 및 특성화고 졸업자의 교육 및 노동시장 이행 경로를 탐색하였다. 분석 대상인 19세부터 25세까지는 전 생애에 걸쳐 안정적인 경력을 형성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시기이며, 따라서 이 시기의 학생들이 어떠한 .유형의 경력개발 형태를 보이는지를 탐색하는 것은 청년층 취업 및 진로개발 관련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졸업자의 1년 단위 경력을 8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특히 고교계열에 따른 차이에 초점을 맞춰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반고 졸업자의 경우 ‘고졸 후 지속적 미상형’, ‘대졸 후 취업형’, ‘병역 후 대학복귀형’, ‘전문대 진학 후 지속적 미상형’, ‘전문대 졸업 후 취업형’의 5개 유형이 확인되었다. 둘째, 특성화고 졸업자의 경우 ‘대학재학형’, ‘고졸 후 지속적 미상형’, ‘고졸 후 취업형’, ‘전문대학 및 미상 혼합형’의 4개 유형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 유형과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의 관계

        김성남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3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6 No.2

        이 연구에서는 2011년에 실시된 ‘고졸자 취업진로조사(HSGOMS)’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을 이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을 취업목표 설정과 진로준비행동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 기초하여 이차원적으로 유형화하고, 개인특성(성별, 계열, 성적, 전공 선택) 및 진로지도 만족도(학교 진로지도, 학교 취업지원, 가정 진로지도)와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발달 유형은 A타입(29.9%), B타입(13.8%), C타입(25.0%), D타입(31.3%)의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진로발달 유형이 개인특성 및 진로지도 만족도 관련 변인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서의 진로지도 및 진로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ferencing data from the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HSGOM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to career guidance and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When the two variables including goal setting for getting a job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r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four different types of career development are obtained: ideal, pseudo, behavioral and immature typ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tribution ratio of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is as follows: ideal type(29.9%), pseudo type(13.8%), behavioral type(25.0%); and immature type(31.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career development and some of variables concern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to career guida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is results, some implications on career guidance and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are suggested.

      • KCI등재

        미용전공자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성남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8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and their effects on different variables and provide data that can help understand importance of human resources, build management strategy, and reduce the turnover rate in the industry by improv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employees, considering the high level of dependence of the industry on human resource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between May 2 and May 30, 2017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by distributing 350 copies of questionnaire. Excluding inadequate responses, 301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by using SPSS ver. 21.0 based on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majority of them were working in skincare, with one to three years of experience, as a staff member, and earned 1.5million to 2.5million KRW as monthly income, on average. Second, analysis of differenc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working years and position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etency and job security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continuous involvement, and affirmative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regarding the eff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beauty industry professionals, increase of involvement, competency, and job security, which are sub-factor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led to increase of normative commitment, indicating a positive correla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understood in terms of individual and contextual interests of the process of achievement oriented toward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rmed that interest in learning situations was an important explanatory variable in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 있어서 개인적 흥미, 상황적 흥미의 매개역할과 변수들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실증연구이다. 자료의 수집은 서울, 경기지역 미용대학과 대학원 재학 중인 학생들에게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총 287부를 최종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과 매개효과분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 유의성 검증을 위한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취목표지향성은 학습접근목표, 학습회피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의 4요인이도출되었으며, 학습접근목표와 수행접근목표는 개인적흥미, 상황적 흥미, 학업성취도간 정(+)적 상관관계를보여주었고 학습회피목표와 수행회피목표에서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독립변수로 고려된 성취목표지향성은 매개변수로 고려된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와 종속변수로 고려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상관관계를 보이며 성취목표지향성의 학습접근과 수행접근이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에 영향을 미치고,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의 시사점은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과정을 개인적 흥미와 상황적 흥미의 관점에서이해하고 학습 상황에서의 흥미가 학업성취도에 중요한 설명변수임이 확인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재입국 북한이주민의 재정착 경험 -탈북, 탈남에서 재입국까지-

        김성남,양옥경,유가환,윤지혜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19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한국을 떠나 해외로 이주했다가 다시 한국으로 돌아온 북한이주민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하여 북한, 제3국, 한국, 다시 제3국, 다시 한국 등에 걸친 반복되는이주와 이동에서의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재입국 북한이주민의 재정착 경험은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탐색적인 분야이므로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연구참여자들의 경험을 탐구하였다. 연구참여자 5인의 심층 인터뷰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연구진들의 논의 및 교차분석을 통해 분석이 이루어졌다. 사례 내 분석과 범주화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범주화 분석 결과는 고군분투하다 만난 탈남 대열, 기대했던 제3국에서 높은 장벽에 가로막힘, 지금 여기에 뿌리내림의 3개의 본질적 주제로 나뉘었다. 본질적 주제에는 각 3-5개의 하위 주제가 포함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사회 내의 북한이주민에 대한 사회적 편견 완화, 탈남 및 재입국에 대한 실태조사, 북한이주민의 이주에 대한 행위의 맥락 이해, 북한이주민에 대한 개별화된 서비스 제공, 제3국 입국에대한 충분한 정보와 교육의 사전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