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김서현 ( Kim Seo-hyun )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18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0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의 적용대상과 어떤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그 효과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NDSL),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DBpia 데이터베이스에서 2013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연구를 검색하였고 검색어로는 ‘모바일’ 또는 ‘스마트폰’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앱’ 또는 ‘어플’ 그리고 ‘재활’, ‘효과’ 또는 ‘중재’로 하였다. 연구결과 검색된 논문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여 최종 분석한 논문은 11편이었다. 연구대상으로는 언어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2편, 청각장애 대상으로 한 연구는 2편, 자폐 범주성 장애 대상 연구는 3편, 뇌졸중 대상 연구는 1편, 지적장애 대상 연구는 3편으로 나타났다. 중재 제공의 형태는 한 집단 내비무작위 연구가 2편, 단일대상 연구가 9편으로 많은 비율을 차지했다. 중재효과 측면에서는 10편에서 가설과 일치한 유의미한 효과를 얻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1편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예비실험논문으로 자체 제작한 어플리케이션을 치료도구로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중재 및 효과에 대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중재에 활용 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였고, 향후 치료 목표 및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concrete and useful data on the application of the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and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intervention, analysis of the intervention for further study. Method : This study was searched form papers published from Jan, 2013 to Dec, 2017 using NDSL, RISS, KISS, DBpia based. Key words using on the search were ’mobil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app’, ’rehabilitation’,’effect’ or ’intervention’ Result : Eleven studies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Among the 11 subjects, two were for aphasic, three were for autism spectrum disorder, two were for hearing-impaired, three were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just one were for stroke. A form of intervention was that non-randomized one group studies were two studies and the other studies were single experimental studies. Effect of interventi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had meaningful effect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in 10 subjects. The other study reported that preliminary study for this study could has been confirmed that it can be applied as a treatment tool. Conclusion : This study provided information on using smartphone application by presenting the usage type and intervention results. This study will be useful as evidence for intervention goals.

      • KCI등재

        유아교사의 그릿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김서현 ( Kim Seo Hyun ),박은아 ( Park Eun Ah ),천성문 ( Cheon Seong Moon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21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그릿과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직무스트레스 대처(문제해결중심 대처, 지지추구중심 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 울산, 경상도, 전라도, 서울, 경기도 소재 유아교사 377명이며, 검사를 위해유아 교사용 그릿척도, 심리적 소진척도, 스트레스 대처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고,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문제해결중심 대처와 지지추구중심 대처는 정적 상관이었고, 그릿과 심리적 소진은 부적상관이었다. 둘째, 그릿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 및 지지추구중심 대처는 모두 부분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ediated effect of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in relations between grit and burnout of infant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1 infant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Chungcheong Provinces, Gyeongsang Provinces, and province Jeju and they were asked about grit, burnout, and stress coping with questionnair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gathered data so as to find out relevance among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implement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 by use of SPSS 21.0. The pri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infant teachers’ grit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lated with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while it show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teachers’ burnout. Second, it is found that problem solving focused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seeking focused stress coping partly mediate the effect of the teachers’ grit on burnou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 KCI등재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 이외에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치는가?

        김서현 ( Seo Hyun Kim ),임혜림 ( Hye Rim Yim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5 청소년복지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최근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강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적었다는 사실에 대하여 새롭게 문제제기를 하였다. 특히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성취의 측면뿐만이 아니라 관계성의 측면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이를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교우관계,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는 것으로 수립하였다.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에서 중1패널 3차년도 2,258명의 청소년(중학교 3학년)이 응답한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의 자기주도성은 자아존중감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은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 모두에 대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효과분해 결과에서는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총효과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직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습의 자기주도성이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의 간접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중학생의 학업성취와 학교 내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언하였다. Self-direction in learning has been strongly emphasized nowadays. This study raises a new issue of the fact that there is relatively less interest in its spillover effects of self-direction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adolescents. Especially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prove that self-direction in learning could affect not only academic achievement but als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direction in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peer and teacher relationships) mediated by self-esteem among middle schoolers. The 3rd wave data of 2,258 adolescents from ‘2010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ion in learning had positive effects on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Secondly,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self-esteem, and self-esteem was positively involved in both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Las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ffect decomposition, total effect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direction in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school were both statistically significant. Moreover, academic achievement appeared to be affected most through self-direction in learning in terms of direct effect while peer relationships appeared to be affected most through self-direction in learning mediated by self-esteem indirectly. Based on the results, youth welfare practice implications for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discussed.

      • KCI우수등재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

        김서현(Kim, Seo Hyun),임혜림(Yim, Hye Rim),명소연(Myung, So Yeon),정익중(Chung, Ick-Joo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학 Vol.72 No.2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 전문가들이 변화된 대학생 당사자들의 문화를 민감하게 반영해 삶의 질 증진을 도울 기초적 작업이 될 뿐만 아니라, 대학생 집단의 행복지원 목적의 사회복지학 유관 학문 간 융합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토대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입시 성공 사례가 아니어서 잘 드러나지 않았던 대학생들의 반수 좌절 경험의 의미를 심도 있게 탐구하고자, 대학생 총 5명과 종단적으로 심층면담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Colaizzi의 체험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기반하여 살펴보았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16개의 주제와 함께 “도망칠 곳을 먼저 찾음”, “시작부터 잘못된 재도전”, “자괴감에 억눌린 채 복학함”, “반수 트라우마로 멈춘 성장”, “쓰라림으로 깊어진 내 인생”이라는 5개의 범주를 발견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반수 증가 현상 및 한국의 대학 서열화 문제에 관한 재고찰과 더불어 대학생 시기의 건강한 발달과업 수행을 지원하기 위하여 논의점을 제공하였다.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ill not only serve as a basic task for social welfare experts to help improve quality of life by reflecting the culture of changed college students, but will also provide the foundation for the convergence of social welfare-related studies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five university students longitudinally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f frustration at bansu, which has not been well demonstrated since it was not a successful case in the past. The data collected were explored with Colaizzi"s empirical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with a total of 16 topics, five categories, including “looking for an escape first”, “a wrong re-challenge from the beginning”, “return to school suppressed by shame”, “stalled growth due to bansu trauma”, and “my life deepened by bitterness” were discovered.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 this study provided discussion points to support the healthy performance of development tasks during university years, along with the reconsideration of the increasing bansu phenomenon and the university hierarchization issue in South Korea.

      • KCI등재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서현 ( Seo Hyun Kim ),정은숙 ( En Sook Jung ),명소연 ( So Yeon Myung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직업경험과 구직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 청소년의 구직효능감 증진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의 중2패널 4차년도(고등학교 2학년)와 6차년도 자료(대부분 대학교 1학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청소년의 구직효능감은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차년도에서 청소년의 직업경험 중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관계에서 자기주도성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자기주도성이 높은 집단에서 진로준비행동과 구직효능감 간 정적 관계가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의 직업경험이 구직효능감의 상승이라는 긍정적 영향을 가져오도록 하기 위해서 청소년들이 자기주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진로교육의 변화 및 제도적 개선을 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진로설계 및 직업준비 과정에 있는 청소년의 자기주도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elf-directed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work experience and job-seeking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two waves of data, 4th wave(2nd year of high school) in 2006 and 6th wave(mostly 1st year of university) in 2008,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administer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utili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work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n both waves, an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derated by self-directedness in the 6th year survey. The positive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job-seeking self-efficacy were more likely to be increased when adolescents had stronger self-directedness. To lead the work experience of adolescents to the enhancement of the job-seeking self-efficacy, it is needed that the innovation of career education and policies for adolescents to develop their self-directed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to improve adolescents` job readiness and self-initiative.

      • KCI등재

        이혼자의 성장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 - 법원 미술심리상담실 이용자 중심으로 -

        김서현(Kim, Seo-Hyun),원종아(Wone, Jong-Ah)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법원 미술심리상담실 이용자의 이혼 후 성장에 관한 구체적인 경험을 알아보고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법원 미술심리상담실을 이용한 이혼자 7인이다. 자료 수집은 2017년 2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심층 면접을 통해 이루어졌다. 심층 면접은 이혼 후 성장에 관한 미술 작업을 실시 한 뒤, 그에 따른 경험을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을 바탕으로 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의 미술 작품과 함께 일화와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통해서 이혼 후 성장 경험을 드러내는 데 집중하였다. 연구 결과 이혼자들은 이혼 후 성장에 있어 단일한 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참여자들은 주체성 회복을 통해 새로이 태어나 자신, 타인, 환경과의 관계 회복을 경험하게 하였다. 더불어 그들은 이 모든 과정을 생의 일부로 여겨 순응하고, 내적 성숙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혼자의 외상 후 성장 지원, 외상 후 실존적 차원에서의 성장에 대해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근거로 법원 미술심리상담 활성화에 대한 구체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specific, post-divorce growth experiences of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users and to interpret the meaning of the result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he seven divorcees who participated in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February 2017 to June 2020. In the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discussed their experiences after completing artwork related to post-divorceg rowth. Data analysis was based on Van Manen s hermeneutic phenomenology. The researcher focused on disclosing post-divorce growth experiences through the participants’ narratives alongside participants’ artwork and anecdotes. The study results confirmed the post-divorce growth of the divorcees was not one-dimensional. Rather, the research showed that participants experienced improved relationships with themselves, others, and the environment by newly born being through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In addition, they accepted all of these processes as part of their lives and achieved internal matur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re was a discussion about the support for growth in post-traumatized divorcees and post-traumatic growth at the existential level. Building on the study results and discussions, specific proposals were made about how to further improve and invigorate court art therapy counseling.

      • KCI등재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보육교사의 지원 경험 탐색

        김서현(Seo Hyun Kim),주현정(hyun-Jung Ju),방울(Bang Woo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본 연구는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들이 영아 참여권을 실현하기 위헤 제공하는 실제적인 지원 경험을 탐색하고, 그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요구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해 연구 참여자의 심층적인 생각과 경험을 들어 봄으로써 주제와 관련된 복합적이고 자세한 현상을 이해 할 수 있는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S시와 C시의 교사 12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반구조화된 방식으로 1차 소집단 면담, 2차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추가 자료가 필요한 경우 전화면담을 수행하였다. 결과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스스로 의사를 표현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민감하게 영아의 의사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또한, 다른 사람과의 소통에서 영아의 의사를 대변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거나, 영아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에 대해 일상생활 중심으로 기초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영아의 참여권 실현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었다. 하지만 영아의 참여권을 보장하기 힘든 상황과 구체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영아 발달 등으로 인해 영아 참여권 실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모두 함께하는 인식 개선 및 영아의 개별 요구를 더 반영할 수 있는 환경, 계속 더 반성해 볼 수 있는 교사 교육의 기회 등 영아 참여권 실현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사항을 이야기하였다. 결론 영아반 교사들은 영아 맞춤의 방식으로 영아에 참여권을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외적 내적 요인에 의해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요구를 분명히 하였다. 이러한 보육 현장의 영아 참여권 지원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바탕으로 영아 참여권 보장 환경을 지속해서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day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and to identify challenges and needs in the process. Method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select 12 childcare teachers from S and C c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study involved conducting a first group interview and a second individual interview in a semi-structured format, as well as conducting phone interviews when additional information was needed. Results Childcare teachers who work with toddlers provided opportunities for them to express themselves and make decisions, and tried to understand their intentions. They also acted as representatives of the toddlers wishes to others and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issues that affect the children. However, they faced difficulties in guaranteeing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due to a lack of specific knowledge and experience, developmental limitations of young children, and challenging circumstances. They discussed specific improvement needs for the realization of children's participation rights, such as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better reflects individual needs and improving teacher education opportunities for continued reflection and better understanding. Conclusions The study confirms that childcare teachers support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in a child-centered way. However, they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have clear demands for improvement. It is crucial to continuously improve the childcare environment based on practical information related to supporting toddlers’participation rights ,to ensure a supportive environment for toddlers’ participation rights.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의 직무경험: 뫼비우스의 띠 위를 걸어가는 남자들

        김서현 ( Seo Hyun Kim ),임혜림 ( Hye Rim Yim ),정익중 ( Ick Joong Ch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5 사회복지연구 Vol.4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의 직무경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 10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수행하였고, 직무환경이라는 맥락 속에서 남성 생활지도원이 어떠한 본질적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분석하여 연구참여자의 직무경험에 대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의 중심의미는 〈몇 안 되는 남자라 어정쩡해도, ‘빛과 소금’처럼 소중함〉, 〈늘 같은 곳을 바라보지 않아도, 동료들과 말없이 서로이해함〉, 〈남자로서 자격지심이 느껴져도, 아버지처럼 아이들을 지킴〉, 〈아등바등 고되지만, 아이들 변화에 뿌듯함〉, 〈때론 멀게 느껴지지만, 아이들 속에서 ‘나’를 발견함〉, 〈불안함에 흔들리는 미래에도, 아이들과 가족으로 존재하고픔〉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질적인 주제는 《뫼비우스의 띠 위를 걸어가듯 끊임없이 ‘어두움’과 ‘밝음’을 오고 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직무경험에서는 생활지도원으로서의 ‘보편성’과 함께 남성 생활지도원만의 ‘고유성’이 함께 드러났고, 이들은 그속에서 ‘긍정성’과 ‘부정성’의 양극단을 부단히 오고가는 모습이었다. 이들이 경험하는 ‘부정성’은 외부로부터 투영된 성별 고정관념에 의한 편향적 역할기대에서 기인하는 것이 더 많았고, 아동돌봄서비스 제공자로서 경험하는 ‘긍정성’을 통해 이를 상쇄시켜가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그와 같은 ‘긍정성’은 ‘부정성’과 만나고, ‘부정성’이 다시 ‘긍정성’으로 이어지는 연쇄적 과정으로 귀결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양육시설 남성 생활지도원에 대한 사회적 인식개선 및 양성평등한 직업환경 조성의 필요성과 함께, 아동복지증진 측면에서도 직업안정성 증대가 시급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job experiences of male caretakers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in depth through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For this purpose, 10 male caretakers working in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nd in the context of their job environment, an understanding of the essential experiences as male caretakers was attemp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Giorgi’s phenomenological approach, and componen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job experiences were draw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mpositional elements in this study turned out as follows: 〈In spite of an equivocal position as minorities, being precious as ‘light and salt’〉, 〈Understanding each other without saying a word with colleagues, though not always looking at the same direction〉, 〈Despite inferiority complex as a man, taking care of children like their father〉, 〈Struggling with difficulty, but feeling great about changes in children〉, 〈Finding ‘myself’ in the children, sometimes feeling somewhat distant, though〉and 〈In spite of the future shaken by anxiety, wanting to be a family with children〉. The fundamental theme was 《Like walking on a Mobius strip, oscillating continuously between ‘darkness’ and ‘brightness’》. In these people’s job experiences, male caretakers’ ‘indigenousness’ appeared along with ‘universality’ as caretakers, in which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ing and going constantly between both extremes of ‘positivity’ and ‘negativity’. ‘Negativity’ they experienced, rather, came from biased role expectations by the gender stereotype projected from the outside, and they were offsetting this through the ‘positivity’ they experienced as child care service providers. Nevertheless, such ‘positivity’ resulted in a sequential process in which it came across ‘negativity’, and vice vers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urgency of the promotion of job stability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social recognition about caretakers at child residential institutions and the creation of a gender-equal job environment.

      • 메디컬리조트의 치유환경 디자인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서현(Kim, Seo-Hyun),윤은경(Yun, Yean-Kyu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7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Development of modern society has brought about urban crowding & diversification, thus giving a lot of advantages to modern people, but due to the ever deepening free competition, their mental stress becomes heavy, and harmful environmental factors consequent on urbanization are threatening modern people’s health in reality. Accordingly, with the public concern for health getting higher, the motivation of intention of participation in a medical resort for rest, recreation and health maintenance, etc. has increased, and as a medical tour is getting a lot of attention due to people’s lifestyle putting emphasis on health, a medical resort equipped with various facilities for treatment has come to be required. In addition, this study is to divide a medical resort into treatment space, care space, experience space and lodging space according to its function, and to define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xpression characteristics as spatiality, sentience, morphologic property, and placeness .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atus of domestic & overseas resorts on the basis of this, it was found that a medical resort is general medical service facility, such as treatment of diseases, diet, health examination, beauty treatment, and stress management, etc. In addition, a medical resort, as a composite medical recreational facility, is in need of the healing environment design elements which can maximize in-space healing.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erceive the necessity of a medical resort in preparation for stress and harmful environment occurring as modern society is more in progress like this, and healing environment design characteristics, which can maximize treatment in the space together with diverse space compositions, are acutely required in reality; in this context, there should be lots of researches on this issue for the time to 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