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SCISCIESCOPUSKCI등재
      • 지역사회 재가 암환자 가족의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과의 관계

        김분한,태수,의숙,정연,Kim, Boon-Han,Kim, Tae-Su,Kim, Eui-Sook,Jung, Yun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0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재가 암환자와 그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하기위하여,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건강상태 및 삶의 질 정도와 이들간의 관련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지역사회의 22개동 전역에 걸쳐 거주하는 암환자 가족 중 암환자를 주로 돌보는 사람이었으며, 대상자의 특성과 제변수를 측정할 수 있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면접과 전화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 SFSS-PC를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기술통계 및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검정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지지망이 평균 3.24로 간호사 지지(평균 3.03)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3.52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상태(신체적 불편감)은 평균 2.98로 심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정도는 평균 2.34로 측정변수들 중 가장 낮아 보통정도 이하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나이가 많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육정도가 낮을수록 건강문제 경험 정도는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암환자 가족원들의 가족지지망 정도가 높을수록 간호사지지 정도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정도가 높을수록 건강상태도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트레스가 높고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질 정도가 낮았다. 그러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원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를 돌보면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스트레스를 덜 인지할 수 있고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Purpose : This investigation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stress, health and quality of life in caregivers of home-stay cancer patient. Method : We used a questionnaire and obtained data from the records of 79 caregivers of home-stay cancer patient in a community. Window SPSS-PC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method used were the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 The mean score of family support(3.24) was higher than nurse's support(3.03). The mean score of stress was 3.52 and that of health status was 2.98. The mean score of quality of life was 2.34. The health status of caregivers of cancer patient was influence by age(F=3.17, p=0.018) and education(F=3.59, p=0.032).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nurse's support and family support(r=.263, p<0.05).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health status(r=0.597, p<0.01). The quality of life was correlated with stress(r=-.678, p<0.01) and health status(r=-0.741, p<0.01). Conclusion : The above result indicate that we must consider of social support, stress and health status to promote of quality of life of the caregiver of cancer patient.

      • KCI등재

        Evaluation of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Geriatric Train-the-Trainer Program in Korea

        김분한,현숙,유수정,최성은,정연,권소희 한국성인간호학회 2012 성인간호학회지 Vol.24 No.4

        Background: Few nurses are trained in palliative care for long‐term care in Korea.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ELNEC)‐Geriatric training program improves nurses’ ability to promote palliative care for the elderly.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urses’ satisfaction and knowledge following the attendance at the ELNEC‐Geriatric curriculum on nurses’ knowledge of palliative care. Methods: Nine ELNECGeriatric modules were presented to 203 interdisciplinary professionals on July 1 and 3, 2010, in Seoul, South Korea. The Palliative care quiz for nursing (PCQN) was used to evaluate nurses’ knowledge. Of all the participants,128 nurses were completed the questionnaire. Of these nurses, 45.2% were staff nurses and 73.4% were hospital nurses. Results: Approximately eight nine percent of the nurses reported previous experience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and attending various hospice palliative care training programs. Overall program satisfaction of the participants was 4.03 on a 5‐point scale, and their mean of the total PCQN score was 12.75 out of 20 after participating in ELNEC‐Geriatric course, which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p=.022) from the pretest.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LNEC‐Geriatric curriculum was successfully implemented and significantly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nurses’ knowledge for palliative care in long‐term care in Korea.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활동 및 만족도 분석

        김분한,정연,박경복,Kim, Boon-Han,Jung, Yun,Park, Kyung-B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2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5 No.2

        목적 : 본 연구는 암환자들을 위한 호스피스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일 지역 호스피스자원봉사단의 활동 내용과 만족도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교육 및 활동의 내실화를 기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방법 :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1차 방법은 지역사회에서 2기에 걸쳐 실시한 호스피스자원봉사자 교육을 수료한 후 자원봉사단에 가입하여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2001년 1월에서 12월까지 실시한 자원봉사자 보고서 271개를 전수 분석하였다. 2차 방법은 자원봉사활동평가와 만족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12월에 실시한 자원봉사단 활동평가회에 참여하고 본 연구에의 참여에 동의한 20명에게 조사한 설문지 20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1) 자원봉사 기록지 분석한 암환자 및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내용에서 보면 신체간호의 종류로는 목욕 및 몸 닦아주기(23회), 머리 감겨주기(3회), 미용(3회), 안마(18회), 마사지(26회), 혈압측정(19회) 등 21가지의 다양한 신체간호를 실시하였고 이외에도 영적 간호 임종간호 의사소통, 정서적지지, 가사일 뿐만 아니라 보건소와 환자와의 연계(13건), 병원과 환자와의 연계(25건)도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환자의 반응으로서는 고마워함이 매우 컸고 자원봉사자의 방문을 기다리고 그리워함을 알 수 있었다. 2) 설문지를 통한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의 활동 정도는 '환자의 어떠한 말도 잘 들어준다'가 평균 3.8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환자가 괴로워할 때 마음을 위로 해준다' 평균 3.40으로 높아 심리적 영역의 자원봉사 활동을 많이 하였다. 3) 종교에 따라 심리인 돌봄 영역(t=4.93, P<.05)과 영적인 돌봄 영역(t=3.80, P<.05)의 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심리적인 돌봄과 영적인 돌봄 영역의 활동이 천주교를 가진 자원봉사자들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4) 호스피스 자원봉사 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 평균 3.61로 만족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가 가장 높은 항목은 '다른 사람에게 관심과 배려를 보일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이었다. 5) 자원봉사자들의 봉사활동 정도와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자원봉사자의 활동기간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낸 변수로는 임종경험(r=.558, P<.05), 심리적 돌봄(r=.698, P<.01), 영적돌봄(r=.474, P<.05), 만족도(r=.651, P<.01)이었다. 신체적 돌봄과 가족 돌봄(r=.559, P<.05), 영적 돌봄과 가족 돌봄(r=.512, P<.05), 심리적 돌봄과 만족도(r=.536, P<.05)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결론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들이 다양한 영역의 호스피스 간호를 골고루 실시할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자원봉사자들을 위한 계속교육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s for hospice care. Methods : We used 271 reports of hospice care and 20 questionnaire of activities and satisfaction of volunteers for hospice care from volunteers of in a community. Window SPSS-PC was used for the data analysis and the statistical method used were th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 1) The highest score of activity was emotional area and the next activities was physical area. 2) The degree of emotional area (t=4.94, P<.05) and spiritual area (t=3.80, P<.05) was influence by religion of volunteers. 3) The mean score of satisfaction was 3.61. 4)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duration of activity and death experience (r=.558, P<.05), emotional care (r=.698, P<.01), spiritual care (r=.474, P<.05), satisfaction (r=.651, P<.01), and the between physical care and family care (r=.559, P<.05), and the between spiritual cue and family care (r=.512, P<.05), and between emotional care and satisfaction (r=.536, P<.05). Conclution : The above result indicated that we must develope the management and education of volunteer of hospice care for various hospice care. Also, We should to encouraged the continuous educ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 KCI등재
      • 학회순례-대한간호학회

        김분한,Kim, Bun-Han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98 과학과 기술 Vol.31 No.7

        1970년 4월 탄생한 대한간호학회는 현재7개 분과학회와 총회원 1천9백2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학술활동의 성과를 집약하고 있는 대한간호학회지는 1970년 12월 창간 아래 지금은 연4회로 증편발간, 한해 평균 1백여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다. 최근에는 학회회원으로서 김모임 보건복지부 장관과 최영희 여성단체협의회장이 활약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