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기물 관리시설 설계를 위한 재활용성 생활폐기물의 겉보기밀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병태,김명운,이창해,Kim, Byung-Tae,Kim, Myeong-Woon,Lee, Chang-Ha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6

        본 연구에서는 생활폐기물 내 재활용성 물질을 대상으로 선별품목별 겉보기밀도와 조성비로 산정한 혼합폐기물의 겉보기밀도치를 평가함으로써 재활용성 폐기물의 관리 및 시설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겉보기밀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4회에 걸쳐 선별장에 반입된 1,800 kg의 재활용성 폐기물을 대상으로 선별품목별 중량 및 부피조성비, 선별 전 후의 겉보기밀도를 조사하였다. 선별품목별 겉보기밀도는 병류가 $379.0kg/m^3$로 가장 높았으며, 고철류, 잡쓰레기, 기타, 캔류, 플라스틱류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선별품목별 조성비는 중량기준으로는 병류와 플라스틱류가 40.6%, 32.6%를 차지하였으나 부피기준 적용 시 플라스틱류는 60.2%로 대폭 증가하는 반면에 병류는 8.9%로 크게 낮아져 조성비 적용방식에 따라 품목별 조성비의 변동폭이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재활용성 혼합폐기물의 겉보기밀도는 조성비를 부피기준으로 적용하는 방식이 중량기준 적용방식보다 실측치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폐기물 처리설비 설계에 사용되는 재활용성 혼합폐기물의 겉보기밀도 산정 시에는 부피기준 조성비를 적용하는 방식이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To estimate the bulk density applying the composition rate for recyclable residential waste, the composition rates by volume and weight basis, the bulk densities of the separated and commingled wastes were investigated four times respectively for recyclable waste of 1,800 kg transported to waste recovery facility. The bulk densities for separated wastes were $379.0kg/m^3$ of glass bottles that is highest and metals, residues, others, cans, plastics in order. The composition rates for each separated waste were changed widely depending on either volume basis or weight basis. The composition rate by weight basis as 40.6% of the glass bottles, 32.6% of the plastics were changed to 60.2% of the plastics and 8.9% of the glass bottles in that by volume basis. The bulk density of the commingled wastes applying the composition rate by volume basis showed the similar value to the measured density than by weight basis. So it was estimated that the composition rate by volume basis was appropriate for determining the bulk density of the commingled recyclable wastes.

      • KCI등재
      • SCOPUSKCI등재

        N - 13 암모니아와 양전자방출단층촬영 동적영상을 이용하여 심근혈류량을 정량화하는 새로운 방법 개발에 관한 연구

        김병태(Byung Tae Kim),김상은(Sang Eun Kim),김준영(Joon Young Kim),최용(Yong Choi),이경한(Kyung Han Lee),최연성(Yearn Seong Choe),주희경(Hee Kyung Ju),김영진(Yong Jin Kim) 대한핵의학회 1997 핵의학 분자영상 Vol.31 No.1

        N/A Regional myocardial blood flow (rMBF) can be noninvasively quantified using N-13 ammonia and dynamic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PET).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the rMBF values, however, is affected by the distortion of myocardial PET images caused by finite PET image resolution and cardiac motion. Although differ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correct the distortion typically classified as partial volume effect and spillover, the methods are too complex to employ in a routine clinical environment. We have developed a refined method incorporating a geometric model of the volume representation of a region-of-interest (ROI) into the two- compartment N-13 ammonia model. In the refined model, partial volume effect and spillover are conveniently corrected by an additional parameter in the mathematical model.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is approach, studies were performed in 9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Dynamic transaxial images (16 frames) were acquired with a GE AdvanceTM PET scanner simultaneous with intravenous injection of 20 mCi N-13 ammonia. rMBF was examined at rest and during pharmacologically (dipyridamole) induced coronary hyperemia. Three sectorial myocardium (septum, anterior wall and lateral wall) and blood pool time-activity curves were generated using dynamic images from manually drawn ROIs. The accuracy of rMBF values estimated by the refined method was examined by comparing to the values estimated using the conventional two-compartment model without partial volume effect correction. rMBF values obtained by the refined method linearly correlated with rMBF values obtain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108 myocardial segments, correlation coefficient (r)=0.88). Additionally, underestimated rMBF values by the conventional method due to partial volume effect were corrected by theoretically predicted amount in the refined method (slope(m)=1.57). Spillover fraction estimated by the two methods agreed well (r=1.00, m=0.98). In conclusion, accurate rMBF values can be efficiently quantified by t

      • KCI등재

        테니스 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과 균형 및 발목 등속성 근기능과의 상관분석

        김병태(Kim, Byung-Tae) 한국사회체육학회 2016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correlation of balance ability,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ankl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The subjects were 12 tennis players. The tennis player group was measured balance test by Humac Norm Balance system. Also, they participated in Wingate anaerobic power test and 60°/sec isokinetic power test on ankle. The significant level of hypothesis verification was set-up as 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t showed that balance ability and anaerobic exercise ability do not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 2) It showed that balance ability and ankl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p<.05). 3) It showed that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ankl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have significant correlations(p<.05).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relation exists between balance ability and ankle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on tennis player. Also, Anaerobic exercise ability and %BW PT(Inversion) of ankle joint had negative correlation. It means that this result may be used for improving training development.

      • KCI등재

        효율적 퇴비화를 위한 온도제어 공기공급방식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병태(Byung-Tae Kim),김정욱(Jung-Wk kim) 유기성자원학회 1994 유기물자원화 Vol.2 No.1

        우리나라 도시고형폐기물은 퇴비화에 적합한 조건을 갖추고 있으나, 퇴비화 공정개발이 미약하여 폐기물퇴비화를 실용화하지 못하고 있다. 폐기물 퇴비화의 실용화를 위하여는 최종퇴비의 질을 높이면서도 대량의 폐기물을 단기간에 처리할 수 있도록 공정제어를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최적온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공기공급량을 제어하는 방식 (온도제어 공기공급방식) 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도시고형폐기물에 온도제어 공기공급방식을 적용하여 퇴비화 과정중의 공정효율과 최적온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온도제어 공기공급방식이 일정공기공급방식에 비하여 짧은 기간에 분해효율과 건조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나라 도시고형폐기불 퇴비화의 최적온도는 50~54 "c로 평가되었다. Municipal solid wastes in Korea hav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suitable for composting, but composting has had little practical use in solid waste disposal until now because of a lack of understanding of process control. For practical use of composting, process control must be capable of maintaining good product quality while large quantities are composted in a short period of time. Ventilation control to maintain optimum temperature(Temperature Feedback Aeration Method) is reported to be convenient to ope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cess efficiency and optimum temperature in the temperature feedback aeration method for composting of municipal solid was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degradation and drying of substrate in the temperature feedback aeration method a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stant aeration method. And the optimum temperature range for composting of solid wastes appears to be 50 ~ 54 "C.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사법분야 투고논문 : 금융기관의 파산으로 인한 시스템 리스크의 발생에 관한 법률적 규제 -미국의 파산과 구제금융의 규제를 중심으로-

        김병태 ( Byung Tae Kim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0 No.4

        The systemic risk regulation is a key measure for the safe and sound financial system and the prudential bank supervision. The goal of any financi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to enable well-functioning markets. Meeting this goal requires reducing the impact and frequency of financial institution failures that cause systemic risk. Any regulatory structure, however, inevitably involves tradeoffs. A policy that effectively reduces systemic risk and its associated costs might also increase moral hazard. Similarly, a policy that seeks to reduce moral hazard and maintain market discipline - for example, by allowing a large interconnected institution such as Lehman Brothers to fail - might also create uncertainty, which can harm markets by creating panic. In some parts, current regulatory structures in Korea and the U.S. are suboptimal in their regulations of the systemic risk. In the U.S. the federal government could strike a superior balance by establishing more stringent ex ante prudential regulations of systemically important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aimed at curbing excessive risk-taking and by implementing a regulatory process to resolve the failure of such institutions. The Dod-Frank Act by the Obama Administration has adopted regulatory reform that endorses such beneficial changes, but certain details in the proposal fall short. In Korea, it seems that the reforming financial regulations with respect to a systemic risk is required for troubled banks and non-banking institutions due to the shortcomings of our current regulatory structure and the ad hoc approach to rescuing TBTF non-bank financial institutions. A regulatory framework that more effectively contains systemic risk, avoids increasing moral hazard, and reduces excessive uncertainty caused by regulation. In this regards, it is noted that Korea should seek to optimize the ability to reduce systemic risk while minimizing the counterproductive results of moral hazard and uncertainty.

      • 경북 산학연 협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김병태(Kim, Byung Ta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한국정보기술학회지 Vol.20 No.1

        문재인정부는 혁신성장 동력으로 산학연 협력 활성화를 비전으로 규정하고 인재양성, 기술이전 · 사업화, 창업, 인프라 전반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산업교육진흥 및 산학연협력촉진에 관한 법률」을 개정(2017년 11월)하여 ‘산업교육 및 산학연협력 기본계획(2019∼2023)’을 수립하였고 매년 관계부처와 지자체는 이를 근거로 산학연 협력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경북의 인적자원과 기술을 보유한 대학과 연구소를 산학연 협력 혁신플랫폼으로 활용하여 지역사회 발전의 동력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경북형 산학연 상생협력 모델은 기업친화형 모델 및 고용창출 중심 모델로 지속적으로 확산이 필요할 것이다. 기업연구소협의회 ↔ 학연 ↔ 대기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기술교류회 정례화와 시군연구소협의회 ↔ 경북 연구소협의회 ↔ 대학기술자문단과 연계 · 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경북도는 지역정착 상생 거버넌스와 산관학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기업연구소 협의체는 산학협력사업을 추진하며, 기업은 지역발전협력사업을 추진하고, 지역주민협의체는 지역상생 협약을 추진하여 경북형 산학연 상생협력 모델을 확산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업의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 사용에 대한 규제의 확대와 입법적 시사점

        김병태(Byung-Tae Kim) 한국기업법학회 2016 企業法硏究 Vol.30 No.3

        최근 기업의 자원조달에 있어서도 인권을 중시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강조되고 있고 마침내 분쟁광물의 사용에 대한 규제가 시작되었다. ‘분쟁광물(conflict minerals)’이란 전쟁 또는 내전을 겪고 있는 분쟁국가에서 노동력 착취 등 인권유린을 자행하며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불법생산 및 유통되는 광물을 의미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 이를 규제함으로써 인권을 보호하고 광물 판매자금이 무장단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분쟁광물에 대하여 처음으로 법제를 준비한 미국에서는 도드 프랭크법(Dodd-Frank Act)을 제정하면서 여기에 분쟁광물 조항 제1502조를 포함시키는 조치를 단행하였다. 도드 프랭크법 제1502조와 이의 구체적인 시행요건을 담고 있는 증권거래위원회의 분쟁광물 규정에서는 미국 상장기업이 콩고, 콩고공화국, 르완다, 우간다 등을 포함하는 10개국의 분쟁지역에서 생산된 4개의 분쟁광물인 주석석, 콜탄, 금, 철망가니즈중석을 사용했는지 여부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고하도록 의무화하였고 지속적인 보고와 감시를 도모하고 있다. 미국 분쟁광물 규제법의 직접적 규제 대상은 미국의 상장기업으로서 미국에 상장한 우리나라 기업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들과 협력관계에 있는 미국외의 기업들도 모두 동법의 적용대상에 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동법의 적용대상에서 한국의 미국 상장기업은 물론이고 미국기업과 관련성을 지니는 국내 협력기업들도 사실상 법적용을 받게 된다. 비록 미국의 분쟁광물 규제법은 법률내용의 모호성, 기업의 과도한 비용부담, 광물수급체 파악의 불확실성 등의 문제들 때문에 기업의 반발이 강하였으나 최근 ‘National Ass’n of Mfrs. v. S.E.C.’ 사건을 통하여 그 합법성과 정당성이 확인되었다. 현재 미국에서는 분쟁광물 규제법의 효력에 따라 법 적용대상 기업들이 분쟁광물보고서를 제출하고 있으며 이른바 ‘위법행위공표제도’의 기능이 분쟁광물 분야에서도 구현되고 있다. 한편 미국 이외에도 유럽연합, 캐나다 등에서도 미국과 유사하게 분쟁광물 규제의 법제화를 가속화시키면서 이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또한 국제사회에서도 분쟁광물 규제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분쟁광물에 대응하지 않은 기업군에 대해서는 거래중단을 해야 한다는 권고안을 밝히는 등 분쟁광물의 규제 강도가 계속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로서도 미국의 분쟁광물 규제 법제를 이해할 필요가 있고 국제사회의 분쟁광물 규제 움직임에 발맞추어 관련 기업의 필요한 대응과 대책을 수립하여야 하며 필요하다면 국내의 입법적 조치도 검토할 상황이 되었다. 국내의 입법화 조치에는 다소 시간이 필요하므로 적어도 기업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분쟁광물 가이드라인과 같은 지침이 선행적으로 제정되어 운영될 필요가 있다. With the passage of Section 1502 of the Dodd-Frank Wall Street Reform and Consumer Protection Act (‘Dodd-Frank Act’) regarding conflict minerals corporate governance disclosure,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of the U.S. has entered into the human rights arena. Under the Section 1502, any company, regardless of size, that files reports with the SEC must now ensure that they are not funding rebel groups engaged in rape, torture, the use of child soldiers, exploitation of child labor, or other activities that have, in part, led to one of the world’s largest and most protracted humanitarian crises. Such ‘name-and-shame’ law, which does not actually make it illegal to source minerals from the Congo, aims to provide transparency to consumers and investors so that they can make informed choices about the companies with which they choose to do business. As a result, the Dodd-Frank Act may likely cause a de facto boycott of buying minerals from the Congo, even if they are not tainted. Consumers and investors will ultimately determine whether name-and-shame really works. Howeve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rograms by the Dodd-Frank Act may affect even Korean corporations which are listed in the U.S., or affiliated with the U.S. listed firms. That is why even Korean firms should be aware of Section 1502 of the Dodd-Frank Act and be ready for such regulations. Meanwhile, Korea also needs to review the possibility of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name and shame’ law which governs conflict minerals to participate in international endeavors for the extende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human rights area.

      • KCI등재

        조건부 자본제도와 상법상 적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

        김병태(Byung-Tae Kim)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法學硏究 Vol.23 No.2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의 ‘바젤 Ⅲ’는 금융기관의 부실과 관련한 도덕적 해이의 문제에 주목하여 종전의 공적자금 투입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구제금융 지원방식을 지양하고 내부적으로 해결하는 손실분담 방식으로 전환하는 ‘조건부 자본(contingent capital)’의 방식을 도입하고 있다. 새로운 방식의 조건부 자본이란 일정한 조건하에서 기존 사채증권을 주식증권으로 전환시켜서 금융기관의 자본증가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서 개별국가의 금융감독기관들은 향후 금융기관의 손실은 기존의 납세자가 아니라 해당 금융기관의 경영진, 채권자, 주주들이 스스로 부담하도록 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그러나 현재 바젤은행감독위원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조건부 자본은 단지 ‘금융기관’에 대한 ‘규제자본 수단’으로서의 가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을 뿐이다. 반면에 금융기관 이외의 일반 회사의 자본조달이라는 측면에서도 조건부 자본제도의 내용을 차용하여 ‘자본조달 또는 자본확충의 수단’으로서 조건부 자본이 활용될 수 있다는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에서는 회사의 자본조달수단을 다양화 한다는 취지에서 자본시장법의 최근 개정안은 기존의 상법 등 관련 법령에서 인정된 사채 외에 일정조건이 충족되면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조건부 자본을 새로운 사채의 유형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상장회사의 자기자본질서를 새로이 하는 것으로서 그 대상을 금융기관에만 국한하지 않고 은행 및 비은행을 포함하는 모든 상장회사로 하고 있다. 한편 상장회사 이외의 비상장 일반회사에도 부실기업화 되는 과정에서 재무건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같은 취지의 조건부 자본의 개념을 도입할 수 있을지를 고려하여 볼 수 있다. 더욱이 상법상의 일반 비상장회사에게 까지 확대하여 조건부 자본제도가 도입될 수 있다면 회사는 보다 건전한 자본제도를 활용하여 위급 시 손쉽게 자본을 확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자본시장법 개정안 제165조의6을 통하여 상장법인에 대하여 도입될 예정인 조건부 자본증권을 일반 비상장회사에게까지 확대 적용하기 위한 제반 문제와 상법상의 도입 가능성을 긍정적인 입장에서 검토하여 볼 수 있다. 현재의 상법 규정상 조건부 자본이 그대로 인정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명시적인 근거규정을 두기 위하여 새로운 유형의 사채 인정과 같이 그 도입을 위한 상법상의 관련 규정의 개정이 필요하다. 물론 회사의 채권자 보호와 담보적 기능을 지니는 현재의 상법상 자본제도를 보완하여 회사위기 시 자본을 확충한다는 목적에서 조건부 자본을 인정할 실익은 분명히 있지만, 그 남용이나 회사의 파산 관련 문제도 배제될 수 없으므로 조건부 자본의 설계에서 함께 입법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The contingent capital generally means a special arrangement by which a company can ensure that a certain amount of funding is available when a pre?arranged trigger event, such as a natural disaster or the fulfillment of a raw materials price threshold, has been reached. The contingent capital arrangement can be used to compensate for unexpected events or changes in expense amounts. In general, a firm becomes bankrupt when the value of its promised liability payments exceed the value of its assets or, equivalently, when the value of its equity goes to zero. Common equity is the most effective means for a private firm to absorb losses. If public policy aims to minimize the extent to which a private firm’s losses must be absorbed by public funds, supervisors should assure that systemically important firms always maintain an adequate equity cushion between their asset and liability values. One approach to this problem would be to require that large financial firms always maintain very high ratios of common equity to their risky assets. Because equity is tax disadvantaged, however, this saddles the firm with a high cost of capital, which means that lenders must pay higher interest rates on their loans. With an effort of bank supervision after recent several international and national financial crises, the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BCBS) finalized new requirements for preferred stock and debt instruments to qualify as regulatory capital for internationally active banks under the new “Basel Ⅲ” capital and liquidity standards which cover the contingent capital. Basel Committee members including Korea are expected to translate the new requirement (often referred to as either the “loss absorbency” or “non?viability” requirement) into national law part of their adoption of the new Basel Ⅲ capital and liquidity standards. Nations may, and will likely, adopt different approaches to implement the requirements. However, the contingent capital system may apply not only to financial firms such as banks but also to non?bank firms such as companies whether they are listed companies or not. In Korea, it is expected that Korea will introduce the ‘contingent capital securities’ very soon only for the listed companies by the revised bill of the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which is now under the amendment process in the National Assembly. At present, however, there is legal uncertainty about the matter of whether non?listed companies can issue such contingent capital securities. There is no clear cut rule whether the contingent capital should apply only to financial firms or not. In turn, the contingent capital system may apply to all kinds of firms whether they are financial, listed or unlisted if it is necessary for the companies’ financial purposes. For the purpose of its application to unlisted companies, in particular, amendments to the Korean Commercial Law should be followed. As a consequence, it will almost certainly take some time and effort to create sufficient confidence in the legal treatment and marketability of the contingent capital instruments before any sizeable market in them will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