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정질강섬유보강콘크리트의 휨성능 비교분석

        김병일,이세현,Kim, Byoung-Il,Lee, Sea-Hy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5 資源 리싸이클링 Vol.24 No.3

        The flexural performance of amorphous steel fibers having environmental and economy benefits due to relatively short manufacturing process were evaluated as well as that of hooked steel fibers by varing fiber length and volume fraction. Fiber lengths were 10 mm, 20 mm, 30 mm and fiber volume fractions were varied from 0.3% to 1.2%. Test results with flexural performance showed that mixing design needs to be careful because of relatively high volume of amorphous steel fiber compared to hooked steel fibers. High flexural strength was obtained from both longer fiber length and higher volume fraction. Residual strength and toughness of amorphous steel fiber were similar to that of hooked steel fiber, even though rapid dropping of applied load right after concrete matrix breaking. It can be judged that relatively high ability of energy dissipation around first cracking area relatively overcome rapid dropping of loading. 상대적으로 제조공정이 짧아 환경 및 경제적 이점을 갖는 비정질강섬유(AF)를 길이 및 혼입률을 변화하여 휨성능을 평가와 더불어 기존의 일반강섬유(HF)와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섬유의 길이는 10 mm, 20 mm, 30 mm, 및 혼입률은 0.3%, 0.6%로 변화를 주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정질강섬유(AF의 경우 비중은 일반강섬유(HF)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지나 겉보기부피는 약 2배정도 커서 같은 혼입률에서 투입되는 섬유의 개수는 훨씬 증가되어 배합설계에서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실험결과 휨강도의 영향은 섬유의 길이 및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강도의 증가를 보였으며, 일반강섬유(HF)보다 크게 나타났다. 특히 최대하중부근에서의 에너지소산능력이 뚜렷하게 증가하여 잔류하중단계에서의 급격한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반강섬유(HF)와 거의 유사한 잔류강도 및 에너지소산능력을 보여주었다. 콘크리트 균열 후 파괴진행단계에서는 섬유의 인발저항에 의한 균열진행이 아닌 섬유의 파단에 의한 강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여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토목, 화공, 전자 분야의 공학교육에 대한 산업체 설문조사 분석

        김병일,이의수,박진우,Kim Byoung-Il,Lee Euy-Soo,Park Jin-Woo 한국공학교육학회 2005 공학교육연구 Vol.8 No.3

        이 논문에서는 산업체 근무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공학교육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토목공학 분야에 대해서는 공학교육인증원에서 요구하는 학습성과를 기준으로 설문지를 작성한 후 직접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화학공학 및 전자공학 분야에 대해서는 문헌조사를 통해 확보한 최근의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3개 분야 모두 산업체 요구수준에 비해 대학졸업생의 수준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공학교육의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In this study, several issues of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were pointed out through the survey for industrial employees in the areas of civil, chem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For the area of civil engineering, a questionnaire based upon the outcomes of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of Korea) was developed for the survey, and the replies from the survey were then analyzed. For the areas of chemical and electronics engineering, data obtained from the literature study were used for analyses. The results of analyses show that the level of engineering education is much lower than that of the industrial demand in the case of all three divisions. It shows the urgency in improvement of engineering education.

      • KCI등재

        비정질강섬유 보강콘크리트 작업성 및 섬유 분산성 비교분석

        김병일,이세현,Kim, Byoung-Il,Lee, Sea-Hyu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4 資源 리싸이클링 Vol.23 No.4

        본 논문에서는 비정질 강섬유의 길이 및 혼입률 변화에 의한 섬유보강콘크리트의 작업성과 섬유분산성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였다. 일반적인 슬럼프시험 외에 역슬럼프 및 베베시험을 이용하여 일반 강섬유와는 외관 및 형상이 다른 비정질 감섬유의 유동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얇은 판상형의 비정질강섬유의 작업성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슬럼프시험보다는 진동 하에서 수행된 역슬럼프 및 베베시험을 통한 유동성 평가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섬유의 혼입률 및 길이 증가는 콘크리트의 유동성을 현저히 감소시켰으며, 시멘트 메트릭스내에서 섬유간 간격 또한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workability and fiber distributions of amorphous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by changing fiber length and fiber addition ratio. The inverted slump cone and vebe tests as well as slump test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fluidity of amorphous steel fibers which have quite different appear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steel fibers. Test results showed that thin plate type of amorphous steel fibers required different test approach to figure out workability since the reduction of workability from slump test was different that from inverted slump cone and vebe tests. In conclusion, fluidity of amorphous steel fibers to concrete was significantly degraded as fiber length and addition ratio increase. Also, fibers space in cement matrix was apparently reduced as the increase of fiber length and addition ratios without fiber balling.

      • KCI등재

        부산 해성 점토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및 교란도에 관한 연구

        김병일,이승원,이승현,조성민,Kim. Byoung-Il,Lee. Seung-Won,Lee. Seung-Hyun,Cho. Sung-Min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4

        본 연구는 부산 가덕도 부근 해성점토에 대하여 일축압축시험을 실시하여 일축압축강도, 최대강도에서의 변형률, 심도와의 관계를 비교 및 분석하였으며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과 시료채취시 충진율이 흙의 일축압축강도와 교란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시험결과 시료의 일축압축강도는 최대강도에서의 변형률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채취 심도가 깊을수록, 시료채취시의 충진율이 좋을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시료 충진율의 증가는 일축압축강도 증가를 가져왔고 시료의 등급 또한 높여주었다. In this study, relations among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strain at maximum strength and depth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Test specimen is marine clay originated from the place near Ga-duck island in Busan city. In addition, influence of impure material contained in specimen and that of total core recovery(TCR) 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and degree of disturbanc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est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s as strain corresponding to maximum strength increases. Also, the deeper the sampling depth and the bigger the TCR,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Especially, as the TCR increases,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s and quality of specimen is enhanced.

      • KCI등재

        중부 지역 중.소하천 교량의 세굴보호공에 관한 조사연구

        김병일,윤기용,이승현,Kim,Byoung-Il,Yoon,Ki-Yong,Lee,Seung-Hyun 한국방재학회 2005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5 No.1

        우리나라와 같이 홍수시 단기간에 걸쳐 유량이 급증하는 경우 유속에 의한 교량 기초의 급격한 세굴은 예상치 못한 교량 붕괴사고를 초래할 수 있다. 세굴은 교량의 수명이나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국내의 경우, 매년 약 100여 개의 크고 작은 교량이 세굴로 인하여 붕괴 및 손상을 입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장 단기간에 걸친 세굴보호대책은 충분하지 않은 상태이며, 세굴의 진행정도도 얼마나 심각한 상태인지 완전히 파악되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부지역의 중 소하천을 택하여 세굴 현황 및 세굴 보호공에 관한 실태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량 288개소 중에서 보호공이 있는 교량수는 전체교량의 7.3%에 불과하여 세굴에 대한 대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Scour plays a principal role in maintaining stability and durability of bridges. Especially, in case of severe flood events, flow rate getting increase in a short time, scour can impede the functioning of bridges to the extent that they must be taken out of operation, and even can imperil their stability and structural integrity. In Korea, about 100 bridges were collapsed or damaged every you. Sufficient field investigation, however, was not made and, therefore, no adequate countermeasure for scouring is available. In this study, literature on scour-protec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data on countermeasures of scouring which were collected through field investigation in central region of Korea are analyzed.

      • KCI등재후보

        WEAP 프로그램을 이용한 U형 널말뚝의 항타관입성 해석

        김병일(Kim Byoung-Il),김재규(Kim Jae-Kyu),이승현(Lee Seung-Hyun),이종구(Lee Jong-Ku) 한국산학기술학회 2006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7 No.4

        진통해머를 이용한 널말뚝 시공은 소음에 민감한 도심지 굴착 공사에 유용하다. 그러나 널말뚝의 진동-항타 시공시 항타관입성에 대한 연구는 거의 수행된 적이 없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U형 널말뚝을 진동해머를 이용하여 시공할 때 여러 가지 조건에 따른 항타관입성을 WEAP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석결과 널말뜩의 관입속도는 N값이 클수록 느려지며,20m 이내로 시공되는 경우 단면적이 클수록 느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Vibratory pile driving has an advantage of reduced noise pollutions compared to impact pile driving and it has been very widely used in the installation of sheet piles. However, very little has been known about the driveability characteristics of sheet pile under vibratory driving. So, the proper sheet piles and vibratory hammer for an given soil profile and depth are determined on a empirical basis. In this study, the driveability of If-type sheet piles are analytically estimated using the commercial WEAP(Wave Equation Analysis of Piles) program. The WEAP analysis shows that penetration rate of sheet pile decreases as N value increases. And if penetration length is not over 20 meters, the rate of penetration decreases as the sectional area of sheet pile increas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