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 버지니아주 거주 한국인과 미국인의 건강상태 인식도 및 짠맛 기호도 비교

        김미옥,Kim, Mi-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4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7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 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rvey was used and the subjects provided with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 researcher used this data to calculated their BMI and distinguished the degrees of obesity. For the BMI, the obesity diagnosis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as used for Koreans, and the WHO's obesity diagnosis on adults were employed for Americans. First, regarding the Korean participants, the level of obesity appeared in the order of normal (79.6%), overweight (14.3%), and underweight (6.1%). Also, the level of perceptions of their health conditions appeared in the order of average (51.7%) and good (34.7%). No one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in poor condition. Meanwhile, for the American participants, the order was as follows: overweight at about 45%, normal weight at about 35%, obesity at about 12.5%, and underweight at about 7.5%.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 during ordinary times, about 55% of the Americ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Therefore, the American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health to be in relatively better condition than the Koreans residing in the USA. Also, concerning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hile eating food at ordinary times, the American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to be more interested (about 62.5%) than the Korean participants. The research on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was conducted 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an item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feeling.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the USA responded as moderate. However,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s than Koreans responded to favor salty taste. Concerning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Koreans responded with various reasons whereas Americans mostly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eat salty food frequently. For any chang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eating salty food, both Korean and American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ir daily intake of salt is appropriate and that they consider taste a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snack. Based on the abov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or actual improvement in the diet with regard to salty food along with diverse policies for promoting life with a low salt diet in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도시계획관련 법제도 개선을 통한 공공체육시설 확충 방안

        김미옥,유지곤,고진수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8 스포츠와 법 Vol.21 No.4

        건강하고 행복한 삶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한 생활을 위한 공공체육시설 공급에 대한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국민체육진흥기금 지원 등을 통한 공공 주도의 공공체육시설의 공급은 늘어나는 체육활동 참여인구의 수요를 충족시키기에 부족한 실정이며, 더 나아가 모든 국민이 더욱 쉽게 공공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기에는 매우 어려운 한계를 갖고 있다. 최근 국토 및 도시정책 분야에서도 “건강하고 활력 있는 국토 조성”을 정책 목표로 설정하는 등 시대적 요구와 환경 변화에 맞추어 국민건강 증진을 위한 공공 건강인프라로서 공공체육시설에 대한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도시계획 및 개발 시 체육시설을 필수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도 개선안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중심으로 공공체육시설의 확충과 관련된 법률 및 지침의 문제점을 토대로 체육시설 확충을 위한 관련 법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공공재정 여건을 반영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공공체육시설 공급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As public interest in healthy and happy lives has increased, interest in providing public sports facilities for healthy living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supply of publicly-funded public sports facilities is insufficient to meet the demand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 in the physical activities, and furthermore, it is very difficult to supply the public sports facilities to all the citizens more easily. It is necessary to raise public awarenes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as a public infrastructure to promote public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of the surrounding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ystem to provide physical sports facilities in urban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related legal system for the expansion of physical education facilities based on problems of laws and guidelines related to expans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rough this, we will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is for providing systematic and sustainable public sports facilities reflecting the public financial situation.

      •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변인에 관한 연구

        김미옥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가족변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가족변인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한 것 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장애인복지관 15개소에서 서비스를 받고 있는 지적 장애를 가진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는 172부가 활용되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Pease, Clark & Crase(1979)가 개발한 어머니용 사회적 능력 척도를 활용하였다. 또한 가족변인은 가족스트레스, 가족의 장애수용정도, 가족기능, 가족자원 및 외부로부터의 도움 정도(동료가족, 전문가, 확대가족)로 구성하였으며, 이 중 가족외 장애수용정도와 외부로부터의 도움 정도는 연구자가 5점 리커드식으로 문항을 구성하여 활용 하였다. 가족스트레스는 Helroyd(1974)가 제작한 QRS척도, 가족기능은 Epstein과 동료들이 개발한 가족기능척도(FAD), 가족자원은 McCubbin, Comeau & Harkins가 개발한 가족자원척도(FIRM)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정도는 전체 평균이 2.82로 나타났다. 하위차원에서는 안정성이 평균 3.33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활동성이 평균 2.48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회적 능력과 가족변인의 상관관계에서는 가족스트레스와 사회적 능력이 가장 높은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사회적 능력(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은 가족스트레스, 장애수용정도, 가족자원, 가족기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외에도 사회적 능력의 각 하위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변인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장애인복지실천에서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을 위한 개입의 바람직한 구조적 틀(아동 및 가족 동시 개입) 뿐 아니라 프로그램의 내용 구성에 대한 다양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Little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mily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social competence and social competence level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the sample of 172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lected from 15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0.0.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Mean of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s 3.33. A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an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family stress, acception of disability, family resource, family function were influenced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finding give us significa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i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