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미노-말단 리보플라빈 생성효소 단백질의 형광 특성

        김류련,이정환,남기석,고경원,이찬용,Kim, Ryu-Ryun,Yi, Jeong-Hwan,Nam, Ki-Seok,Ko, Kyung-Won,Lee, Chan-Yong 한국미생물학회 2011 미생물학회지 Vol.47 No.1

        리보플라빈 생성효소(riboflavin synthase)는 기질인 두 분자의 6,7-dimetyl-8-ribityllumazine과 결합 후, 4-탄소 단위(4-carbon unit)의 자리 옮김 반응을 거쳐 한 분자의 리보플라빈과 한 분자의 pyrimidine 유도체를 형성하는 반응을 촉매한다. 대장균(Escherichia coli) 리보플라빈 생성효소의 아미노-말단 도메인 절반(N-terminal domain half)과 카복시-말단 도메인 절반(C-terminal domain half)은 매우 유사한 내부 자체 아미노산 서열(intra-molecular amino acid sequence)을 갖는다. 아미노-말단 영역 리보플라빈 생성효소(N-RS) 단백질의 구조와 형광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합효소 연쇄 반응과 위치지정 돌연변이를 통하여 10개 이상의 돌연변이 아미노-말단 리보플라빈 생성효소 단백질을 코드 하는 유전자를 증폭시켜 pQE30 벡터에 삽입한 재조합 플라스미드를 제조하여, 과발현시킨 후 분리 정제하였다. 대부분의 아미노-말단 도메인 리보플라빈 생성효소의 돌연변이 단백질들은 야생형과 같이 형광성 리간드인 6,7-dimetyl-8-ribityllumazine 혹은 리보플라빈과 결합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니고 있었으나, N-RS C47D, N-RS ET66,67DQ 돌연변이 단백질의 경우는 리간드와의 결합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형광을 띠지 않았다. 대부분의 돌연변이 단백질들의 형광 세기는 야생형 단백질(N-RS wt)보다 낮았으나, N-RS C48S는 예외적으로 야생형 단백질에 비해 2배 이상의 형광세기를 가졌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리보플라빈 생성효소와 형광성 리간드 사이의 상호작용을 예측 할 수 있으며, N-RS C48S 돌연변이 단백질의 형광성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효소 저해제를 발굴할 수 있는 고속다중 스크리닝 법(high-throughput screening system)으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iboflavin synthase catalyzes the formation of one molecule of each riboflavin and 5-amino-6-ribitylamino-2,4-pyrimidinedione by the transfer of a 4-carbon moiety between two molecules of the substrates, 6,7-dimetyl-8-ribityllumazine. The most remarkable feature is the sequence similarity between the N-terminal half (1-97) and the C-terminal half domain (99-213).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fluorescent characteristics of the N-terminal half of riboflavin synthase (N-RS) in Escherichia coli, more than 10 mutant genes coding for the mutated N-terminal domain of riboflavin synthase were gener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genes coding for the proteins were inserted into pQE vector designed for easy purification of protein by 6X-His tagging system, expressed, and the proteins were purified. Almost all mutated N-terminal domain of riboflavin synthases bind to 6,7-dimethyl-8-ribityllumazine and riboflavin as fluorescent ligands. However, N-RS C47D and N-RS ET66,67DQ mutant proteins show colorless, indicating that fluorescent ligands were dissociated during purification. In addition, most mutated proteins show low fluorescent intensity comparing to N-RS wild type, whereas N-RS C48S posses stronger fluorescent intensity than that of wild type protein. Based on this result, N-RS C48S can be used as the tool for high throughput screening system for searching for the compound with inhibitory effect for the riboflavin synthase.

      • SCOPUSKCI등재
      • 세균의 발광반응

        이찬용,김소영,김류련,우영은 충남대학교 생물공학연구소 2005 생물공학연구지 Vol.11 No.2

        Bioluminescence refers to the process of visible light emission in living organism mediated by an enzyme catalyst. A common lux gene organization includes the genes coding for the bacterial luciferase subunits (luxAB) and the fatty acid reductase polypeptides (luxCDE)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the aldehyde substrate for the luminescence reaction. Additional genes, involved in regulation of flavin binding and metabolism, were found in the specific luminescent bacteria. Light intensity per cell is highly dependent on cellular growth owing to the spectacular autoinduction of luminescence at high cell density. Therefore, the bacterial lux system is of particular interest as it can serve as an excellent model for more general signal transduction system called quorum sensing regulation. In addition, the potential applications of bacterial bioluminescence as a safe, rapid, and sensitive sensor for a wide variety of compounds and metabolic process were also described in this review paper.

      • KCI등재

        대장균의 Global 조절 단백질인 Lrp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의 생화학적 특성

        이찬용,김소영,김류련,Lee, Chan-Yong,Kim, So-Young,Kim, Ryu-Ryun 한국미생물학회 2006 미생물학회지 Vol.42 No.4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Lrp) is a global regulator involved in modulating a variety of metabolic functions, including the catabolism and anabolism of amino acids as well as pili synthesis. In addition, there is growing evidences that Lrp may play an important role when cells make transition between rich and lean nutritional conditions. In this review, the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Lrp are described to provide a good example that shows how bacteria adapt to nutrient limitation and environmental stress. Leucine-responsive Regulatory Protein (Lrp)는 global 조절 단백질로서 아미노산의 합성 및 분해 작용과 pilin 생합성을 포함하는 다양한 대사기능을 조절하는데 관여한다. 또한 Lrp가 대장균의 성장 정지기의 유전자 발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최근의 여러 실험 결과에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총설에서는 세균들이 영양부족 등의 환경적인 스트레스상황을 어떻게 인지하고 유전자 발현 조절에 그 정보를 반영해 나가는지를 제시해 주는 종은 모텔 시스템으로서 Lrp의 생화학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