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송욱의 구제고교 체험과 <시학평전>의 반(反)낭만적 이상 : 한국 근대시연구의 해석학적 연합을 위한 시론(試論)

        김대진 한국문학회 2019 韓國文學論叢 Vol.8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d Song Wook's The Critical Biography of Poetics in the context of poetry's musicality, more specifically, Romantic subjectivity discourse after liberation. Each of these contexts is shaped as a series of Romantic drift in the South Korean literary field after Song Wook's debut, and Showa Culturalism at Old High School that Song Wook experienced during his adolescence. Through this, this study explains Counter-Secularization orientation and a Idea of “musicality” in The Critical Biography of Poetics. Thus, this study places Song Wook's poetics in the context of Korean poetry's spiritual history as a sublation of Culturalism or Romantic Expressivism. 이 논문의 목표는 송욱의 <시학평전(詩學評傳)>을 해방 이후의 시의 음악성, 보다 구체적으로는 낭만적 주관성 담론에 관한 맥락 속에서 독해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은 각각 송욱이 등단 이후 활동한 남한 문학장에서의 낭만주의적 경향의 연속, 그리고 송욱이 청소년기에 체험한 구제고등학교(舊制高等學校)에서의 쇼와 교양주의(昭和敎養主義)로 구체화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송욱의 <시학평전>에 함축된 반(反)세속화(Counter-Secularization) 지향과 그의 ‘음악성’에 대한 생각을 해명한다. 그리하여 송욱의 시학을 문화적 교양주의(Culturalism) 또는 낭만적 표현주의(Romantic Expressivism)에 대한 지양(止揚)이라는 한국시의 정신사적 맥락 속에 위치시키고자 한다.

      • KCI등재

        Broiler에 있어서 대두 Lecithin의 사료적 가치에 관한 연구

        김대진,김영길 한국가금학회 1980 韓國家禽學會誌 Vol.7 No.1

        Broiler에 있어서 대두유의 처리공정중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Lecithin의 사료적가치에 관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Lecithin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비타민 그리고 총에너지를 측정하였다. 2. Lecithin을 Broiler 후기사료에 3%, 6%, 9%, 12%까지 첨가하여도 병아리의 증체량에는 대조구와 유의차가 없었다. 3. 사료섭취량에 있어서는 대조구 Lecithin 3%, 6%, 9%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12%구는 6%, 9%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P<0.05) 4. 사료요구율에 있어서도 각 처리구간 유의차가 없었으나 Lecithin 9%구가 2.32로서 요구율이 가장 낮았고 그 다음이 Lecithin 6%구의 2.40,3%구의 2.41의 순이었다. 5. 도체성적에 있어서 도체의 수분함량은 71.2-72.5%로서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고 조단백질 함량은 15.93-16.45, 조지방의 함량은 6.19-7.05%였다. 6. 복지방함량은 42.4-63.7g으로 Lecithin 첨가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냈으며 간중량도 처리간 유의차가 없었다. 간지방중량은 2.2-2.4g정도로서 처리간 유의차는 없었으나 Lecithin 첨가구가 약간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7. 이상의 시험결과 대두유 부산물인 Lecithin은 Energy 사료로서 우수하였다.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 study the feeding value of crude soylecithin produced as by-products of soybean oil manufacturing in broiler ration.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hemical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Vitamine contents and gross energy values of crude soy-lecithin were determined 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for the body weight gain of broiler between control and lecithin groups of 3%, 6%, 9o/e and 12% addition. 3. Significant difference (P<0.05) was observed for feed intake lecithin 12% composed with lecithin 6% and 9% group,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control, lecithin 3%, 6%, and 9% groups. 4.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feed conversion between treatments. However, the lowest figure 2.32 for lecithin 9% treatments, followed by 2.40 of lecithin 6% and 2.41 of lecithin 3% orderly. 5. The composition of moisture,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in broiler carcas ranged from 71.2 to 72.15%, from 15.93 to 16.45% and from 6.19 to 7.05% respectively. 6. The weight of abdominal fat and live fat in broiler caress ranged from 42.4 to 63.7 gm, and from 2.2 to 2.4gm respectively. difference between abdominal and live fat weight was showing in significant statistically. 7. The present data reveal that soy-lecithin as by-product of soybean oil manufacturing was valuable energy source.

      • KCI등재

        소형 통발어선의 안전조업을 위한 로프 권양장치 연구

        김대진,장덕종,박주삼 해양환경안전학회 2022 해양환경안전학회지 Vol.28 No.1

        The result of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fishermen using coastal fish traps shows that fall accidents during trap dropping and pulling constitute the highest proportion of accidents at 42.1%, whereas slipping accidents on the deck or stricture accidents to the body due to the trap winding device constitute 21.1% each. In addition, 53.2% of all surveyed subjects responded that trap pulling is the most dangerous task, followed by fish sorting 33.8%, and trap dropping 9.1%. As for the main items requested by fishermen for improving the trap winding device, 36.8% indicated a method to easily lift the trap from the water to the work deck, and 31.6% indicated a method to overcome the rope tension and prevent slip when pulling the trap to reduce the accidents. The small trap fishing vessel winding device proposed herein can increase the winding force by strengthening the rope contact area and friction coefficient via an appropriate contact angle between the driving roller of the winding device and the rope. When the contact angles between the driving roller and the rope are 1°, 5°, 9°, 14° and 19°, the rope tension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contact angle. When the contact angle is 9°, the rope tension is the highest at 392.62 kgf. Based on these experimental results, a prototype winding device is manufactured, and 25 traps are installed on a rope with a total length of 100 m at 4 m intervals in the sea, and then the rope tension is measured during trap pulling. As a result, the rope tension increases rapidly at the initial stage of trap pulling and shows the highest value of 31.89kgf, which subsequently decreases significantly.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design the winding force of a small trap fishing vessel winding device based on the maximum tension value of the rope specified at the beginning of the trap pulling operation. 연안통발 어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통발 투하 및 인양 중 로프 걸림에 따른 전도사고가 42.1%로 가장 높았고, 갑판에서 미끄러짐과 통발 권양장치의 신체 협착사고가 각각 21.1%를 차지하였다. 또한 가장 위험한 작업은 전체 조사대상의 53.2%가 통발 인양과정을 들었고, 어종선별 33.8%, 통발 투하 9.1% 순으로 응답하였다. 어민들은 통발 권양장치의 주요 개선 요구사항으로 응답자의 36.8%와 31.6%가 통발을 수중에서 작업갑판까지 수월하게 인양하는 방안과 통발 인양 시 로프 장력 극복과 슬립 방지 등 사고저감 방안을 언급하였다. 본 연구에서 소형 통발어선 권양장치는 구동롤러와 로프 간의 적정한 접촉각을 통해 로프의 접촉면적과 마찰계수를 증가시킴으로써 권양력을 높이는 것이다. 구동롤러와 로프 간의 접촉각이 1°, 5°, 9°, 14° 및 19°일 때 로프 장력은 각각의 접촉각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9°일 때 가장 높은 392.62kgf까지 측정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반영하여 시제품 권양장치를 제작하고 총 길이가 100m인 로프에 4m 간격으로 총 25개의 통발을 해상에 설치한 후 인양에 따른 로프 장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로프 장력은 통발 인양작업 초기에 급격히 증가하여 가장 높은 31.89kgf로 측정되었으며, 이후에는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소형 통발어선 권양장치의 권양력은 인양작업 초기에 부여되는 최대 로프 장력 값을 기준으로 설계하는 것이 타당하다.

      • KCI등재

        일본에서의 신흥예술론 이입과 김진섭의 「표현주의문학론」

        김대진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人文硏究 Vol.- No.1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struct the intentions of Kim Jin-seop's “On Expressionist Literature” through the intellectual context of Japan at the time. Chapter 1 describes the motives and plans of this study. Chapter 2 examines the ways in which debates about the limits of expressionism were shaped by the "expressionist boom" in Japan in the mid-1920s, during which the country accepted the information that expressionism had already come to an end in Germany, and the simultaneous introduction of new arts such as DaDa and Constructivism circulated voices about the limits of expressionism. Chapter 3 examines the formation of industrialist ideas in Japan in an atmosphere of ‘Reconstructing the imperial capital’ after the Great Kanto Earthquake, and the process of building the image of Ilya Erenburg as the author of constructivist art theory. In doing so, it corrects the common misconception that Kim Jin-seop's “On Expressionist Literature” is a translation of Ilya Ehrenburg's text, or that it represents progressivism or dilettantism. Finally,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interpret Kim Jin-seop's "On Expressionist Literature" based on the above achievements and to pay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Kim Jin- seop utilized the source text as a resource to create new meanings. 이 논문의 목적은 김진섭(金晉燮)의 「표현주의문학론」의 의도를 당시 일본의 지적 맥락을 통해 복원하는 것이다. 1장은 논문의 동기와 기획을 서술한다. 2장은 1920년대 중반 일본의 ‘표현주의 붐’ 가운데 표현주의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형성된 양상을 살핀다. 이 시기에 일본에서는 독일에서 이미 표현주의가 종언을 맞았다는 정보가 수용되었으며, 나아가 다다, 구성주의 등의 신흥예술이 동시에 이입되며 표현주의의 한계에 대한 목소리가 유통되었다. 3장은 관동대지진 이후 제도부흥의 분위기 속에서 일본에 산업주의 관념과 더불어 구성주의예술론의 저자로서 일리야 에렌부르그 상이 구축되는 과정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 김진섭의 「표현주의문학론」이 일리야 에렌부르그의 글을 번역했다거나, 진보주의 혹은 딜레탕티슴을 드러냈다는 선행연구의 통념을 교정한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이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김진섭의 「표현주의문학론」을 해석하고, 김진섭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기 위해 원천 텍스트를 자원으로서 활용한 측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