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가족친화제도 이용현황: 육아휴직제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아동관련 수당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김낙흥,국소영,김다영,오은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use status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1, 045 fathers in eight regions across the country who were raising young children(born in 2017-2023).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rate to the use status in the case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and the ‘reducing system of working hours during parenting period’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was less than half, while the utilization rate of support system for child-related allowance was higher than 60%. Second, realistic paid leave support, extension of shortening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child-related allowances were proposed as improvements to the family-friendly system for fathers’ work-family balance support. These findings can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family-friendly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ocial environment that supports a balanced work-family life of fathers raising young children.

      • KCI등재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김낙흥,서영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s and the effect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on hea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were 167 head teachers who worked at child-care centers in Korea. They were asked by using the survey instruments about the organizational climate including 6 types of sub-constructs and hea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cluding 7 types of sub-constructs.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OVA and post-hoc (LSD), and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PASW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ead teachers perceive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formed a close friendship with one another and committed their educational work, but the directors had a bureaucratic relationship with other teachers.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had relatively higher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nd work itself than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working condition, salary and promotion, and welfare.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al climate and head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results revealed that child-care teachers’ commitment to their work and directors’ humane approach had a strong impact on head teacher’s job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67명이며, 연구도구는 한국판 조직풍토지(OCDQ-KOR)와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 측정 설문지를 수정·보완·삭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보육시설 주임교사가 지각한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를 분석하였고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직풍토와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는 Pearson r을 통해 분석하였고 조직풍토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직풍토와 관련하여 주임교사는 보육교사의 친교적, 헌신적 행동이 높게 나타나며 시설장의 관료 지향적 행동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지각하였다. 또한 주임교사의 배경변인 중 보육시설유형에 따라 조직풍토에 대한 지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직무만족과 관련하여 주임교사는 동료교사의 관계 만족도가 가장 높고 복지 후생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임교사의 배경변인 중 보육교사 경력, 학력, 담당 학급 유아 연령에 따라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조직풍토와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조직풍토 하위요인 중 보육교사의 친교적, 헌신적 행동 및 시설장의 인간 지향적, 목표 지향적 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보육교사의 방관적 행동과 시설장의 관료 지향적 행동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특히 조직풍토 하위요인 중 보육교사의 헌신적 행동과 시설장의 인간 지향적 행동은 주임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미국 공립 유아학교(Universal Pre-Kindergarten)에 대한 정책과 평가 조지아 Pre-Kindergarten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1

        Since 1995, the state of Georgia has provided the state lottery-funded Pre-K program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for all 4-year-old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ducational policy and the evaluation of the Georgia Pre-Kindergarten program which is the first universal state-funded Pre-K program in the United State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literature about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operating guidelines, the policy processes and traits about Georgia Pre-K program. Based on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e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early education policy. According to the findings, Georgia Pre-K program has offered the service to all 4-year-old children in the state and have utilized the state lottery funds for financing universal Pre-K program. Georgia Pre-K program has also integrated private providers into the public programs in the state and have monitored and improved the program quality and teacher quality. Most of all, the success of Georgia's Pre-K program has been due to the powerful leadership of the policy makers and administrators with the pass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e knowledge of legislative dynamics and budgetary policy. The analysis of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Georgia's universal Pre-Kindergarten program provides applicable examples and ideas for Korean administrators and early childhood policy makers who seek to establish an universal free early care and education system. 본 연구는 1995년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최초로 시작되어 현재까지 시행되고 있는 만4세를 위한 전면 무상 Pre-Kindergarten 프로그램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프로그램 운영방식, 프로그램에 대한 정책 과정과 특성을 고찰하고 한국의 유아교육정책방향과 관련된 평가 내용을 분석. 정리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조지아 Pre-K 프로그램은 전면무상교육을 시행하기 위해 복권 수익을 Pre-K 프로그램을 위한 교육재정으로 사용하였으며 시설 확충을 위해 공립학교와 사립기관을 통합하는 정책을 세웠고, Pre-K 프로그램의 질과 교사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로그램 규정을 강화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정책입안자의 유아교육에 대한 신념과 추진력, 재정의 효율적 사용 등이 Pre-K 정책의 성공요인이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알게 된 Pre-K 프로그램을 위한 정책 수행과정과 정책에 대한 평가는 앞으로 만5세를 위한 전면무상 유치원교육 및 무상교육 연령의 하향화 등 국가적 차원의 유아교육지원과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우리나라 정부와 정책에 관여한 유아교육자들에게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아교사 양성프로그램 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8 유아교육학논집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urriculum standards for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preparation programs at the baccalaureate level and to provide challenges for the curriculum in preparing the next generation of Korean early child educators. This study reviewed and analyzed the current research studies and reports about what constitutes critical knowledge base of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and what ar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The findings suggest that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needs to provide knowledge and skills in constructing social and political view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understanding children's families and communities , understanding children's cultural diversity, building partnerships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improving reflective thinking.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arly childhood teacher preparation curriculum suggests that Korea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need to provid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ion research curriculum, develop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field experiences and student teaching, and uphold professional ethical standards through reflective thinking practices, in order for preservice teachers to have knowledge bases and competence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본 연구는 전미유아교육협회를 비롯한 최근 연구와 보고서에서 제시한 지식기반 사회에서 4년제 예비유아교사 양성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교육과정의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교사양성교육과정의 평가기준을 분석하여 정리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교사양성 교육과정이 고려해야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유아교사가 갖추어야할 지식기반 및 자질을 중심으로 제시한 양성교육과정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였으며, 최근 제시된 우리나라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현황 연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양성교육과정의 평가기준으로 사회문화적 관점의 반영, 유아의 가족과 지역사회에 대한 이해,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이해, 다른 전문가와의 협력관계 형성, 반성적사고의 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고 이를 유아교사교육과정의 평가기준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준에서 우리나라 유아교사교육과정의 현황을 분석한 결과에 따라 보완해야할 미래지향적 방향으로 범 사회학적 시각에 기초한 다문화교육과 실행연구자로서의 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안하였고 그와 더불어 현장 실습의 실질적이며 체계적인 개선과 반성적 사고능력의 증진을 통한 교직윤리의 강화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과의 관계

        김낙흥,손수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0 유아교육학논집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hea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in child-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167 head teachers who worked at child-care centers in Korea. They were asked by using the survey instruments about teachers' role performance including 6 types of role performance and teachers' role conflict including 5 types of role conflic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ANOVA and post-hoc (LSD), and Pearson r using PASW 17.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head teachers were more likely to perform 'child-care administration role' among the 6 types of role performance and to have 'role conflict' among the 5 types of role conflic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d teachers' role performance in term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experience,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class age, and in head teachers' role conflict in terms of their age, type of child-care center, and class age. Final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hea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role conflict.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의 정도를 알아보고 주임교사 역할수행과 역할갈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보육시설에 근무하는 주임교사 167명이며, 연구도구는 유치원 원감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을 조사한 설문지를 보육시설에 맞도록 수정·보완·삭제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분석을 통하여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의 정도를 분석하였고,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에 따른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의 차이를 밝히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및 사후검증을 위한 LSD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의 상관관계는 Pearson r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주임교사는 역할수행의 6개 하위요인 중 ‘보육시설 운영관리’에 대한 역할수행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보육교사 경력, 학력, 시설유형, 담당학급 유아연령에 따른 역할수행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또한 주임교사 역할갈등의 5개 하위요인 중 ‘역할갈등’으로 인한 역할갈등의 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주임교사의 일반적 배경 중 연령, 시설유형, 담당학급 유아연령에 따른 역할갈등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주임교사의 역할수행과 역할갈등은 전체 하위영역 간에 부적 상관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빈민지역에서의 실습을 통해 한 예비교사가 겪는 신념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김낙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5 유아교육학논집 Vol.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a student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constructed through her prior social and cultural life experiences and how this student teacher’s beliefs were reconstructed through the student teaching experience. Using a case study approach, qualitative data such as an in-depth interview with the student teacher and her journal writing were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student teacher's prior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had been expanded and reconstructed in the relations with children, classroom teacher, and community in a poverty are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 teaching experiences with children who have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play an important role in reflecting on their old assumptions and reconstructing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본 연구는 미국의 한 예비교사가 빈민지역에 있는 유치원에서 실습생으로 일하며 겪은 교사로서의 신념의 변화과정을 예비교사와의 면담과 실습기간동안 예비교사가 작성한 저널 등에서 얻은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가 겪어 왔던 삶의 경험들, 즉 예비교사가 자라온 사회, 문화적 환경과 학생시절 가르침을 받았던 교사, 자원봉사자로 아이들을 가르쳤던 경험들이 교사로서의 신념형성에 영향을 미쳐왔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전의 경험들로 형성된 교사로서의 신념은 빈민지역에 위치한 유치원에서 실습생으로 일하면서 반 아이들과 담임교사와의 관계 속에서 또한, 빈민지역이라는 사회, 문화적 상황 속에서 유지, 확장, 그리고 재형성 되어감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른 사회, 문화적 환경에 있는 아이들과의 실습경험이 예비교사 자신이 형성해 왔던 신념을 반성해보고 새롭게 신념을 형성해 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제시해준다.

      • 놀이 중심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낙흥,이은정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Vol.2022 No.6

        본 연구는 생애초기인 유아기부터 미래 사회의 디지털 시민으로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인 개정누리과정에서 추구하는 놀이 중심의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국내외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관련 프로그램과 연구물 및 누리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고 그 바탕으로 유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개발한 프로그램을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유아 대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활동들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현장에서 유아로부터 발현되는 미디어 관련 놀이 상황을 관찰·분석하여 놀이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아버지의 가족친화제도 이용 정도, 자녀 양육 참여, 일-가정 양립 갈등 간의 구조관계 분석

        김낙흥,김다영 열린부모교육학회 2024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use of the family-friendly polici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work-family balance conflicts. In order to recruit researchers, 1,000 fathers with young children in eight regions nationwide were targeted. The collected research data us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of the SPSS 26.0 program, and analyzed the model fit, path analysis,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mediating effects of the AMOS 29.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egree of father’s use of the family-friendly polici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 of using the family-friendly policies and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 involvement in childrearing showed a mediating effect that reduced the work-family balance conflict, and the indirect effect was also confirmed. These findings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work-family balance conflict that is caused even when fathers with young children utilize social support called the family-friendly policies. It is meaningful to propose an institutional device that guarantees involvement in childrearing and an education program for fathers in the workplace to seek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the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