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 분석(1)- 각종 매체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7 새국어교육 Vol.0 No.75

        Analysis of Actual Examples of Misused Words and Sentences(1)- Focusing on expressions appearing on various media 본고는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단어와 문장의 오류를 중심으로, 그것들을 분석하고 유형화함으로써, 바람직한 쓰기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작성하였다. 신문, 서적, 잡지 등 각종 매체에 자주 등장하는 오류의 사례를 정리하여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각각의 예를 분석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오용을 가려내는 기준으로는 한국어 어문 규정, 국어사전, 각종 문법서 등을 참조하였다.오류의 사례로는 표기법 및 단어 선택이 잘못된 경우, 조사 및 어미가 잘못 사용된 경우, 호응 관계가 적절치 않은 경우, 필수적인 문장 성분이 생략된 경우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단어를 구성하고 운용하는 것을 어법이라 할 때, 그 어법에 맞게 써야 바른 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좋은 글이 되기 위한 필수 불가결의 조건이다. 아무리 논리적으로 짜임새가 있는 글이라도 어법에 어긋난다면 그 글은 생명력을 잃고 만다. 따라서 본고의 목표는 각종 매체의 글에 나타나는 단어와 문장의 오류 실태를 개괄하고 그 예들을 제시함으로써 국어 사용자들이 제대로 어법에 맞는 글을 쓰도록 하는 데 있다. 이는 국어 교육의 차원에서 실생활에서 보이는 오용 어법을 예방하고, 그에 대한 처방적 지도법을 찾는 사전 작업의 일환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오류 양상에 관한 고찰 - 중국 대학생들의 문장에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김경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80

        This thesis aims to present the errors identified from Chinese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errors are analyzed and classified into several types. Education would be conducted more efficiently if the grammatical errors shown mainly when foreigners try to learn the Korean language are investigated, classified into groups and practically utilized on education sites. This kind of attitude is corresponding to a prescriptive method of language education. The present author believes that, if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pplied to a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especially Chinese learners, it would satisfactorily serve the purpose of the thesis. 본고는 중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들이 한국어를 배울 때 나타나는 오류의 양상을 문장 단위의 글로 한정하여 살펴보았다. 이에 대한 기초 자료로는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성균관대학교에서 실시한 한국어 백일장 자료를 활용하였다. 한국어를 습득하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보이는 오류의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언어교육의 처방적 측면에서도 이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실제 현장에서 반드시 필요한 과정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 제시된 예문들은 단순히 문장의 오류 현상만을 보여 주는데 끝나지 않는다. 글에서 보이는 오용 사례들을 살펴보면서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하는 사람들이 우리말을 학습할 때 느끼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언어 교육의 처방적 측면에서 이런 사례들을 한국어 교육의 현장에서 활용하려는 데에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 글은 이를 위한 기초적 작업의 하나라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집중학습 과정― 성균관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훤,신영지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The Liberal arts only for foreign students in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Intensive Study Course, is a new course to solve the academic problem due to the lack of ‘Korean’ ability in particular the foreign students face during their study in Korea. The University College of SungKyunKwan University manages this course focused on ‘academic Korea’ required for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iberal arts. The course is aimed at increasing Korean skill in short time by teaching ‘academic Korean’ for communication in each field and selecting a multiple syllabus for repeated expansion. In addition, liberal arts as well as Korean class are opened to help them increase academic ability suitable for university. It is verified that the students’ Korean ability has been increased during this course, helping them not only in academic field but also in overall university life and major subjects. In terms of objective index such as the student’s fail rate and lecture evaluation, it was verified that ‘Intensive Study Course’ for foreign students enhances their Korean ability and academic ability. 최근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수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유학생의 증가에 따라 여러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대학은 유학생의 유치와 교과과정 운영 등의 제반 문제에 당면하고 있으며 외국인 유학생들 역시 대학의 적응과 한국어 능력 부족으로 인해 나타나는 여러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국내 유학생의 증가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외국인 전용 교양교과목(학문 목적 한국어를 중심으로 한)의 개설 및 운영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이 연구는 다음 세 가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와 그로 인한 문제점을 살피고 둘째, 외국인 전용 교과목으로서의 한국어 관련 교과목의 개설 필요성을 밝히고 셋째, 2014년 1학기 성균관대학교에서 개설한 외국인 유학생 전용 교육과정인 ‘교양집중학습과정(ISC)’의 개설과 운영에 대해 소개하였다.현재 외국인 유학생이 겪는 가장 큰 문제는 도구 언어로서의 ‘한국어’ 능력의 부족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유학생들에게 필요한 학습의 매개인 한국어가 일반목적 한국어와 변별되는 ‘학문목적 한국어’임을 인지하고 유학생 전용 교양 교과목으로 갖는 의미와 유효성을 지적하였다. 특히 성균관대학교의 ISC과정의 개설과 그에 따른 교과 운영 및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외국인 전용 교양 교과목의 개설 및 앞으로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非音韻化 과정에서 나타나는 音 變化의 두 樣相

        김경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4 새국어교육 Vol.0 No.68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synchronic alternation and diachronic change through a change of ‘ㆍ’ undergoing dephonologization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I studied what relation these two changes have and how they are realized in the Korean phonological system. Also, I pointed out some problems caused by considering these two changes as a same sound change without discriminating them and explained the phenomenon of alternation and change in aspect of phonology. Most of all, I compared ‘ㆍ>ㅡ’, the first stage of change, with ‘ㆍ>ㅏ’, the second stage of change. Consequently, I found out some big differences related to two phenomena ‘ㆍ>ㅡ’, ‘ㆍ>ㅏ’. First, the relation between ‘ㆍ’ and ‘ㅡ’ has undergone change in both sides(ㆍ>ㅡ, ㅡ>ㆍ) differently from change of ‘ㆍ>ㅏ’. Second, ‘ㆍ>ㅡ’ usually was shown only in non-initial syllable. Third, the change of ‘ㆍ>ㅏ’ led to change of vowel system in Korean. On the contrary, ‘ㆍ>ㅡ’ has not followed those vowel system variation. These facts show that established view which explained ‘ㆍ>ㅡ’ and ‘ㆍ>ㅏ’ as a same sound change was not right. So I didn't consider the relation between ‘ㆍ’ and ‘ㅡ’ as diachronic sound change, but as synchronic alternation. That's because ‘ㆍ’ and ‘ㅡ’ were used alternately in Korean vowel system at that time. In those days, ‘ㆍ’ and ‘ㅡ’ were in opposition with ‘舌縮’ and ‘舌小縮’. Therefore, ‘ㆍ>ㅏ’ which was shown after 17th and 18th century was considered as a real diachronic change. 본고는 近代國語 시기에 非音韻化를 겪은 ‘ㆍ’의 변화를 통해 共時的 交替와 通時的 變化의 두 양상의 차이점을 살펴보려는 데에 목적이 있다. 즉 국어의 音韻體系 속에서 이 두 현상이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모습으로 실현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의 연구에서 이들을 구별하지 못하고 동일한 음 변화로 해석함으로써 나타났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音韻論的인 차원에서 交替와 變化의 현상을 설명하였다.먼저 ‘ㆍ’의 제1단계 변화라고 말해 왔던 ‘ㆍ>ㅡ’를 제2단계 변화인 ‘ㆍ>ㅏ’의 경우와 비교검토하였다. 그 결과 필자는 두 현상(ㆍ>ㅡ, ㆍ>ㅏ)에 관련된 몇 가지의 커다란 차이점을 발견하였다.첫째, ‘ㆍ’와 ‘ㅡ’와의 관계는 ‘ㆍ>ㅏ’의 변화와는 달리 변화가 雙方向(ㆍ>ㅡ, ㅡ>ㆍ)으로 진행되었다는 점, 둘째, ‘ㆍ>ㅡ’의 변이가 非語頭音節에서만 주로 나타났다는 점, 셋째, ‘ㆍ>ㅏ’의 변화로 국어의 母音體系가 변동을 겪었음에 반해 ‘ㆍ>ㅡ’는 그러한 體系의 變動이 수반되지 않았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ㆍ>ㅡ’와 ‘ㆍ>ㅏ’를 동일한 음운변화로 해석하는 기존의 견해가 올바르지 못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보았다.따라서 ‘ㆍ’와 ‘ㅡ’의 관계를 ‘ㆍ>ㅡ’의 통시적인 음운변화로 보지 않고, 당시 국어의 모음체계 속에서 二肢的 相關關係였던 ‘ㆍ’와 ‘ㅡ’가 서로 隨意的으로 교체되어 나타나는 공시적 교체 현상으로 파악하였다. 그것은 당시의 모음들이 ‘舌縮’과 ‘舌小縮’의 관계 속에서 서로 대립하고 있었고, ‘ㆍ’와 ‘ㅡ’ 역시 이 같은 대립으로 존재하였다는 데에 바탕을 둔 것이다. 따라서 ‘ㆍ’가 音韻으로서의 지위가 서서히 흔들렸다고 보는 17~18세기 이후에 나타나는 ‘ㆍ>ㅏ’(‘ㅏ’로의 合流)만이 진정한 의미의 通時的인 음운의 변화라고 보았다.

      • KCI등재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첨삭 지도 사례

        김경훤 한국국어교육학회 2009 새국어교육 Vol.0 No.83

        This study aims to examine college students' writings, with a focus on their construction, logic (presentation of rationale, relationship with the theme, etc) and grammar (use of word, correspondence, modification, omission, etc.) The materials cited here are the writings the students personally composed during their school classes in a year. An analysis is made of four writings which present the students' opinions approving or disapproving, for example, ‘a system for officially recognizing absence due to menstruation’ and ‘introduction of the system of capital punishment.' The correction cases listed here may set an example of the composition education since 'good writings' necessarily have good grammar and few logical discrepancies. 본고는 대학생들의 글을 구성 및 논리적인 면(논거 제시, 주제와의 관련성 등), 어법적인 면(어휘 선택, 호응 관계, 수식 관계, 성분 생략 등)에 초점을 맞춰 살펴보았다. 여기에 인용한 자료는 대학 1학년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직접 작성한 글이다. ‘생리공결제’와 ‘사형제도’ 도입 여부를 주제로 자신의 찬, 반 주장을 논술한 4편의 글이 분석의 자료로 쓰였다. 어법적 오류가 적은 글, 논리적 결함이 적은 글이 ‘좋은 글’의 본질이라고 할 때 본고의 첨삭 지도의 사례는 글쓰기 교육 과정의 한 본보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