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자력 이슈에 대한 심리적 요인과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수용자 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대화 유형에 따른 비교 분석

        길우영,윤호영,이종혁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사회과학연구 Vol.30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public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explor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ceptual changes. Different groups of online conversations were examined. Two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same 600 panels of a research firm in May and November 2017. There were some interesting findings. The percept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afety, economics, and acceptability. Respondents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in the second period compared to the first period in all three dimensions. Political orientation turned out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change of perception of economic efficiency and acceptance. The more conservative the political orientation was, the more positively the perceptions of nuclear energy became. Next, interest in nuclear energy, use of news media, and news coverage recognition positively changed nuclear perceptions. Groups in online conversations were then classified as conversation leaders, conversation observers, and conversation participants. In the group of participants, news media use and news coverage recognition show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economy. In the leader group, however, the two variables had negative influences on the change in perception in terms of acceptance.

      • KCI우수등재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뉴스 의제 분류와 미디어 다양성 분석: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관련 뉴스 분석을 통해

        이종혁,길우영 한국방송학회 2019 한국방송학보 Vol.33 No.1

        본 연구는 대통령 신년 기자회견 관련 기사를 토픽모델링 방법으로 분석해 의제 다양성과 미디어 다양성을 관찰했다. 이를 위해 네이버뉴스에서 275개 미디어가 보도한 기사 2901건을 수집 분석 했다. 방법론으로 데이터 크롤링, 전처리, 토픽모델링, 군집분석 등이 실시됐다. 분석 결과, 기자회 견 관련 8개의 의제가 추출됐다. 북한관계, 노동문제, 국민 체감, 개헌 투표, 지지율, 회견 비판, 정 치권력, 위안부 등이었다. 의제 보도에 따른 미디어 군집분석에서도 여러 보도 유형이 나타났다. 중립속보추구형, 진보개혁추구형, 갈등집중형, 여론민감형, 소수의제집중형, 의제종합보도형 등 6개 유형이었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미디어 다양성, 매체 간 의제 설정, 뉴스 가치 판단, 취재보 도 관행 등 다양한 관점에서 논의했다. 미디어별 의제 보도 차이에는 미디어 규모와 영향력, 기술 적 특성, 정치 성향, 미디어 지향성, 출입처 의존 관행 등이 원인으로 제시됐다

      • KCI등재

        보도 프레임 메타분석(meta-analysis)을 통한보수-진보 매체의 공정성 모형 검증: 정파성(partisanship), 양가성(ambivalence), 이중성(biconceptualism)을 중심으로

        이종혁,길우영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1

        This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news frames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over 20 years through meta analyses of previous research. Theoretically, five models of fairness in the usage of news frames were proposed: indifference, partisanship, moderateness, ambivalence, and biconceptualis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various previous frame analysis results on 43 issues from 26 studies and measured their effect siz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servative media used conservative frames and the progressive media used progressive frames more frequently. Specifically, the percentage of conservative articles over the total articles in the conservative media was 3.5 times as many as that in the progressive media. The progressive media reported progressive framed articles 2.5 times as many as the conservative media did. This ideological biases of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also appeared in four types of issues: political relations, economy–commerce, social values, and culture–life issues. However, the ratio of progressive articles in culture-life issues showed a slight difference, which was 0.66 to 1 (or 1.51 to 1) between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media. This suggests that our media’s unfairness should be explained from the viewpoint of partisanship rather than ambivalence or biconceptualism. 본 연구는 언론 보도 프레임에 대한 선행연구를 메타분석해 지난 20여년간의 보수매체와 진보매체 간의 차이를 규명했다. 이론적으로는 언론 보도의 공정성/불공정성 모형으로 무관심(indifference), 정파성(partisanship), 중도(moderateness), 양가성(兩價性, ambivalence), 이중성(二重性, biconceptualism, 이중개념주의)의 5가지를 제시하고, 우리 언론 매체의 보도 태도를 논의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6개 연구로부터 43개 이슈에 대한 프레임 분석 결과를 수집해 효과의 크기를 측정했다. 연구결과, 보수매체는 보수 프레임을, 진보매체는 진보 프레임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했다. 구체적으로, 보수매체가 진보매체에 비해 사용한 전체 기사 대비 보수 프레임 기사 비율이 3.5배에 달했다. 진보매체도 보수매체에 비해 진보 프레임 기사 보도 비율에서 2.5배나 많게 나타났다. 이어서 보수매체와 진보매체의 이념적 편향성은 정치- 정권관계, 경제-통상, 사회적 가치, 문화-생활 차원의 4가지 유형의 이슈에 대해서도일관되게 나타났다. 다만, 문화-생활 이슈에서 진보 프레임 기사의 비율은 보수매체와 진보매체에서 0.66대1(또는 1.51대1)의 근소한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이는 우리언론의 불공정 보도는 양가성이나 이중성이 아니라 정파성의 모습을 보이고 있음을시사한다.

      • 경기도 전략산업 육성방안

        윤한술,길우영,박준형,김신애,김정훈 경기연구원 2015 정책연구 Vol.- No.-

        With the trend of economic growth without employment, a lot of studies about decent-job creation have been conducted and various policies have been suggested in both Korea and Gyeonggi-do for several years. However, employment indices show that the employment elasticity has been continuously weakened in Gyeonggi-do as well as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trategic industries with a high employment capacity and to suggest policies to develop those industries in Gyeonggi-do. To do this, we first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and the industrial strategies in Gyeonggi-do, and then we measure the attractiveness of industries on the basis of their employment capacity and potentiality of job creation. The attractiveness of each industry is calculated by the average of four indicators; the capacity of job creation, the growth rate of employment, the capacity of full-time job creation, and the growth rate of full-time job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analysis, the most attractive industry in the aspect of decent-job creation is ’Manufacture of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 Radio, Televis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and Apparatuses’. Also, we have showed that five out of 18 future strategic industries in Gyeonggi-do, which are senior-friendly industry, medical services, semiconductor industry, Robot industry and image/video/information technology industry, are more attractiveness in decent-job creation than the others. The second best industries with high employment attractiveness are Nano-technology industry, new & renewable energy industry, display industry, next generation automotive industry, and harbour & distribution industry. We suggest that the Gyeonggi-do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policies supporting those strategic industries with employment attractiveness, which would contribute to creating more decent jobs, while developing future growth engines in Gyeonggi-do.

      • 영상에 나타난 보도 공정성 연구

        이종혁,김윤환,길우영 한국방송학회 2017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11

        이 연구는 대선 관련 뉴스 리포트를 영상 프레임 단위로 분석해 후보별 영상의 사용에 불균형이 있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한 키프레임 추출, 수작업에 의한 키프레임 영상 코딩, Microsoft Cognitive Service를 이용한 얼굴 탐색과 감정 분석을 실시했다. 모두 14,427개의 후보 등장 키프레임에 대한 분석 결과, 후보에 따른 영상 구성, 촬영 방식, 감정 출현 등에서 불균형이 관찰됐다. 키프레임의 수, 영상 구성 요소의 비율, 샷 크기, 카메라 앵글, 촬영 각도, 인물 움직임, 군중 규모, 군중 반응 등에서 후보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이다. 또 후보 영상으로부터 추출된 감정 비율에서도 후보별 차이는 나타났다. 방송 보도는 선거 운동 기간에 후보별 리포트의 수에서 기계적 균형을 맞추는 노력을 보인다. 하지만 영상을 프레임 단위로 분해하고 감정을 추출하는 등 컴퓨터 활용 분석을 하면 보이지 않는 불공정성을 파악할 수 있다. 키프레임 분석이 더 많은 영상에 대한 연구에 활용되어야 하겠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미디어 정서의 의제설정과 점화 효과 연구

        김윤환(Yunhwan Kim),길우영(Woo Young Gil),이종혁(Jong Hyuk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34 No.4

        본 연구는 미디어에 나타난 선거 후보자의 정서가 공중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특정 미디어 이용의 조절효과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정서가 인지평가에 미치는 영향과 정서의 의제설정 및 점화 효과에 대한 이론적 논의가 제공됐다. 방법론 상으로 TV 뉴스 영상으로부터의 키프레임 추출과 인물표정으로부터의 정서 도출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실시됐다. 분석에서는 개인내 수준과 개인간 수준의 검증이 동시에 가능한 혼합모형 분석이 이용됐다. 분석 결과, 긍정적 정서는 후보 평가에 긍정적으로, 부정적 정서는 후보평가에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중립(자제된 정서)은 예상대로 후보 평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한편, 특정 미디어 이용의 조절효과는 영상, 인쇄, 소셜미디어별로 차이나는 연구결과를 보였다. 영상 미디어는 대부분 정서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며, 슬픔과 두려움에서는 오히려 영상미디어 이용이 미디어 정서의 후보 평가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쇄미디어는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모두에서 미디어 정서의 후보 평가에 대한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소셜미디어 이용은 이와 반대로 정서의 효과를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lectoral candidates’s emotions provided by TV news on the public’ s evalua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pecific media use. For these purposes,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cognitive evaluation, emotional agenda setting, and priming effect were discussed. Methodologically, visual key-frames were extracted from the TV news and eight different emotions were calculated from face expressions on the news through computer programs. Additionally, this study employed a mixed model analysis, which includes both intrapersonal and interpersonal level analysis. As results, a positive emotion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candidate evaluation whereas negative emotions showed negative effects on the evaluation. An interesting discovery was made in the moderating effects of media use. In general, visual media did not show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in most emotions. Only in the case of sadness and fear, the use of visual media weakened the influence of media emotion on candidate evaluation. Print media has been shown to weaken the influence of media emotion on candidate evaluation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However, the use of social media turned out to enhance the effect of emotions.

      • 차량 연비 향상을 위한 전자식 냉각계 제어 시스템 개발

        정일(Jung, Il),김건태(Kim, Gun Tae),정용진(Jeong, Yong Jin),길우영(Kil, Woo Yo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3 No.11

        A new optimization method in cooling system control is proposed by this research, mainly based on combined development process of engine test and vehicle cooling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combined development process and DOE optimization method, a new map controlled cooling system, showing good performance of fuel economy, is developed, which is optimized by atmospheric temperature and engine load cond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