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음식관광객 특성, 음식관광활동에 따른 음식문화속성 중요도, 만족도 차이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길가영(Kil, Gayou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본 연구는 광주를 방문한 음식관광객의 특성과 음식관광활동에 따른 음식문화속성요인 간 중요도와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여 광주지역 음식관광정책에 실무적인 기초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식관광객 특성에서는 대학원이상 고학력에 500만원이상 고소득 관광객들은 전통체험성(중요도), 지역정체성(중요도), 지역특수성(중요도)에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특히 지역특수성에서는 40~50세, 60세 이상이 높은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음식관광활동에서는 맛집탐방보다 타 지역의 음식문화를 경험하는 관광활동(농장/텃밭체험, 음식축제관람, 지역요리배우기, 재래시장방문, 음식박물관/음식전시관방문)을 고르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문적인 광주음식문화 해설자양성, 지역민 주도형 음식문화체험 프로그램 운영, 광주음식문화콘텐츠 AR(증강현실), VR(가상현실) 기술 활용에 대한 실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resents a practical basic plan for food tourism policy in Gwangju by clarifying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etween food culture attribute facto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od tourists visiting Gwangju and food tourism activities.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in the characteristics of food tourists, tourists with a high degree of education above graduate school and high income of 5 million won or more have a high significance in traditional experience(importance), regional identity(importance), and regional specificity(importance). In particular, the regional specificity confirmed that 40-50 years old and over 60 years old have high significance. In terms of food tourism activities, it is shown that tourism activities from food culture experiences of other regions(farm/garden experience, food festival, learn local cuisine, visit traditional markets, food museum/food exhibition hall) are preferred over food tourism.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plans for cultivating professional Gwangju food culture commentators, operating a food culture experience program led by local residents, and utilizing Gwangju food culture contents AR(augmented reality) and VR(virtual reality) technologies.

      • KCI등재

        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음식문화속성 요구분석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길가영(Kil, Gayoung),최영민(Choi, Young-Min)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3

        국내외적으로 관광객들의 음식관광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특정지역의 음식문화에 대한 요소들은 충분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광주를 여행하는 관광객들을 대상으로 관광자원으로서 음식문화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간 차이규명과 가설검증, 최우선순위를 도출하기 위해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광주지역 음식관광 활성화를 위한 기초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음식문화속성의 전통체험성, 지역정체성, 지역특수성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연구가설 모두 채택되었다. 음식문화속성 각 세부항목에 대한 최우선순위결과, 지역특수성의 최우선순위는 “지역만의 특유한 음식 맛 경험” 으로 도출되었다. 지역정체성에서는 “지역을 대표하는 음식브랜드 보유”로 나타났다. 전통체험성은 “계절성을 반영한 음식문화 체험프로그램운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으로서 음식문화속성의 최우선순위에 해당되는 항목들을 중심으로 광주음식과 관광을 연계한 쿠킹투어(Cooking tour) 관광상품, 지역의 음식문화 이미지화, 브랜드화 작업,‘남도집밥체험’의 음식관광 상품화를 제안하였다. While the interest in food tourism among tourists has increased, elements of food culture in specific regions are not fully established. Based on these issue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basic plan for revitalizing Gwangju food tourism by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food culture attributes as a tourism resource for tourists traveling to Gwangju, conduct hypothesis test, and demand analysis to derive the highest prior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conducting a t-test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cessary level (importance) and the current level (satisfaction level) for the detailed items of food culture attributes perceived by touris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ll of the hypotheses were adopted si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ditional experience of food culture attributes, regional identity, and regional specificity. The local unique food experiences, representative food brands, and food culture experience programs that reflect seasonality were the priorities in each category.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focused on elements that are the top priority of food culture attributes and proposed the following: 1) Cooking tour tourism products linking Gwangju food and tourism, 2) Local food Cultural image and branding work, and 3) Commercialization of Namdo house rice experience .

      • KCI등재

        고령자의 식생활 관리 콘텐츠 제공형 U-Healthcare 서비스 요구 특성

        길가영(Gayoung Kil),김춘순(Cunsun Kim),정현정(HyunJung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0

        건강에 대한 사회적인 욕구와 관심에 따라 만성질환 예방 및 식생활관리 서비스의 새로운 모델로 U-Healthcare 서비스가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는 50세 이상의 남녀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U-Healthcare 서비스 관련 요구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의 U-Healthcare 서비스에 기대하는 부분으로 개인 맞춤형 진료 및 관리 부분(37.7%), 개인의 건강상태의 체계적인 파악(21.4%)이 높게 나타났다. 건강관리 이용 분야에서는 식이요법 관리(43.9%)가 가장 높게 나타나 U-Healthcare 서비스에서 개인 맞춤형 식이요법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였다. 건강 정보 검색 관심분야는 질병관리(35.6%), 식재료(28.6%), 건강음식 조리법(22.7%) 순으로 나타나 조사대상의 50% 이상이 식품에 관심이 있었다. 식단 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은 영양성분, 건강상태별(질환별) 맞춤형 식단 등을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이 3.9 이상의 필요성이 있다고 답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현재의 중장년층은 U-Healthcare 서비스를 통해 질병관리와 더불어 식생활 관리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남녀 중장년층 집단의 요구 특성을 반영하여 원격 진료를 통해 매일매일 개인의 건강상태 및 질환의 진행 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라 필요한 식재료, 식단, 조리법에 대한 처방을 U-Healthcare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식생활 관리 콘텐츠의 활용도를 높이고 미래의 고령자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long with the social interests and needs for health, the U-Healthcare Service as a new model to control individual dietary life and to prevent chronic diseases is now drawing the public atten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quirement of U-Healthcare Service were investigated from subjects aged over 50 years old. As parts of the expectation to the U-Healthcare service, the customized clinical care & control (37.7%) and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individual health state (21.4%) appeared significantly. And for the application of the U-Healthcare Service to the field of healthcare, the control of dietotherapy (43.9%) appeared higher than anything else and thus the customized service for individual dietotherapy seemed to be needed. Regarding the field of searching for health information, the disease control (35.6%), food materials (28.6%), and recipe for health foods (22.7%) appeared in sequence and revealed that the majority over 50% of subjects were interested in foods. The requirements for the information of dietary formula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5 points scaled questionnaires on respective topics of nutritive components, menus customized for corresponding health states (diseases), and the results obtained from surveys on respective topics all showed the needs for all information by representing each point value exceeded 3.9. Through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provision of customized information enabling the nutritional control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states of health or disease was estimated to be needed for the popularization of U-Healthcare Service providing contents for dietary life of clients especially those of aged over 50 years.

      • KCI등재

        음식관광동기 방한 중국관광객의 목적지 이미지, 만족도, 충성도

        길가영(Kil, Ga-Young),장서희(Chang, Seo-Hee) 한양대학교 관광연구소 2017 觀光硏究論叢 Vol.29 No.3

        음식/미식탐방을 하고 싶은 중국인들의 동기가 높은데 반해서, 다른 주요동기그룹과 비교하여 음식/미식탐방동기그룹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초점을 맞춰 연구하였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외래관광객 실태조사 간접자료를 활용하여, 총 12,900명 대상으로 2015년 1월-12월까지 1년 동안 진행된 결과 중, 6,092명 방한 중국관광객만을 추출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기술통계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음식/미식탐방그룹과 다른 주요 동기 그룹들 간 이미지, 만족도, 충성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특히, 대중교통, 음식, 숙박, 치안 항목에서 음식/미식탐방그룹이 다른 그룹들보다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음식/미식탐방그룹이 다른 그룹들보다 체류기간과 재방문의사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식음료부분에서는 음식/미식탐방그룹이 월등히 높은 지출을 보였다. 관련하여 음식/미식탐방 니치마켓의 잠재성을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본문에 자세히 제시되어져있다.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many Chinese travelers are interested in food tourism in Korea, but little research has conducted about Chinese food tourism pursuers. Therefore, this study is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Chinese food tourism pursuers in comparison to other main tourism pursuers. Using the secondary raw data regarding inbound traveler patterns that are annually collected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this study focuses on 6,092 Chinese travellers out of 12,900 international travelers who visited between January and December in 2015. The data is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d Robust ANOVA Welch. The results shows that food tourism pursuers are more satisfied with public transportation, food & beverage, accommodations and safety/security while traveling than other groups. In addition, those are more likely to spend on food and beverage, stay longer, and return to Korea. More details are discussed to attract food tourism pursuers as a niche market.

      • KCI등재

        웰빙식생활 추구 정도에 따른 조미료(MSG)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길가영,진소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levels related to MSG (monosodium glutamate)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as well as to improve opportunities to meet value conscious consumption of well-being-oriented customers.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respondents were divided to three clusters, indifference type, well-being-oriented type, and active health action type.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on soybean paste soup (Doenjang-guk) and seasoned spinach with different levels of MSG. In the results, 74.4% of all respondents preferred Doenjang soup with 2% MSG, 65.4%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the same ratio of MSG, and 35.9%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0.5% MSG. Regarding the acceptance level of MSG, addition of MSG to improve taste was acceptable to the indifference type (cluster 1). On the contrary, active health action type did not prefer MSG, wanted natural seasonings despite high prices, and preferred to dine at restaurants that serve MSG-free foods. Based on this study, restaurant companies should segment their customers on the basis of MSG usage and establish their positio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concepts.

      • KCI등재

        연구논문 : 웰빙식생활 추구 정도에 따른 조미료(MSG)에 대한 인식과 기호도 조사

        길가영 ( Ga Young Kil ),진소연 ( So Yeon Jin )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15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Vol.30 No.5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levels related to MSG (monosodium glutamate)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as well as to improve opportunities to meet value conscious consumption of well-being-oriented customers. According to well-being dietary life pursuit attitude factors, respondents were divided to three clusters, indifference type, well-being-oriented type, and active health action type. Sensory evaluations were carried out on soybean paste soup (Doenjang-guk) and seasoned spinach with different levels of MSG. In the results, 74.4% of all respondents preferred Doenjang soup with 2% MSG, 65.4%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the same ratio of MSG, and 35.9% preferred seasoned spinach with 0.5% MSG. Regarding the acceptance level of MSG, addition of MSG to improve taste was acceptable to the indifference type (cluster 1). On the contrary, active health action type did not prefer MSG, wanted natural seasonings despite high prices, and preferred to dine at restaurants that serve MSG-free foods. Based on this study, restaurant companies should segment their customers on the basis of MSG usage and establish their positioning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concepts.

      • KCI등재

        음식축제 방문동기가 관광지 선택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최영민(Choi, Young-min),길가영(Kil, Ga-yo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17 문화산업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음식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동기가 음식축제 장소인 관광지 선택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제공되는 무분별한 음식축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식관광 활성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축제 방문동기와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가설검증 결과 방문동기 요인에서 일상탈출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체험성과 관광지선택 속성에서는 음식체험성은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체험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문화체험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화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에서는 가족친화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편의성과 지역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매력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검증에서 축제매력성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축제 매력성은 편의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에서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들은 지역정체성이 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otivation of tourists visiting local food festivals affects the choice and satisfaction of tourist sites,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food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nd to present practical guideline for activation of the culinary touris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 between food festival visiting motivation and sightseeing selection attributes, daily escape influences attractiveness and service among tourist attractions; food experience has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service in food experience and tourist attractions; culture experience has an effect on attractiveness, service, and local identity. Family affinity affects the convenience and local identity of tourist attractions, and attractiveness and service are influenced by sociability and tourist attractions. Festive attra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all areas of tourist attractions, such as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The festival attractiveness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ce. Second,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which are all area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local identity has the mos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음식축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동기가 음식축제 장소인 관광지 선택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제공되는 무분별한 음식축제에 대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음식관광 활성화에 대한 실무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축제 방문동기와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가설검증 결과 방문동기 요인에서 일상탈출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식체험성과 관광지선택 속성에서는 음식체험성은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체험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문화체험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매력성, 서비스,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친화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에서는 가족친화성은 관광지 선택속성 중 편의성과 지역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교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에서는 매력성과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축제매력성과 관광지 선택 속성간의 관계검증에서 축제매력성은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들의 축제 매력성은 편의성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도에서 관광지 선택속성의 모든 영역인 편의성, 매력성, 지역정체성, 서비스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조사대상자들은 지역정체성이 만족도에 가장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motivation of tourists visiting local food festivals affects the choice and satisfaction of tourist sites, and to improve the problems of food festival experience programs and to present practical guideline for activation of the culinary tourism.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 between food festival visiting motivation and sightseeing selection attributes, daily escape influences attractiveness and service among tourist attractions; food experience has an influence on attractiveness and service in food experience and tourist attractions; culture experience has an effect on attractiveness, service, and local identity. Family affinity affects the convenience and local identity of tourist attractions, and attractiveness and service are influenced by sociability and tourist attractions. Festive attractiveness was found to affect all areas of tourist attractions, such as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The festival attractiveness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e most positive influence on convenience. Second, convenience, attractiveness, local identity, and service, which are all areas of tourist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ve an effect on satisfaction, and local identity has the most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