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권혁환 公州敎育大學 敎育硏究所 2011 公州敎大論叢 Vol.48 No.1

        우리나라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원천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피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교육목표, 지도 내용 영역, 주요 지도 요소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 후,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도덕과 교육목표는 개조식에서 서술식으로 총괄목표에서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도덕과 지도 내용 영역은 생활영역 확대법에 의해, 개인 생활, 가정․이웃 생활, 사회 생활, 국가․민족 생활이라는 4개 영역을 제7차 교육과정기에 이르기까지 고수해 왔으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러 가치관계 확대법에 근거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나라 ․ 민족 ․ 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등 4개 영역을 새롭게 설정했다. 주요 지도 요소는 대체로 그 수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지도 요소의 내용은 시기별로 변화를 겪어 오고 있다. 분석 결과를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로 통합적 접근을 유지하되 도덕과 교육의 목표가 보다 통합적으로 서술되어야 한다. 둘째로 통합적 인격의 요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로 주요 지도 요소의 수가 학년별로 한 개 정도만 제시될 정도로 대폭 감소되어야 한다. 넷째로 가치관계 확대법에 의한 지도영역의 설정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and first source on which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s based. First we survey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from 1st curriculum period to 2007 year revised curriculum period. And then, we analyse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moral education goal, teaching contents category, main teaching virtues and values. The moral education goals was written in general at first, later it was changed to general and subordinate. And it is desirable to analyse the character that was aimed at mor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도 teaching contents categor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life range enlargement, but at 2007 year it was classified according to value relation. We suggest later method of classification of teaching contents category to be continued.

      • KCI등재
      • KCI등재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Pseudolysimachion pusanensis (Y. N. Lee) Y. N. Lee to NaCl Treatment

        권혁환,오혜진,권영현,양승혁,김상용 인간식물환경학회 2022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5 No.2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NaCl on the growth, antioxidants (superoxidedismutase, proline), maximum quantum yield, and chlorophyll contents of Pseudolysimachion pusanensis. Methods: Five levels of NaCl concentrations (0, 50, 100, 200, 400 mM) were used for treatment. Results: The growth according to NaCl concentrations was highest at 50 and 100 mM, but root growth declined before thetop from 200 mM or higher. The increase in NaCl concentrations also led to the increase in SOD and proline contentcompared to the control plot, whereas it decreased chlorophyll cont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aximum quantumyield at 0, 50, 100, and 200 mM, but it decreased at 400 mM. Conclusion: The results proved that P. pusanensis showed an increase in SOD and proline content at 50 and 100 mM ofNaCl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plot, indicating that it receives salt stress, but the growth was excellent at 50 and100 mM.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op growth up to 200 mM compared to the control plot, and there was no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ximum quantum yield, which proved that P. pusanensis has strong tolerance to salt stress.

      •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육에서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평가의 개략적 개념과 한창 화두로 떠올랐던 수행평가에 관해 살피고, 이러한 평가가 초등 도덕과에서는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어서 오늘날 학교 현장의 초등 도덕과 평가의 실태가 어떠한지를 고찰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초등 도덕과 평가의 바람직한 방향, 평가 준거 등을 차례로 탐색하였다. 초등 도덕과 교육목표의 본질 실현을 위한 도덕과 평가 방 안은 도덕과 공식 목표와 실제 목표가 일치되도록, 환원주의 평가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객관주의의 오류를 극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Seedling Growth of Pseudolysimachion nakaianum (Ohwi) T. Yamaz. Seeds According to Light Quality Type

        권혁환,오혜진,조원우 인간식물환경학회 2023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26 No.5

        Background and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different quality of light-emitting diodes(LED)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nd growth of Pseudolysimachion nakaianum. Methods: The LED light irradiation was divided into white, red, blue, and red:blue (1:1). To investigate the germinationcharacteristics, 30 seeds were placed in a Petri dish in three replicates for 8 days. Average germination rate, germinationspeed, germination uniformity, and average germination time were measured.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seedlings, plantheight, plant width, leaf length, leaf width, leaf number, fresh weight, dry weight and T/R ratio were examined 6 weeksafter sowing,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maximum quantum yield, electron transport rate) was measured. Results: The final germination rate and germination speed were highest at red:blue (1:1) LED irradiation. Regarding growthand chlorophyll fluorescence measurements, red:blue LED showed the best growth result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in Fv/Fm between different types of light quality, and the electron transport rate was the highest under red:blue LEDirradiation. Also, total fresh/dry weight and T/R ratio were highest for red:blue LED, it is presumed to promote the biomassof entire plant. Conclusion: The results proved that Pseudolysimachion nakaianum showed red LED conditions promoted germination, butcultivation under red:blue LED conditions is judged to be suitable for seedling growth and photosynthesis.

      •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권혁환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1 敎育論叢 Vol.48 No.1

        우리나라의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은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원천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 로부터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는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피고, 이에 근거하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을 교육 목표, 지도 내용 영역, 주요 지도 요소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분석한 후,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 시하고자 했다. 도덕과 교육목표는 개조식에서 서술식으로 총괄목표에서 총괄목표와 하위목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변화하였다. 도덕과 지 도 내용 영역은 생활영역 확대법에 의해, 개인 생활, 가정?이웃 생활, 사회 생활, 국가?민족 생활이라는 4개 영역을 제7차 교육 과정기에 이르기까지 고수해 왔으나 2007년 개정 교육과정기에 이르러 가치관계 확대법에 근거하여 도덕적 주체로서의 나, 나 라 ? 민족 ? 지구공동체와의 관계, 자연 ?초월적 존재와의 관계 등 4개 영역을 새롭게 설정했다. 주요 지도 요소는 대체로 그 수 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지도 요소의 내용은 시기별로 변화를 겪어 오고 있다. 분석 결과를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로 통합적 접근을 유지하되 도덕과 교육의 목표가 보다 통합적으로 서술되어야 한 다. 둘째로 통합적 인격의 요소에 대해 보다 명료한 제시가 필요하다. 셋째로 주요 지도 요소의 수가 학년별로 한 개 정도만 제시될 정도로 대폭 감소되어야 한다. 넷째로 가치관계 확대법에 의한 지도영역의 설정을 당분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