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마스터즈 사이클 투어 S리그 참가 동호회의 하위문화적 특성
권진욱,김종호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23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7 No.3
This study conducted a cultural descriptive analysis focusing on the unique subculture within MCT S League clubs to gain insight into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club activities. A total of seven club memb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internal phenomenon of the club was investigated through interviews, observations, and supplementary materials. The study found that some of the clubs’ decision-making such as recruiting, and member selection, were conducted behind closed doors. Additionally, male dominating environment resulted in a strict training culture that emphasized speedy and safe practices. Within the club, expansion, and conflict of social relationships were observed, and members demonstrated leadership that prioritized team victory. The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ub provided opportunities for self-actualization as in Maslow's hierarchy of needs theory, promoting individual growth and the pursuit of fair competition.
권진욱,이규승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7 No.2
To investigate effects of A. gmelini on the 14-day CCI₄ induced hepatotoxicity, extracts were prepared in 3ml saline at the dose of 5,000 mg/kg b.w. to administer orally once daily. Each concentration (5:5, 2.5:7.5, 1:9, CCI₄:olive oil v/v) of CCI₄ was orally administered with 2.5 ml/kg b.w., During the experiment, halves of the rats were sacrificed every 7 day and hemanalysis was done. On the 7th day, hemanalysis showed following recovery values; AST 52.6~61.4%, ALT 55.9~86.1%, ALP 46.0~70.9%, BUN 75.7~100.0<%, TBIL 55.2~96.1%, TCHO 38,0~63.7%, and TG 55.2~96.1%. On the 14th day, recovery values of each treatment were GOT 37.7~-43.1%, GPT 19.8~45.9%, ALP 58.1~95.9%, BUN 57.6-100.0<%, TBIL 78.6~100.0<%, TCHO 56.9~ 100.0<%, and TG 10.0~51.2%. B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hydropic degeneration, fatty change, lipid accumulation and necrosis were also recovered by administration of A. gmelini extract.
권진욱,이규승,박승희,Kweon, Jin-Wook,Lee, Kyu-Seung,Park, Seung-Heui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95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Vol.22 No.2
새로운 퇴비화 방법과 메탄 발효잔사에 대한 처리를 모색하기 위해 메탄 발효잔사, 제지슬러지, CMC 슬러지를 $50^{\circ}C$ 고온과 air pump로 공기를 주입하여 고온 호기적 조건하에 퇴비화하였고, 제조된 퇴비로 열무를 대상으로 NPK 시용구, 발효 잔사 퇴비+ NPK(AWC+NPK), 제지 생슬러지 퇴비 + NPK(RSC+NPK), CMC 슬러지 퇴비 + NPK(CSC+NPK)로 처리구를 나누고 비효를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50^{\circ}C$ 고온 및 공기 주입을 통한 고온 호기 발효는 AWC와 CSC는 3일, RSC는 6일에 속성 퇴비화하여 양질의 퇴비를 생산할 수 있었다. 2) 열무의 생육을 통한 비효 평가는 슬러지 퇴비의 시용이 무처리구와 비교해서 열무의 고른 생육을 유도하여 생체중은 3배 이상, 건물중은 5배 이상의 증가를 보였다. 3) 슬러지 시용에 따른 열무의 시기별 3요소 흡수율은 질소와 칼리는 AWC+NPK가 가장 좋았고, 인산은 CSC+NPK가 초기에, RSC+NPK가 후기 흡수율이 가장 높았다. 4) 3요소 흡수 증가폭이 큰 4주차에 질소는 대조구에 비해, 각 시용구 모두 2~2.7배 인산은 1.8~3배 수준이었다. 5) 최종 수확기까지의 3요소 흡수율은 대조구에 비해 슬러지 퇴비 시용구가 질소은 6.7~9.3배였고, 인산은 17~21배였으며, NPK 시용구는 대조구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칼리는 2~3배 수준으로 높았다. 6) 열무 수확 후 토양은 슬러지 퇴비 시용구의 유기물 함량이 1.5~2.3배 증가되었으며, CEC는 4.5~5.3배의 증가를 보였다. 7) 위의 결과로 고온 호기퇴비화는 높은 함수율의 유기물을 단기간내에 퇴비화할 수 있었고, 이들의 시용은 작물의 수량 증대 및 토양의 물리화학성을 개선시켰으며, 화학비료 과다시용에 따른 영양염류 유출을 방지하여 수질오염을 막고, 장기적으로 화학비료의 시용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분석표준화와 검량선 작성의 국제적 동향 : Theory and Practice
권진욱,이규승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4
국가간 혹은 기관간의 통합되고, 상호 인정할 수 있는 분석법의 기본 지침이 확립되면, 서로 다른 실험여건이라 할 지라도 공통된 실험 지침에 따라 수행된 연구 및 조사 결과를 생산할 수 있고, 결과를 비교 분석 할 때 오류를 줄임으로써 국가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이고 정확한 자료제공을 할 수 Dt다. 현재, 우리나라는 분석과 관련한 통합된 우수실험실규범(Good Laboratory Practice)운용체계나, 정부기관에서 발행된 각종 공정 시험법 내 기초적인 기준(criteria)이 미흡하며, 용어나 그 용어의 정의에 대한 통일성을 찾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신뢰성있는 분석결과의 상호인정을 위해서 전문가들로 구성된 통합 지침의 확립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이유로 본 총설에서는 정량분석의 기초인 검량선 작성법에 대해 ISO, ACS, ASTM, AOAC, CODEX 및 관련 서적과 논문을 통해 지침과 실례등을 살펴보고 일상적인 분석업무 중 발생하는 오류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Various definitions and terminology applied to measurement in analytical chemistry are not always consistent. But, internationally integrated terminology and interpretation of definitions play an essential role in analytical chemistry fields. The review in this paper focused on problems associated with terminology, definitions, statistical theories,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calibration and validation.
정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서술의 표현특성 -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 작품을 대상으로 -
권진욱 한국전통조경학회 2019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7 No.3
정원박람회에서 정원을 감상한다는 것은 자연에 대한 아름다움과 함께 조형예술로서 정원의 내면에 숨겨진 작가들의 개념과 아이디어들을 감상하는 데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는 정원에 표출된 조형 매체를 통하여 작가의 의도된 표현 특성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고, 2018 태화강 정원박람회에 전시된 정원 중 총 20개 작품을 대상으로 공간에서 전개되는 시각적 서술의 조형 구조를 파악하였다. 이것은 조형 구조가 조형 매체와 조형 언어를 통하여 내용과 형식으로 전달되는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작품에 대한 분석은 정원에 표현된 서사구조로부터 조형 구조인 시각언어와 공간 언어를 통하여 매체의 표현 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텍스트성을 통한 매체 이미지는 다수의 작품이 ‘도형적 이미지(figure image)’를 통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즉 개념은 매체를 통하여 ‘실제 대상의 유사성’으로 전달되며, 이에 따른 ‘의미와 의미작용’을 기대하는 것이다. 둘째, 정원에서 상징성을 보여주기 위한 기호(sign) 특성은 ‘도상(icon)’, ‘지표(index)’, ‘상징(symbol)’으로 구분하여 추출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작품은 ‘도상’과 ‘상징’을 통하여 이미지와 의미 사이의 공통된 특성을 표현하고 있다. 셋째, 조형 원리에 따른 공간 구성요소들은 ‘주체적(dominant)'인 역할과 ‘종속적(subordinate)'인 역할의 요소들이 개념전달을 위한 주요 인자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첩에 의한 공간 구성’과 ‘투명에 의한 공간 구성’을 통하여 개념적 층위를 강화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넷째, 매체의 공간 점유 유형은 중앙홀형, 통로형, 개실형 등이 주를 이루며, 개실형의 경우 특정한 오브제가 아닌 공간 전체영역을 개념화한 특징을 가진다. 동선의 유형은 순회형, 통과형, 회귀형의 순으로 빈도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정원디자인에 나타난 시각적 서술의 표현 특성에 대한 연구는 향후 개념의 시각적 연출을 위한 공간설계 기법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Appreciating gardens in garden show has its meaning in appreciating concepts and ideas of artists, hidden inside of garden, as formative arts, as well as the beauty of the nature. This study is aimed to understand the intension of artists in visual expression through formative media in the gardens by assessing structure of visual narrative in the space with 20 artworks among the ones presented in 2018 Taehwagang Garden Show. The formative structure is delivered as contents and forms through formative media and formative language. Thus, for analysis on the artworks, the researcher assesse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through visual and space language, that forms the formative structure in the contest of narrative structure expressed in the gardens and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intertextuality obtained through media image, most of the artworks delivered message through ‘figure image.’ This means, the concept is delivered as ‘affinity of actual objects’ through the media and associated ‘meaning and meaning action’ are expected.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signs to show symbolism in the gardens were categorized into ‘icon’. ‘index’ and ‘symbol’.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artworks expressed common characteristics between image and meaning, using ‘icon’ and ’symbol’. Third, as space formation components, based on formative principles, the components of ‘dominant' and ’subordinate’ roles were defined as the key components for meaning delivery. Also, it was understood that ‘space configuration with overlapped image’ and ‘space configuration with transparency’ were adopted to strengthen conceptional layers. Forth, for space occupation types, there were mostly central hall type, corridor type and passage space type and for open space type, the entire space area was conceptualized, instead of certain object. The circulation line was defined in the frequency order of circular type, pass type and return type. The study on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visual narrative in garden design is meaningful as it could build base data for the method of spatial design for visual development of concepts in the future.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 과정 연구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을 중심으로
권진욱,송주영,이광훈,이기라,조철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6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연구소 연구보고서 Vol.2016 No.-
시민교육은 시민성을 함양과 관련한 다양한 학습활동으로, 오늘날의 민주주의 국가들은 시민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인 지원과 진흥 노력을 기울하고 있다. 본 연구는 독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영국의 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이끈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민교육의 맥락과 체계를 조사, 분석하였다. 특히 학교 밖(시민사회 중심의) 시민교육을 위주로, 각국의 시민교육의 정책 변화, 주요 단체, 거버넌스 구조를 살펴보았다. 독일의 시민교육 독일의 시민교육은 정치교육(Politische Bildung)으로 불리며, 국민교육 전통과 이후 이중의 독재(나찌 전체주의, 동독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반성을 바탕으로 주·연방 정치교육원 중심의 강력한 민주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정치교육원에 등록되어 지원받는 시민교육 주체들은 보이텔스바흐합의와 같은 기본틀을 준수하면서도 시대변화를 반영하려고 노력한다. 독일의 시민교육은 일반적인 시민단체 이외에도 정당, 교회, 노동조합 유관단체들이 중요한 주체가 되는데 정파간 차이를 인정하고 정당기제를 반영하여 논쟁과 갈등을 국가와 제도 안에서 해결해나가려는 독일 시민교육의 제도적 특징을 보여준다. 프랑스의 시민교육 프랑스의 시민교육은 프랑스 혁명의 보편평등주의와 콩도르세 등의 18세기 계몽사상이 결합하여 유럽에서 가장 앞선 시기에 시민교육(쥘 페리의 교육개혁, 1882년)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프랑스의 시민교육은 비판적이고 능동적인 공화국 시민을 길러낸다는 목표로 공교육의 교육과정 중심으로 제도화가 진행되어 아동과 청소년 기의 학교교육에 매우 체계적이고 깊이 있게 배태되어 있다. 한편, 비판적인 노선의 대중교육(education populaire) 이 시민사회 내의 자발적인 평생교육의 흐름으로서 면면이 존재하지만 학교 시민교육에 비하면 가시적 거버넌스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는 이르지 않은 상태이다. 스웨덴의 시민교육 스웨덴에서는 시민사회의 자율성과 역량을 바탕으로 민중교육(folkbildning)이라는 시민사회에서 발원한 전통이 확장되어 학교교육, 평생교육으로 제도화되어 왔다. 스웨덴 시민교육에서 민주주의는 학습내용이기 이전에 문화로서 존재한다. 학습동아리와 고등대중학교와 같은 대표적인 개별 시민교육단체들은 자율적으로 조직, 운영되며 지역과 생활 깊숙이 자리잡고 있으며(결사체주의적 성격), 이들은 협의체를 결성하여 민주적으로 수렴된 현장교육수요를 시민교육위원회와 같은 민관협력 거버넌스에 반영하여 체계적인 지원 정책을 실시(조합주의적 성격)하고 있다. 미국의 시민교육 미국의 시민교육(civic education)은 주로 학교를 통해서 수행되지만, 체계적 지원·진흥기구의 설립이나 핵심교과과정화와 같은 국가(중앙, 지방정부) 차원의 제도화가 이뤄지지는 않은 상태이다. 미국의 시민교육은 주(state) 이하의 지역시민교육단체들에 의한 자생적·독립적 노력에 의해 발전되어 왔다. 이들은 민간 후원과 공적 조달이라는 이원적인 경로를 통해 자립운영되는 체계를 갖추고 있다. 이들은 학교 시민교육의 강화에 중점을 두어 협의체나 압력단체를 형성하여 지방정부나 지방의회와 같은 공공부문을 대상으로 때로는 학습진행, 정책반영, 예산편성, 입법활동 등에서 협력과 압력을 동시에 행사한다. 학교 시민교육에 비해, 학교 밖 시민교육은 환경, 인권, 여성과 같은 특정분야나 지역리더십, 봉사, 성인문해 등 특수목적으로 분화된 시민교육이 더욱 일반적이다. 영국의 시민교육 영국의 시민교육(citizenship education)은 민간의 자율적 실험들이 천천히 제도화되었다. 18세기의 민중 자조교육과 엘리트 교양교육에 연원하는 영국의 시민교육은 20세기 초 보편적인 의무교육 도입 이후에도 많은 노력이 있었으나 국가주도 시민교육에 대한 정서적 반감과 다양한 관점의 충돌로 인해 1990년대 후반 이후(1998년 크릭위원회의 시민교육보고서 제출, 2002년 교육과정 도입)에 들어서야 학교를 중심으로 제도화기 진행되었다. 영국에서는 아직도 공공·민간 영역 모두 시민교육 전담 또는 통할하는 독립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영국의 학교 시민교육은 통합적인 교과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선학교와 교사의 재량에 의해 자율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학교 밖 시민교육은 학교 시민교육에 프로그램, 컨텐츠, 교육방법 등을 연구하고 제공하는 보충적 기능을 한다. 또한 성인시민단체들은 평생학습과 연계되어 독립기구나 중간지원 조직을 통해 정부와 민관파트너십을 구성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권진욱,이규승 한국환경독성학회 2002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17 No.2
To investigate effects of A. gmelini on the 14-day CCI4 induced hepatotoxicity, extracts were prepared in 3ml saline at the dose of 50, 500, 5,000 mg/kg b.w. to administer orally everyday and same concentration (1:9, CCI4:olive oil v/v) of CCl4 administered intraperitoneally with 2.5ml/kg b.w. On the 7th day, hemanalysis showed following recovery values; AST 9.9~64.6%, ALT 36.9~71.9%, ALP 75.3~93.7%, BUN 53.8~59.7%, TBIL 60.4~100.0<%, TCHO 77.7~100.0<%, and TG 60.4~100.0<%. Even if, 14-day CCI4 induced hepatotoxicity recovery was found to depend on doses of extract, and recovery values of each treatment were AST 13.6~56.4%, ALT 15.7~68.0%, ALP 53.4~84.4%, BUN 76.9~100.0<%, TBIL 60.4~100.0<%, TCHO 82.6~99.3<%, and TG 56.7~99.7%. B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liver, hydropic degeneration, fatty change, lipid accumulation and necrosis were also recov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