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 고령자의 소비자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에 관한 연구 : 제1보, 소비자능력에 관한 연구 the 1st one, on the focus of Consumer Capacity

        권정원,이기춘,김정숙,장오준개 대한가정학회 2003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alyze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skill, and consciousnes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youn-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in Cheju.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data was collected 428 consumer s from May to June, 1999. The statistical methods for this study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correlation using SPSS Win program. The major finding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vel of consumer consciousness was very high, but the level of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er skill were low. 2) Drug use, Recall system, Forzen-food management, Indication for consumer knowledge; Planning, Discontent treatment for conxumer skill; Responsibility for consumer consciousness area were very low state. 3) Correlation according to Pearson's γ^2 wer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all of that consumer knowledge and consumer skill and consumer consciousness areas. 4) Sum of 3 findings were no great difference between young-elderly people and elderly people. From now on, some suggestions grom this study how to stress on the consumer knowledgy and consumer skill as well as consumer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in Cheju.

      • KCI등재

        朝鮮後期 韓國·中國間 文化交流의 一樣相 : 筆談을 중심으로 Focused on Pil Dam

        權政媛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1 No.-

        병자호란 이후의 대청 사절 파견은 굴욕적 사대관계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청의 선진 문물올 받아들이는 긍정적 역할도 담당하였다. 특히 서적과 회화의 유입은 조선후기 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것이기에 소흘히 다룰 수 없다. 청으로부터 서적이 유입되는 경로는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첫째, 중국 조정에서 직접 하사하거나 흑은 조선 조정에서 하사를 요청하는 공식적인 경우와 둘째, 연행한 사신들이 중국 현지에서 직접 구입해 오는 사적인 경우가 그것이다. 연행한 사신들에 의해 서적이 유입되는 경로는 다시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유리창 서사에서 직접 구입하는 경우이고, 둘째는 역관-서반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이고, 넷째는 청문사들과의 교류를 통해 기증 받는 경우이다. 이러한 다양한 경로를 거쳐 유입된 중국의 서적들이 조선의 문단에 큰 영향을 끼쳤을 것임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연행한 조전 문사들이 서적만큼이나 관심을 보인 것은 서화였다. 청의 문사들에게 그림을 요구하거나, 조선의 그림을 가지고 가서 품평을 요구하는 밀들은 의례 있는 일이었으며. 문사간의 교유를 통해 직접 그림을 주고받거나 선물로 기증받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청의 화풍이 조선의 화단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심지어는 서양화의 화풍이 간접적으로나마 조선에 소개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문화적 교류에 필담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 문사들과 청 문사들의 대화는 역관의 통역이나 필담으로 이루어졌는데, 역관의 통역이 간접적이며 상업적 목적을 위주로 한 반면에, 필담은 직접 대면을 통한 대화이며, 인간적 교유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역관의 통역보다 그 의미가 깊다. 또한 필담은 의사전달이 정확하기 때문에 스스럼없이 심층적인 의사 교류를 하는데 오히려 더 많은 도움이 되었다. 그러므로 은밀하고 심도있는 사사로운 대화는 대개 필담으로 이루어졌다. 더욱이 필담은 붓으로 한자를 하나하나 써야 하기 때문에 자기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고, 말이 틀리면 그 자리에서 찢어도 되고 墨으로 지울 수도 있으며, 다른 사람의 귀를 피할 수 있어서 비교적 安全性을 보장할 수 있었다. 특히 文字獄이 성행한 청나라의 현실을 고려한다면 서로의 의사 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필담보다 더 적절한 방법은 없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선후기에 중국 문화의 유입이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으며, 조선후기의 학계와 화단의 발전은 국내적 상황과 함께 청과의 긴밀한 문화적 상호관계 속에서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n envoy after Byeong Ja Ho Ran was not just humiliating diplomacy but affirmative role of introducing advanced culture of Chung. Especially, the inflow of books and paintings influenced greatly on the society of the latter Chosun. This cultural exchange was based on the cocial intercourses and the Pil Da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exchange. There are two ways the books of Chung flow in. The one is that Chung court grant or Chosun court requested an official imperial grants, the other is that envoys bought personally. There are three ways in inflow path by the envoys. First, buying in person at Yu Ri Chang book store in Chung, Second buying through Yeok Gwan-Seo ban, Third contribution of Chung literary men. The exchange path of paintings is also various. It was very frequent to ask literary men of Chung for paintings or criticism for paintings of Chosun. Also presents of donations were often. In this way, the style of Chung paintings had influenced on that of Chosun and even the style of Chung paintings had influenced on that of Chosun and even the style of West had been introduced at second hand. Pil Dam was very weighting means of culture exchange. It was very common that the conversation between Chosun and Chung literary men was done by translation of Yeok Gwan or by Pil Dam. The translation of Yeok Gwan was usually for commercial purpose but Pil dam with facing was done for social intercourse. And Pil Dam was better for deep understanding for its accuracy. So, private and important dialogue was done with Pil Dam. In addition, Using Pil Dam, idea can be expressed more logically because of writing down with a writing brush. When wrong expression, the dialogue which was written down can be cancelled or deleted. Also it can not be eavesdropped. Considering the prevalence of Mun Ja Ok in Chung, Pil Dam was the best communication method.

      • KCI등재후보

        李德懋 初期散文에서 公安派 受容의 實踐樣相-敍述技法의 特徵的 面貌를 中心으로-

        권정원 우리한문학회 2005 漢文學報 Vol.13 No.-

        This essay was studied laying stress on technique of figuration how Gong An Pa(公安派) criticism, that is accepted into Lee Deok Moo(李德懋) literature in the later Chosun Dynasty, was expressed in the work. Lee Deok Moo literature was formed under the criticism against the imitation of Jinhan-Gomoonpa(秦漢古文派), what he criticised is not only the tendency of imitation but also the denial of that only the work of the dead is valuable. Therefore, Lee Deok Moo literature is based on relativism that the present works as well as the dead's works are valuable. Relativism was continued with self-complacency and claimed that it must get out of imitation and following of former's and have theory of self-complacency, it emphasized creative and characteristic writing. Lee Deok Moo literature is same as criticism of Gong An Pa that is counteraction of before and after seven masters. This change of epistemology caused figuration how the subjects figure. That is, it was at the end of it's rope, it means the previous ways are not appropriate to express new material and content. Lee Deok Moo, therefore, tried to create expression not being basis on classics. This essay considered new techniques of figuration dividing into 1) sensible depiction 2) a figure of speech 3) application of dialogic style. These techniques make Lee Deok Moo' prose more concrete and lively and they play a important role to improve refined and rhythmical sense. 본고는 이덕무 초기 산문이 공안파 비평을 수용하여 창작실천에는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그 실천양상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대상을 어떻게 형상화 하였느냐’하는 ‘서술기법’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사유방식이 바뀌면 대상을 인식하는 체계도 달라지고, 내용이 달라지면 그것을 형상화하는 표현 기법 또한 변화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기존의 표현 방식으로는 새롭게 포착한 세계를 다 드러내 보일 수 없었고, 자신만의 개성적인 문장으로 표현하는 데는 더욱 한계를 느꼈던 것이다. 따라서 이덕무는 고전에 입각하지 않은 새로운 표현기법을 창출하고자 노력하였다.본고는 이러한 노력으로 나타난 서술기법의 특징적 면모를 ‘1)감각적 언어 2)개성적 비유 3)대화체 활용’으로 나뉘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법들은 이덕무 산문을 보다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드러내 보이는 것은 물론, 이덕무만의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글쓰기의 중요한 요소가 되기도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서술기법이 고문에는 전혀 없던 새로운 것은 아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이 유독 많이 활용되고 있다는 것은 이덕무만의 특징으로 규정지을 수 있는 요소가 되기에 충분하다. 그리고 이러한 서술기법은 공안파 문학 작품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비평이론의 유사성이 작품 실제에도 그대로 반영되고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결국 이덕무는 공안파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으나 그것을 자신에게 맞게 수용변용함으로써 독창적인 세계를 구축하고자 노력했음을 작품 실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小說에 대한 兪晩柱의 입장에 관한 一考察 : 批評家的 面貌를 中心으로

        權政媛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3 漢字 漢文敎育 Vol.10 No.-

        兪晩柱(1755∼1788)는 널리 알려진 인물이 아니다. 다만 18세기 당시 文名을 떨쳤던 著菴 兪漢雋(1732∼1811)의 아들이라는 점이 우리가 그를 기억하는 단서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欽英』이라는 일기를 남겨서, 최근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흠영』은 유만주가 21세 때부터 33세 때까지 13년 동안 기록한 日記이다. 그러나 단순한 생활일기의 차원을 넘어선 '독서일기'이다. 유만주는 우리나라 문장은 물론 중국 문인의 서적을 두루 읽은 듯한데, 특히 小說이나 雜記에 대해서는 그 읽은 양이 방대할 뿐만 아니라, 그것에 대한 기록 또한 다채롭다. 본고에서는 '유만주가 소설에 대해 어떤 입장을 가졌으며, 중국 소설은 어떻게 받아들였고, 우리의 국문소설에 대해서는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는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논문에서 제시한 견해 중 유만주의 소설에 대한 입장, 즉 흥미위주의 오락적 측면을 강조했다는 견해와 유만주의 국문소설에 대한 입장이 모순적이라는 견해에 대해 이견이 있어, 이에 대해 살피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혀 둔다. 유만주는 소설에 대해 대단히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현실반영적 성격과 소설이 현실 생활과 접촉하는 측면이 어느 장르보다 넓다는 것을 인식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재미위주의 오락성 때문이 아니라 책읽기의 법도를 만들어 보다 전문적인 책읽기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그는 단순한 소설의 독자이기보다는 그 이상의 비평적 안목으로 소설을 대하는 입장에 있었다고 하겠다. You, Man Ju is not a well-known person. The fact that he is the son of Joe-Am You, Han Jun who had literary frame in 18th century is only a clue for us to remember him. However, he had a diary called by [Hum Young] so recently he is noticeable in academic world. [Hum Young] is a diary that You, Man Ju had written from 21 age to 33 age for 13 years. However it is not just a diary but “ The Diary of Reading”. It seems that You, Man Ju had read not only Korean literary men’s books but also Chinese literary men’s books. Especially, the quantity that he read about novels and miscellanies is extensive and the records are also variable. I would have a research in this paper about ‘What kind of position You, Man Ju had, how he accept Chinese novels and what kind of point of view he had’. Especially,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about You, Man Ju’s novel, that is view that he emphasized entertaining sides and You Man Ju’s viewpoints about Korean novels are contradictory. So, I mention I have a focus on observation about this. You, Man Ju had a very positive recognition about novels. The reason is that he had recognized a novel has broadest sides that contact real lives than any other genres. However, he had tried to persue special reading by making a regulation of reading, not for entertainment just for fun. Therefore he was not just a reader of novels but he had a position that he faced novels with critical insights. I could summarize You, Man Ju’s novel criticism aspects as the following two types. First, the way to desciribe his own feelings honestly. Second, the cases that he wrote impressive parts in the same way as before. When he evaluated novels, he had a focus on especially the aspects of contents and literary styles. Namely, he attached importance to novel characteristics of reality reflections which express actual human life honestly. His writing style of novels is detailed and active. The writing style also expressed complications of life in detail. Although his said that we can accept good things from China as we acknowledge our things but we should burn all things that are not beneficial. In conclusion, the viewpoints about You, Man Ju’s novels or the inclined evaluations that his criticism about Korean novels is incompatible come from the fact that he dealt with novels in the position of a critic, not as just a reader.

      • KCI등재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과 正祖

        권정원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본고는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을 정조와의 관계를 통해 고찰하였다. 李德懋는 조선후기 새로운 문풍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 문인으로, 그의 문학은 ‘독창적인 자신만의 문학세계를 구축하여 文風을 一新시켰다’고 평가받았다. 이는 이덕무 문학이 擬古主義가 만연했던 당시 문단의 병폐를 지적하고, 자신만의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문학세계를 구축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그의 문학적 특징은 명말청초 公安派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되었고, 결국 정조의 문체반정의 대상자로 지목되어 자송문을 지어 바치라는 명을 받는 빌미가 되기로 했다. 하지만 이러한 이덕무의 문학적 특징은 20대를 전후한 초기문학을 대상으로 한 결과일 뿐이다. 30대에 접어들면서는 저술활동이 현저하게 줄어들었고, 학술적 성격을 띠는 것이 많아졌다. 특히 39세 검서관이 된 이후에는 개인적 저술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검서관으로 임금의 명에 의해 편찬 간행된 서적이 대부분이었다. 본고에서는 이덕무가 검서관이 된 39세 이후의 문학을 ‘후기문학’이라 규정하고, 이에 대해 구체적인 문학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이덕무 후기문학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변모 양상을 보인다.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 어명에 의한 저작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개인 저술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후기문학의 성과를 개괄하면 분량 면에서 결코 적지 않으나, 이덕무 개인 저술이라 할 수 있는 것은 겨우 序文 1편, 遊記 1편, 銘 1편, 題文 1편, 詩 79수, 尺牘 48편, 그리고 2권 분량의 見聞記 1종이 전부이다. 나머지는 모두가 정조의 어명에 의한 저작들이다. 둘째, 내용적인 측면에서 국가 체제 정비와 행정 절차에 필요한 서적의 간행에 참여함으로써 보수화‧체제화 되어가는 동시에, 개인 저술에서는 이전시기의 재기발랄하거나 尖新한 면모가 줄어들거나 무뎌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면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화 원인은 무엇일까? 첫째, 검서관으로서의 임무에 충실했기에 개인적인 저술활동을 위한 물리적인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검서관은 서적 편찬 간행 업무 외에 본원과 실직 근무, 기록 업무, 각종 행사의 차비관 역할을 모두 수행해야 했다. 실제 업무가 과중한 탓에 이덕무는 개인적인 저술을 할 여유가 없었던 것이다. 둘째,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들 수 있다. 검서관 본연의 업무는 서적을 간행하는 일인데, 당시 서적의 간행은 임금인 정조의 문예정책을 실현하는 것이었다. 정조의 문예정책은 한마디로 ‘보수화와 주자학 존숭’이라 하겠다. 이덕무가 간행에 참여한 서적들 역시 국가 통치를 위한 행정 문서나 정통고문을 학습하기 위한 서적들이었다. 정조의 문예 지향에 담긴 서적들을 간행하면서 이덕무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자연스럽게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 이덕무 후기문학이 이전 시기와 양상과 성격을 달리하는 것은 이덕무가 자신이 처한 삶에 충실한 결과라 하겠다. 검서관이 된 이후 검서관으로서 역할에 충실했기에 개인 저술을 위한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했고, 대부분의 시간을 보냈던 서적 간행은 모두가 어명에 의한 것으로 정조의 문예정책을 반영한 것이었다. 따라서 이덕무 후기문학의 변모 양상은 이덕무가 정조와 정조의 문예정책의 영향을 받은 결과라 하겠다. 문체반정으로 불거졌던 정조의 문예정 ... Lee Deok-mu(李德懋) pointed out the ills of literary circles and established an original world of literature. This was influenced by critical theory of Kong-An-Pa(公安派) was acculturated. For this reason, he was named the target of Jeongjo's literary criticism and he was ordered to submit a letter of apology. However, this literary feature of Lee Deok-mu is the result of early literature in his 20s or so. So, what is the literary aspect of Lee Deok-mu since he became a Keomseokwan(檢書官) at the age of 39? Lee Deok-mu's later literature has undergone a major change in two aspects. First, in terms of quantity, works by the order of the king account for most. And personal works have declined significantly. Second, in terms of content, the institutional character has been strengthened by issuing official documents necessary for national governance. And his freewheeling and freshness has diminished. What is the cause of this change in Yi Deok-mu's later literature? First, because he was faithful to his duties as a keomseokwan(檢書官), he did not have enough time for his personal writing activities. Second, the influence of King Jeongjo(正祖)'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may be included.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y can be summed up as "conservative" and "respect for Jujagology." Lee Deok-mu was naturally influenced by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regardless of his will. As a result, Lee Duk-mu's later literary transformation is an example of Lee being absolutely influenced by King Jeongjo's literary and artistic policies.

      • KCI등재
      • KCI등재

        李德懋의 公安派 批評理論의 受容樣相

        권정원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5 No.-

        Yi Deuk-Moo(李德懋) was one of the literary men who underwent various influence from Kong-An Pa(公安派) literature theory in the late Joseon. Although Kong-An Pa literature theory is much accommodated from his literature theory, "Criticism accommodating" is on the premise as its background. Trying to observe similarity and difference point between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might be the important clue of apprehending what kind of method Yi Deuk-Moo accommodate and transfigure the Kong-An Pa's literature theory and develop his own theory. Kong-An Pa and Yi Deuk-Moo's literature theory are identical from these point. Professing realness literature, Recognizing times characteristic, Emphasizing self-acquirement and creativity. But the opinion against an inner-literature and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side have a difference point. Namely, Kong-An Pa considers seriously a times characteristic above all, literature was set a high value of the day, inner-literature and Song period literature, recognizes the value. On the other hand Yi Deuk-Moo consider that realness-literature is more important than times characteristic so he evaluated negatively a novel concerning the world of false and emptiness. Also in the side of practicing literature creation Kong -An Pa only emphasized Chang-Sin theory but Yi Deuk-Moo insisted Cheon-Hu-Chil-Cha(前後七子)'s Ue-Go(擬古) and Chang-Sin's eclectic theory(創新) of Kong -An Pa. Moreover, this eclectic theory show that Yi Deuk-Moo was affected greatly by Kong-An Pa and it accommodated Kong-An Pa literature theory critically. 본고는 이덕무의 공안파 비평이론의 수용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즉 이덕무가 공안파 비평이론을 이해․수용한 점은 무엇이고, 배제․변용했던 점은 무엇인가를 검토한 것이다. 특히 결과론적으로 드러난 비평이론의 유사성을 비교하기 보다는 인식론적 측면에 초점을 맞춰 비평논리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찰하였다. 이덕무와 공안파의 비평논리는 매우 흡사하다. 공안파와 이덕무의 비평이론은 각각 전후칠자와 진한고문파의 의고에 대한 비판에서 형성되었는데, 진한고문파는 전후칠자의 수용으로 인해 성립되었기에, 양자가 추구하는 전범으로서의 대상은 동일하다고 하겠다. 그리고 공안파와 이덕무 모두가 의고파의 절대적 전범을 거부하고 상대주의적 인식론을 바탕으로 성립되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古만이 가치가 있는 것이 아니라 今 또한 가치가 있다고 주장하면서, 문학 또한 고인의 옛 글만이 아니라 당대 자신의 개성적인 글 또한 가치 있다는 문학의 시대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므로 그때 저기의 道만이 아니라 지금 여기의 眞을 중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문학으로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모방이나 답습이 아닌 자신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따라서 문학에서 自得의 논리를 중시하게 되었고, 자득에 의한 문학 창작을 통해 독창적이고 개성적인 자기만의 문장을 쓸 것을 주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비평 논리는 이덕무와 공안파 비평이론에서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평이론의 동일성은 이덕무 문학론이 공안파의 지대한 영향으로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덕무가 공안파 비평이론을 전적으로 수용한 것만은 아니었다. 이덕무는 공안파 문학이론에 대해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고, 그 중 좋은 점은 수용하고 지나친 점은 배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전범의 모방을 반대하고 새로운 자기만의 문학을 만들어야 한다는 공안파의 창신론을 수용하면서도, 창신이 지나쳐 험벽한 데로 흐르는 경향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그러므로 창신과 의고의 절충론적 입장을 견지할 것을 강조하였으며, 그의 비평 실제에서도 이러한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덕무는 공안파의 비평이론의 영향을 지대하게 받은 것은 사실이나, 그것을 일방적으로 수용한 것이 아니라 좋은 점은 수용하고 지나친 점은 배제하면서 자신만의 문학론으로 승화시켜 나갔던 것이다.

      • 정수장의 고도화 개량을 위한 정밀여과 공정의 적용

        권정원,박용민,권오성 한국막학회 2015 한국막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Vol.2015 No.05

        국내 정수장 노후화의 가속과 더불어 신규 위험물질 및 미량유해물질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정수장의 고도화를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막여과 기반의 고도정수처리 공정의 도입이 안전성 확보의 대안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원수의 특성을 고려한 막여과공정의 구성방안 및 운영방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원수내 망간의 계절적 발현 특징을 나타내는 U정수장을 대상으로 500m³/일 용량의 정밀막여과를 기반으로 한 고도정수처리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원수의 수질특성을 고려한 운영인자 확립과 더불어 처리효율을 평가하였다.

      • KCI등재

        『 조선신보』의 독자대상에 대한 고찰- 표기언어와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권정원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22 石堂論叢 Vol.- No.83

        Chosun Sinbo(朝鮮新報) was published on December 10, 1881 in Busan by the Bususan Port Chamber of Commerce, which was centered on Japanese merchants. It was founded about a year and 10 months earlier than the Hansung Sunbo(漢城旬報) , the first newspaper in Korea, so it is the first modern newspaper to be pu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Chosun Sinbo is compared to its importance, there is a regret that research in academia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Above all, it is due to the fact that the Chosun Sinbo is composed of a bilingual language of Japanese and Chinese characters. The use of dual language means that multi-layered readers were in mind, and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existing discussion was the issue of 'marked language and reader object' too. Chosun Sinbo consists of Japanese articles and the Chinese character article, except for one Korean article. In the case of Chinese characters article, it is not difficult to guess that it was targeted at the intellectual class who knew Chinese characters. In the case of Chinese characters article, it is not difficult to guess that it was targeted at the intellectual class who knew Chinese characters. In the case of Japanese articles, since various styles are mixed, it is necessary to subdivide and review the target readers according to the notation language. As a result, the main readers of the Chosun Sinbo Chinese literature article were bureaucrats and upper-level intellectuals of the Joseon government, and Japanese intellectuals were included. The readers of Japanese articles ranged from the lower to the upper classes of Japanese, it included samurai, merchants, hoodlums and even enlightened Koreans. In the end, the Chosun Sinbo changed the subject of the reader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publication and the purpose of delivering the article, and wrote the article in a notation language suitable for the subject. This is the reason why the Chosun Sinbo , the first modern newspaper published in Joseon, was written in multiple languages. <조선신보>는 1881년 12월 10일, 부산에서, 일본인 상인이 중심이 된 재부산항 상법회의소에서 간행한 신문이다.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이라 불리는 <한성순보>보다 1년 10개월 정도 먼저 창간되었으니,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 한반도에서 간행된 최초의 근대 신문이라 하겠다. <조선신보>는 그 중요성에 비해 학계에서의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무엇보다 <조선신보>가 일본어와 한문의 2중 언어로 구성되어 있다는 데 기인함이 크다. 2중 언어를 사용했다는 것은 다층적 독자를 염두에 두었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기존 논의에서도 가장 논란이 되었던 것이 ‘표기언어와 독자대상’에 관한 문제였다. 초기 연구에서는 <조선신보>를 일본인을 독자대상으로 한 신문이라 했지만, 점차 일본인뿐만 아니라 조선인까지 독자대상에 포함된다는 논의로 발전하였다. 현재는 일본어 기사의 독자대상은 일본인 상인이 위주이고, 한문 기사의 독자는 조선인 식자층이라는 견해가 보편적이다. 하지만 조선신보 는 ‘일본어 기사:한문 기사=일본인:조선인’이라는 이분법적으로 단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문 기사의 경우는 한문을 아는 식자층을 대상으로 했음을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하지만 일본어 기사의 경우는 언문일치제가 실현되기 이전의 한문체와 소로우문(候文), 변체 가나가 뒤섞인 고어체가 혼재해 있기에, 표기언어에 따라 독자대상을 세분화해서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결과적으로, <조선신보> 한문 기사의 독자대상은 조선인 식자층, 즉 정부의 관료 및 상층의 지식인이고, 일본인 지식인 또한 이에 포함되었다. 일본어 기사의 독자대상은 조선 거류 일본인이 중심인데, 이들은 무뢰배, 상인, 사무라이 등 상하층 계급이 모두 포함되었다. 또 본국의 일본인과 조선인 중 개화파 지식인까지 이에 포함되었다. 결국 <조선신보>는 간행 의도와 기사 전달의 목적에 따라 대상 독자를 달리하였고, 그에 부합하는 표기언어로 기사를 작성했다고 하겠다. 이것이 조선에서 최초로 간행된 근대 신문인 <조선신보>가 다중 언어로 표기된 이유라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