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권순희 우리말학회 2014 우리말연구 Vol.39 No.-
다중언어 사회의 국내외 한국어를 세분화하면 외국어로서의 한 국어,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방언으로서의 한국어, 계승어로서의 한국어, 모국어로서의 한국어 등이 있다. 다중언어 사회에서의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은 통일 정책, 이민 정책, 한국어 세계화 정책, 다중언어(다문화) 정책 등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위상을 논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은 언어의 다양성이라는 언어 생태계의 보존 차원에서 중요하다. 둘째, 경제 생산 능력에 영향을 끼치는 언어로서의 한국어의 위상이다. 셋째, 국가 공동체 내에서 의사소통의 효율성, 국가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해야 한다. 이상의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 첫째, 학교 교육 차원의 지원은 말할 것도 없고, 언어 공동체의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 표준 한국어에 대한 연구와 다양화된 한국어에 대한 연구 가 병행 되어야 한다. 둘째, 평생교육 차원에서 한국어 교육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북한이탈주민의 증가, 역이민의 수요자 증가 등 성인의 유입으로 보건대 평생교육 차원의 한국어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생활 한 국어뿐만 아니라 직업 한국어, 문화 한국어 등의 평생교육적 지원을 위한 교육 기관의 확보와 교사 양성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다중언어 사회의 변화와 그 역사가 축적되어 감에 따라 한국어의 다양화와 한국어의 사회 문화적 변화를 대비하는 한국어 교육의 연구와 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동안 개인의 책임 또는 언어학적 능력의 관점에서 주로 보는 인지적 접근 방식으로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성과가 축적되었다면 이를 보완 하여 사회 언어학적 관점의 한국어 및 한국어 교육의 위상을 생각하며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다.
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9 No.-
초등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언어 발달 양상을 살펴보게 되면 초등학교 논술 교육의 방향을 논의할 수 있게 된다. 초등학교 3학년과 6학년 학생들에게 동화책을 읽히고 독후감을 쓰게 한 후 이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쓰기 발달 양상을 살펴보았다. 셀만이 제시한 다섯 단계의 관점 수준을 알아보기에 적절한 분석틀로 글에 나타난 태도, 직접 화행, 높임법, 표현상의 특이 사항 등을 정하였다. 필자와 독자의 관계를 드러내는 항목을 분석하였을 때 관점 수준을 파악하기에 가장 적합하다는 판단에서이다. 3학년 학생들의 글에서는 주관적 관점 수준의 표현이 나타났으며, 6학년 학생들의 글에서는 상호적 관점 수준, 제3자 관점 수용 수준의 표현을 찾아볼 수 있었다. 초등학생의 글쓰기에 나타난 언어 발달 양상을 고려할 때 초등학생에게는 정서적 공감 차원으로 논술을 지도해야 한다. 초등학교에서는 상대적으로 논리에 대한 훈련을 하는 논술지도보다 정서적 공감 발달 차원의 훈련을 하는 논술 지도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감정을 드러내거나 절제하여 표현하는 방식의 훈련이 초등학교 시절에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중요한 발달 단계를 놓치게 된다. 대입식 논술 지도를 초등학생에게 속성으로 지도한다고 논술 지도의 길이 있는 것이 아니다. 의미 있는 학습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발달 단계를 아는 것이 필수이다. In order to suggest a direction of essay writing education,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in writ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tudied by analysing third grade and sixth grade students' impressions about a story.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impressions was analyzed based on Selman's theory of five stage awareness by studying student's impressions in the points of student's attitude, direct speech act, usage of terms of respect, and special aspect of expression. Most of the third grade students showed a level of subjective view of expression, but sixth grade students showed a level mutual view or a level of accepting others point of view. Consider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al stage of language revealed from the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writing, essay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erformed in the point of emotional empathy. For elementary students, essay writing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empathy should precede that for the development of logic. Exercise of expression or moderation of emotion is an important education strateg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evelopment. It is essential to know the developmental stage of students for providing better education to them.
창의적 표현 능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의 교수 학습 전략 방안 : 문화 텍스트적 관점에서의 번역 동화 이해와 감상 표현을 중심으로
권순희,서명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2 No.-
본 연구는 번역 동화를 문화라는 표지로 이해하고 읽어 가자는 의도에서 시도된 연구이다. 언어에는 문화가 반영되기 마련이고 텍스트에도 문화가 반영되기 때문이다. 번역 동화를 ‘문화’라는 표지(marked)로 이해하고 읽어 가자는 의도에서 문화 텍스트적 관점이라고 명명하였다. ‘문화 텍스트적 관점’으로 번역 동화에 나타난 언어 문화를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초등학생에게 교육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졌다.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해 나갈 미래의 일꾼을 위한 연구 과제로 번역 동화는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분야이다. 번역 동화를 읽으면서 한국 문화와 외국 문화 사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 요소를 탐구하는 과정은 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야기 구조, 문화 탐구를 포함한 이야기 탐구의 방법으로 번역 동화를 읽고, 독서 후 창작 활동을 학교 현장에 적용한 것이다. 국어교육 내용학 차원에서 교수 학습 모형이 창안되어야한다는 생각으로 이야기 구조 학습 모형, 이야기 탐구 학습 모형, 창의적 표현 학습 모형을 제안하였다. 세 단계의 교수 학습 모형으로 각 단계별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지를 소개하였다. 학습지는 3차시로 구성되었다. 1차시의 “이야기 속으로”와 2차시의 “먼나라 이웃나라”는 번역 동화의 이해와 감상을 위한 학습지이다. 3차시의 “생각을 담는 항아리”는 창의적 표현을 위한 학습지이다. 세 가지 학습지는 본고에서 개발한 교수 학습모형에 비추어 만들어진 것이다. 학년별로, 단원별로 구성의 차이를 둘 수 있으며, 세 가지 틀 안에서 변형 적용할 수 있다. Text as well as language reflects culture. In the point that translated children's story should be understood and read as a mark of culture, a reading education method was sugges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lture-inquiring process through reading translated children's story can enlarge original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and this kind of education can open a new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Children's hybrid thinking ability as well as logical,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linguistic culture phenomena of translated children's stor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children's story teaching methods such as story structure teaching method, story and culture inquiry teaching method, and creative expression teaching method were proposed. Three levels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ere suggested with each level teaching plan and handbook for students. The first level handbook “Into the story” and second level handbook “The remote country and neighboring country” are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ranslated story. The third level handbook “Jar incorporating one's thinking” is for creative expression. These three handbooks were made on the basis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handbook can have differences in the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grades and units and also can be modified and applied within the suggested three level frames.
내용 분석과 재구성을 통한 초등학교 국어교과서 운용 방안
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Elementary Korean textbook is a government designated textbook. Recomposition of textbook and use of the recomposed textbook is necessary, because standardized textbook can not satisfy people of every region and class, demand of society, culture, and the times, and requirement of teachers and students. Recomposition of textbook units is necessary to meet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lass differences, to have a high regard for teachers having the different educational point of view and teaching methods, and to approach individual student of different levels in school work. The criteria considered when recomposing textbook units are curriculum, learners, teaching and learning model,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ociocultural contexts. Internal standards and factors rather than external structure should be considered when recomposing textbook. In this study, conceptual study using the standard of suitability, accuracy, connection, and originality was conducted and then an operational program of Korean textbook was suggested by the analysis of examples of recomposed elementary Korean textbook.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국정교과서이다. 표준화된 교과서가 지역과 계층, 사회 문화 시대적 요구, 교사와 학생의 요구 등을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교과서를 재구성하여 운용할 필요가 있다. 지역에 따른 특성, 계층의 다양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 교육관과 교육 방식이 다른 교사의 관점을 존중하기 위해서, 학업 성취 수준이 다른 학생을 개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서 단원 재구성 작업이 필요하다. 단원 재구성시 고려해야 할 범주로 교육과정, 학습자, 교수학습 모형, 교육 환경, 사회 문화적 맥락 등을 들 수 있다. 교과서 재구성시 외형적 구성 체제보다는 내적인 기준과 요소가 논의될 필요가 있다. 적합성, 정확성, 참신성, 연계성이라는 기준으로 추상적 차원의 논의를 한 다음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구체화된 재구성 사례를 살펴보아 국어교과서 운용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 재구성 기준에 따라 적합성의 사례로는 내용 철학, 긍정적 관점과 부정적 관점을 살펴보았고, 정확성 측면에서는 예시 표현, 어휘, 삽화의 적절성을, 참신성 측면에서는 문화 교육 문제, 논리성과 상상력 그리고 창의적 사고를, 연계성 측면에서는 학습자의 흥미, 평가 기준의 세부적 제시를 검토하였다. 내용철학에서는 토의․토론 철학과 문장 부호에 대한 철학을 논의하였다. “내 생각은 이래요” 대신 “내 생각을 나누어요”라는 대단원명을 제시함으로써 토의나 토론에서 자기 주장을 잘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다른 사람의 생각과 자신의 생각을 서로 나누는 것이 중요함을 논하였다. 국어 표현을 통해 나눔의 개념을 가르칠 것을 제안하였다. 문장부호는 글 속의 비언어적, 준언어적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필자의 의도에 따라 문장 부호를 선택할 수 있지만 언중 간의 약속이기 때문에 남을 배려하여 문장부호를 선택하는 문제를 논하였다. 그 밖에도 긍정적 관점의 표현을 장려할 것을 제안하였고, 문화와 시대를 반영한 적확한 어휘의 사용을 권장하였으며, 다문화 시대를 대비한 국어 교과서에 대한 논의로 동서양 문화와 다양한 인종의 위인 소개를 제안하였다. 또한 자연의 법칙과 현실성을 반영한 상상력, 창의적 사고 교육 등을 검토하였다.
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6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1 No.-
In this study Korean grammar teaching method has been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by studying the history of Korean grammar teaching in relation with historical aspect of the development of linguistic theory. The first category is result-oriented grammar teaching method which help learners structurize grammar by emphasizing special forms and meanings. The second is process-oriented grammar teaching method which help learners master grammar by practicing language-usage skill. The third is function-oriented grammar teaching method which is a learner-centered teaching method by emphasiz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categories, Korean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suggested as presentation and exercise model, task exercise model, and interaction practice model. The presentation and exercise model is to help learners structurize grammar by teacher's presentation of correct examples of language use and learner's practice of them. Task exercise model is to help learners acquire task-solving language by presenting tasks for improving communication ability. Interaction practice model is to make learners practice grammar by training communication and evaluation through learner's interaction. Several types of grammar teaching activity according to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presented. Practice of sentence style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and exercise model, practice of task-solving language according to the task exercise model, and learner's activity for practice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practice model were introduced. Linguistic theory and language teaching theory are realized through text book and are performed through lesson. Lesson activities are varied according to teacher-variables, text book-variables, learner-variables as well as theory. Directions of Korean grammar lesson are explored through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theory and language teaching theory and education-variables. 이 논문은 문법 교육 역사를 언어학 이론의 발전 양상과 함께 살펴봄으로써 한국어 문법 교육 방법을 세 가지로 유형화하고 있다. 첫째는 특정한 형식과 의미에 초점을 둠으로써 학습자가 눈여겨 보고 문법을 구조화하도록 도움을 주는 결과 중심 문법 교육이다. 둘째는 언어 사용 기술들을 연습함으로써 학습자가 문법을 터득해 나가도록 지도하는 과정 중심 문법 교육이다. 셋째는 의사소통을 익히게 하는 데 초점을 두고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 유지하고 실행하는 학습자 중심의 문법 교육인 기능 중심의 문법 교육이다. 각 문법 교육의 유형화에 따라 문법 교수법 모형을 제시 훈련 모형, 과제 훈련 모형, 상호작용 훈련 모형으로 논의하였다. 제시 훈련 모형은 교사가 올바른 언어 사례를 제시하고 학습자가 반복 연습하여 바른 언어 자료를 자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 모형이다. 과제 훈련 모형은 과제를 제시하여 과제 해결형 언어 습득을 하도록 지도하는 모형이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훈련 모형은 학습자의 상호작용 의사소통 훈련과 평가로 문법 요소를 찾아 학습하도록 하는 모형이다. 또한 수업 모형에 따른 문법 수업 활동 유형을 소개하였다. 제시 훈련 모형에 따른 문형 연습과 과제 훈련 모형에 따른 문제 해결 유의미적 연습, 상호작용 훈련 모형에 따른 의사소통적 연습의 학습자 참여 활동으로 나누어 수업 활동 유형을 소개하였다. 언어학 이론, 언어 교육 이론은 교재를 통해 구체화되고 수업을 통해 실천된다. 이론뿐만 아니라 교사 변인과 교재 변인, 학습자 변인에 따라 수업 활동은 달라지게 마련이다. 이들과의 관계에 대한 정리를 통해, 한국어 문법 수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문학적 글쓰기를 통한 총체적 사고력 신장 방안 -국어 영재아 대상 소집단 협동 작문을 중심으로-
권순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7 No.-
현대사회에서는 개별적인 정보나 지식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정보를 처리하여 새로운 지식으로 창출해 내는 능력, 문화 콘텐츠로 구성하는 능력, 협력할 수 있는능력이 중요하게 되었다. 미래 사회를 대비한 핵심 역량을 키워주기 위한 한 방법으로 교과간, 영역간 통합으로 구안한 책 만들기를 소개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으로 역사적 사건과 관련 있는 간송 탄생 100주년이라는 신문 기사를 읽고소집단별로 학습자의 수준과 관심도에 따라 이야기를 전개하면서 글을 써서 소집단별로 책을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신문 기사를 읽고 추가 정보를 더 검색하거나 정보를 취사 선택하고, 앞 사람이 쓴 글을 읽고 글의 응집성, 통일성을 유지하면서 이어서글을 쓰는 방식이다. 등장인물이나 시대 상황, 사건 등을 고려하면서 역사적 검증,논리적인 사고, 직관적인 상상력을 조화롭게 사용하여 ‘있을 수 있는 이야기’를 만들도록 지도한다. 쓰는 과정에서 소집단별 토의가 겸하여 이루어지고 출판에 대한 사회적 파급 효과까지 생각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영역간 통합을 지향한활동이다. 또,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이야기를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역사적 인식, 문화적 인식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 활동으로 교과간 통합을 지향한 것이다. 일부 특별한 아이디어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하찮아 보이는 생각도 여러 사람의생각과 노력, 재능으로 교육공동체 안에서 의미있게 재창조될 수 있음을 깨닫게 하기위한 교육 방법이다. 궁극적으로는 총체적 사고력 신장을 목표로 하는 지도 방안을제안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