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Factors Impacting Market Occupancy of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Public Social Service Market: Focused on an Individual Level

        권순애 한국사회복지학회 2013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7 No.1

        This study aims to experientially verify which factors of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affect market sharing activities in the public social service market. Due to market-oriented governmentpolicies, 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which used to enjoy stable financialresources, are now placed in a competitive position to provide their services. It is necessary to findout which organizational factors give a competitive advantage to various service providers in competition,including profit organizations, and apply them to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onprofithuman service organizations. This is how this study started. Independent variables were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age, total budget, number of employees), externallyoriented culture (development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ralization,formalization), whil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vouchers and total profits. Datawas collected from 35 community welfare centers, rehabilitation centers, and senior centers (163respondents) in Busan, Kore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As aresult of the analysis, the number of vouchers was found to be affected by development culture (+)and formalization (), and total profit from voucher business was determined by organization age(), total budget (+), and number of employees (+).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non-profit human service organizations should have an externally oriented culture and a flexibleorganization system to hold more market share in the public social service market.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프로그램 성과측정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 연구: 근거이론적 분석

        권순애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2017 복지상담교육연구 Vol.6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social worker's experience of measuring program outcome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The data were drawn from in depth interviews with 13 social workers whose working related with program planning, managing and measuring program result. As result of the open coding, 209 concepts, 31 sub-categories, and 16 categories were emerged. ‘Social demand for programs results’ and ‘different opinions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about performance measurement’ and ‘guideline absence for performance measurement’ were grasped as causal conditions, ‘feeling responsibility as a social worker’ and ‘feeling incompetent as a social worker’ were conceived as the phenomena, ‘disagreement between the manager and the worker’ and ‘the capacity of social worker’ were as the contextual conditions, ‘organizational support’ and ‘active coping of social worker’ were as the interventional conditions, ‘attempt operationalization of measurement’ and ‘goal displacement of measurement’ were as the strategies, and ‘achieve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compromise with reality’, ‘meet social responsibility’ and ‘exclusive technology accumulation of social worker’ were known as the results. The core category was presented as ‘feeling responsibility as a social worker’.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organizational culture that supports performance measurement for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learning that can accumulate and transfer empirical knowledge related to program outcome measurement and managerial leadership that can help social workers to measure effectively on the front line. 이 연구는 프로그램 성과를 측정하는 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경험을 분석하고자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사회복지사 13명의 심층면접 자료를 분석하였다. 개방 코딩을 통해 209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축 코딩 결과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요구’, ‘성과측정에 대한 조직 내·외 이견 존재’, ‘성과측정에 대한 가이드라인 부재’가 인과적 조건으로, ‘사회복지사로서의 책무감을 느낌’, ‘사회복지사로서 무능감을 느낌’이 현상으로, ‘조직 관리자-실무자의 합의 불일치’, ‘사회복지사로서의 역량’이 맥락조건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지원’, ‘사회복지사 개인의 적극적인 대처’가 중재적 조건으로, ‘측정의 경험화를 시도함’, ‘성과측정의 목적전도가 이루어짐’이 전략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어렵지만 성과측정을 포기하지 않음’, ‘안타깝지만 현실에 타협함’, ‘사회적 책임감 부응’, ‘사회복지사만의 전문적 기술 축적’이 나타났다. 선택코딩 결과 핵심범주는 ‘사회복지사로서의 책무감을 느낌’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복지사들이 프로그램 성과를 측정할 때 직면하게 되는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조직적 차원에서 성과측정을 지원할 수 있는 조직문화, 성과측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류 및 실행의 내용들을 지식화하여 조직이 축적하고 전이할 수 있는 조직학습, 일선에서 사회복지사들이 성과측정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관리자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 KCI등재

        9학년 학생들의 유도단위에 대한 이해도 조사

        권순애,김현주 한국물리학회 2009 새물리 Vol.59 No.1

        We have investigated ninth grad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derived units of velocity, density, resistance, work, and power, which physical quantities appear in middle-school science textbooks. We have made a questionnaire aimed at surveying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ach physical quantity, reading them,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s with the other units, and applying problem solving, unit conversion, SI prefix, and recognition of derived-units. Four hundred ninety-six (496) middle school 9th grade students drew up the questionnaire.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was surveyed, and the types of correct and incorrect answers were analyzed by studying the contents of the answers.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were 71.2%, 51.4%, 40.7%, 40.6%, and 34.9% for velocity, resistance, density, work, and power,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correct answers of each question were 70.7%, 46.8%, 37.1%, and 36.9% for reading, concept understanding, problem solving, and recognition of derived unit through relationships with other units, respectively. Thus, the degree of derived-unit understanding of the 9th grade students is very low, except for velocity and reading. This shows that the middle school strudents have much difficulty with learning derived units. We have also surveyed the relations between understanding the types of derived units. 95.5% of the students who can represent the derived units by a relation to other units correctly answer the questions on the reading, concept understanding, and problem solving. This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 between uni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derived units.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학습되는 속력, 밀도, 저항, 일, 일률의 단위에 대한 9학년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개념이해, 읽기, 다른 단위와의 관계 이해 및 문제풀이 적용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 단위당 6-7 문항을 만들고, 단위변환, SI접두어, 유도단위에 대한 인식에 대한 문항을 추가한 검사지를 개발하였다. 인천의 중학교 9학년 학생 496명을 대상으로 검사지를 투입하여 각 문항의 정답률을 조사하고 답안 내용을 분석하여 정답유형과 오답유형을 분석하였다. 단위별 정답률은 속력이 71.2%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저항 51.4%, 밀도 40.7%, 일 40.6%이며, 일률의 경우 34.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유형별 정답률은 읽기가 70.7%로 가장 높고 개념이해 46.8%, 문제풀이 37.1%, 다른 단위와의 관계로 유도단위 인식이 36.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읽기를 제외한 나머지 문항에서 매우 낮은 이해도를 나타냈고,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속력을 제외한 나머지 단위에서는 낮은 이해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유형별 정답률 상관관계에서는 다른 단위와의 관계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경우 다른 유형에 대한 정답률이 95.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개념이해, 문제풀이, 읽기를 할 수 있는 경우 다른 유형에 대한 이해는 각각 86.8%, 70.0%, 50.7%로 나타났다. 이는 유도 단위를 지도하는데 주목해야 될 부분으로 유도 단위를 다른 단위와의 관계로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한다면 단위에 대한 개념뿐 아니라 읽기와 문제풀이 등과 같은 단위 학습에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유도단위의 학습을 통해 올바른 과학 개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단위 학습을 위한 연구와 자료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다조직 연대활동의 기대성과 도출을 위한 컨셉트 맵핑 활용에 대한 이론적 논의 : 지역사회 사회복지조직들의 통합사례관리 활동을 중심으로

        권순애,장유미,Kwon, Sun-AE,Jang, Yu-Mi 중소기업융합학회 2015 융합정보논문지 Vol.5 No.1

        본 연구는 여러 사회복지조직들이 연대성을 가지고 지역사회 차원의 사업을 구현해 낼 때 활동의 정체성과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참여주체들이 기대하고 있는 성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컨셉트 맵핑 활용에 대한 문헌고찰을 시도한다. 컨셉트 맵핑은 복잡하고 추상적인 아이디어를 개념화하는 의사결정방법이다. 이 방법을 활용하면 참여한 조직들의 개별적인 이해와 목적을 체계화시켜 합의된 성과를 도출해 내는데 유용할 수 있다. 컨셉트 맵핑을 활용한 의사결정과정에서 참여자들의 의견이 소외되지 않고 모두 채택되도록 하는 시스템 운용이 가능하며, 그로 인해 다양한 조직의 참여를 극대화 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성과에 대한 합의도출이 신속히 이루어지고 이후 활동에 대한 방향성도 명확하게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사회복지조직의 사업 목표 및 프로그램 구조 분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권순애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2020 한국사회복지행정학 Vol.22 No.2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의 사업 목표 및 프로그램 구조의 모호성을 분석하여 책임성에 기반한 사업성과 관리의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B 장애인복지관 연간사업계획서에 기술된 93개 사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에 있어 사업 목표에 대해서는 계량적 정확성 및 성과획득의 난이도 기준을 활용하고 프로그램 구조에 대해서는 하위목적 평가설계접근법을 활용하여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사업 목표와 프로그램 구조 간의 관계는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사업 목표의 모호성에서는 계량적 정확성을 충족하는 사업 목표가 3개(3.2%)였으며, 성과 획득의 난이도를 충족하는 사업 목표가 81개(87.1%)였다. 둘째, 프로그램 구조 분석에서는 각각의 요소들 간의 충족여부를 분석하였으며, ‘활동-목표-성과’에 대한 논리적 인과성이 성립하는 사업은 32개(34.4%)였으며, 불확실한 사업은 41개(44.1%)였다. 셋째, 사업 목표와 프로그램 구조 간의 관계는 계량적 정확성과 프로그램 구조 명확성의 상관계수 .04, 성과 획득의 난이도와 프로그램 구조 명확성의 상관계수 -.09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못했다. 장애인들에게 직접적으로 개입하여 실시하는 사업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의 목표에서 계량적 정확성과 프로그램 구조의 논리적 인과성에서 모호성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복지조직의 프로그램 기획 업무를 사회복지사 개인의 업무로 규정하지 않고 조직적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하며, 조직 학습 문화가 정착되어 조직적 차원에서의 논리적 사고가 구축되고 조직 내 전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