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화 거동에 따른 다기능 구조 전해질의 전기적 기계적 특성 연구

        권숙진 ( Suk Jin Kwon ),최우혁 ( U Hyeok Choi ),정병문 ( Byung Mun Jung ),김양도 ( Yang Do Kim ),이상복 ( Sang Bok Lee ) 한국복합재료학회 2016 Composites research Vol.29 No.6

        최근에는 이온 전도도의 감소없이 높은 기계적 물성을 가진 구조 복합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에폭시 매트릭스를 기반으로 하여 전해질을 함유한 다기능성 구조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구조 전해질의 최적 함량 및 소재 선정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고 있는 반면, 경화 거동에 따른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 성능과 에너지 저장 성능을 동시에 가진 고체 전해질을 함유한 에폭시 기반의 구조 전해질을 다양한 경화 시간 및 온도에 따라 제조하고 기계적 특성 및 이온 전도도 특성을 측정하였다. 그리하여 전해질의 열 분해가 일어나지 않는 온도 범위 내에서 에폭시가 충분히 경화할 수 있는 경화 조건을 통해 115 MPa와 6 × 10<sup>-5 </sup>S/cm의 값을 동시에 가지는 구조 전해질을 얻었다. Recently, many research groups have studied on the epoxy-based multifunctional electrolyte to develop the structural composite bearing high mechanical properties without sacrificing the ionic conductivity at the same time. The studies on the optimal content and material selection for structural electrolyte have been published, while its curing behavior has not much analyzed yet. In this study, epoxy-based structural electrolyte containing solid electrolyte was prepared by varying the curing temperature and time. In addition, the ionic conductiviti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pecimens were measured. We also find out the optimal hardening condition where the epoxy domain enables to be hardened within the range of temperature at which the thermal decomposition of electrolyte does not occur. Finally, we propose the multifunctional structural electrolyte showing achievable electr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282 MPa and 9 × 10<sup>-6 </sup>S/cm@25℃.

      • 팀 기반 학습에서 공유정신모형의 구조적 측정 방법 고찰

        권숙진(Kwon, Suk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2

        조직 내 집단 지성 창출과 고차원의 문제 해결이라는 목적으로 팀 기반 학습을 널리 활용하고 있다. 팀기반 학습은 비구조화된 혹은 복잡한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지만 그에 대한 평가는 주로 교육 만족도 확인이나 개인 수준의 지식 습득 및 활용 차원에 머무르고 있다. 학습자들이 학습한 지식 및 기능이나 인식 수준 대한 개별적 평가와는 다른 조직 차원에서 학습 결과를 평가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동료 구성원과 협력 학습한 결과로 어느 정도 서로의 정신 모형을 공유하였고, 이 공유정신모형이 전문가의 정신 모형과 어느 정도 유사한지 측정할 수 있다. 정신 모형의 구조를 측정하는데 주로 쓰이는 방법 중 하나는 학습자가 학습한 개념 또는 지식의 구조를 도식화하는 것이다. 이 구조를 통하여 특정 영역의 개념들간 의미적 관련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팀 학습의 결과 중 하나인 공유정신모형을 구조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유정신모형의 구성 요소와 이를 구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원리를 고찰한 후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도구인 패스파인더를 활용한 구조적 측정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도출되었다. 첫째, 기업 혹은 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육 결과에 대한 대안적인 평가 방법을 제공해줌으로써 학습 결과에 대하여 팀이 획득한 지식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측정 방법을 단계별로 제공하여 실무자나 연구자가 기반 원리를 이해하면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공유정신모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기본 원리를 제공하였는데, 이는 후속되어 신규로 개발하거나 기 개발된 도구들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The focus of study is to review Pathfinder Networks(PFNETs) as one of methods on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ared mental model is one of team effectiveness indicators. Because one of the purposes in corporate or school education is to enhance team effectiveness, measuring shared mental model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PFNETs provides data about coherence, similarity and correlation of cognitive network models among team members(shared mental model). This study reviews the data processing procedures and interpretation of output data in PFNETs. In general, shared mental model has been being stud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development, but it could be re-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technology. The research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it could provide alternative viewpoint apart from conventional evaluations such as measuring individual satisfaction or achievement. Secondly, it provides practical guide for practitioners or researchers. Finally, our theory driven approach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a new and fully automated Korean-based tool for the assessment of team knowledge.

      • KCI등재

        학습자 중심 학습설계를 위한 e-포트폴리오 발전방향에 대한 연구

        권숙진(Suk jin Kwon),정효정(Hyo jung Jung),조항철(Han chol C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suggest short &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s of e-portfolio system for suppor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self regulated learning. For this, the learning design factors were drawn by using Delphi survey technique and Delphi panel constituted by 16 scholars and industry professionals. As a result of Delphi surveys, the definition of learning design, the development strategies of e-portfolio system, and introduction time of e-portfolio model were drawn. The 9 development strategies for e-portfolio system were as follows: self diagnosis, one-stop service, portal service for searching, exploring and recommending education program, customized coaching, analyzation using big-data, etc. According to priorities and needs, these are assigned to the short, mid & long-term development roadmap. Although we propose the development strategies focused on e-portfolio system in this paper, these are also useful to universities or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lifelong education to adopt the e-portfolio system.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e-포트폴리오의 발전 방향을 탐색하고 중장기적인 발전 로드맵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하여 관련 전문가 16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쳐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조사를 통해 e-포트폴리오의 주요한 역할인 ‘학습 설계’의 정의와 e-포트폴리오의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2차 조사를 통해서는 1차 설문을 통해 수렴한 내용을 토대로 e-포트폴리오가 지향해야 할 학습 설계의 정의와 e-포트폴리오 발전 모형에 대한 의견을 모았다. 3차 조사에서는 2차 조사 결과를 토대로 수립한 발전 전략에 대한 동의 정도와 도입 시기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거쳐 최종적으로 자가진단 시스템, 평생교육 one-stop 서비스, 교육 프로그램 검색/탐색/추천을 위한 포털 기능 도입, 맞춤형 코칭 시스템 도입,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도입 등 9개의 발전전략을 도출하였으며, 전문가 의견을 반영하여 단기·중기·장기발전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한 발전 전략은 학습 지원 e-포트폴리오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대학·기업 등의 기관에서도 제고할 만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학 교수학습개발 전문가의 학습분석 인식 연구

        권숙진 ( Sukjin Kwon ),한재훈 ( Jae Hoon Han ),신종호 ( Jongho Shin ) 충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연구논총 Vol.37 No.2

        최근 학습분석은 고등교육 분야에 교육 혁신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지고 있다. 대학의 교수학습과정을 개선하고 환류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학습분석을 도입하고 확산하려는 시점에서 이와 관련된 핵심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국내 대학 교수학습센터 전문가들의 학습분석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chsler와 Greller(2012)가 학습분석의 실천적 적용을 위한 설계 요건으로 제시한 개념적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세부설문내용을 도출하였다. 전국대학의 교수학습센터 전문가 190여명에게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91명이 설문을 완료하였다. 대학 교수학습센터 전문가들의 학습분석에 대한 이해 수준 및 필요성, 학습분석 이해관계자, 학습분석 목적, 학습분석 자료, 학습분석 방법, 학습분석 저해 요인, 학습분석 활용을 위한 역량에 대한 인식을 전문가 특성별로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대학에서의 학습분석을 적실하게 활용하여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확보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Learning analytics is a tool for enhancing educational innovation and thus elevating the quality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Learning analytics with the use of big data is now about to be adopted into every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This study tackled issues with conduct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field of teaching and learning. It investigates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s at university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the use of learning analytics in university settings. Drachsler and Greller (2012)’s framework was used to design the survey to explore professionals’ perceptions on learning analytics. The framework provided the design requirement for conducting learning analytics in the field of education. Out of 150, 91 professionals answered the survey. The results showed the degree to which university professionals understand learning analytics and what professionals are expecting from conducting learning analytics in higher education. The stakeholders, objectives, data, methods, constraints, and competencies related to the use of learning analytics were surveyed and analyzed from the data collected. Based on the results, we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conducting learning analytics appropriately in term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후보

        평생학습을 위한 학습이력관리시스템 활용 현황에 대한 연구

        권숙진(Kwon, Suk Ji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6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6 No.4

        본 연구에서는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평생학습계좌제 학습이력관리시스템 사용 활성화 및 발전방향 탐색을 위하여 첫째, 사용자들이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을 활용하는 주요 목적, 둘째, 사용자들의 학습이력관리시스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셋째, 사용자들이 학습이력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온라인으로 사용자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477명의 시스템 실사용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통하여 설문결과를 정리하였다. 분석 결과, 사용자들은 주로 교육경험 관리를 위하여 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었으나, 연령에 따른 사용목적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대부분 가입 이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성별, 연령, 지역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활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필요성 결여’ 및 ‘사용 불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스템 사용에 대한 사용 효능감과 만족도 인식 또한 저조한 편이었다. 설문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학습이력관리시스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능적 개선과 더불어, 적극적 활용을 유도하는 가치 제공 및 유용성 인식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National ePortfolio system in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We examines the main purpose of using the National ePortfolio system and the users’ perceived level of usability and satisfaction by conducting online survey. In total of 477 system users responded to survey, and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users mainly use the system with the purpose of managing their personal learning experience, an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pose of using system by age. Also, it seemed most users do not use the system actively after creating the account for lack of needs and inconvenience of usage, and there is a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xtend of system use by sex, age and region. In addition, users showed low efficacy and satisfaction of the system. Overall results implied the need for functional improvement,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the provision of value which induces an active usage as well as the user’s awareness of system’s usefulness are critical to stimulate the usage.

      • KCI등재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 체계적 문헌 분석 및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권숙진 ( Sukjin Kwon ),권선아 ( Suna Kyun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9 No.4

        본 연구는 국가 주도의 교육정책 변화와 기술 변화에 따라 유아교육에서 디지털 놀이에 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디지털 놀이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실행되는데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 1월부터 2023년 8월까지의 등재지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학술지 논문 240편을 대상으로 유아교육 분야에 있어서 디지털 놀이의 전반적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출판연도 및 학술지, 연구 대상(일반유아, 다문화유아, 특수유아), 연구유형(탐색 연구, 설계개발 연구, 실험 연구, 경험적 연구), 6개의 범주로 구분된 도구 유형, 효과성 등의 기준을 설정하고 PRISMA 기반의 체계적 문헌 분석을 하였다. 또한 디지털 놀이에 활용된 도구와 그 효과에 대하여 Gephi 0.10을 사용하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체계적 문헌 분석 결과, 디지털 놀이와 관련된 연구들은 2015년에 가장 많이 출판되었으며, 어린이미디어연구, 일반 유아 대상, 효과성을 검증한 실험연구, 정보전달 도구로 디지털 미디어를 주로 활용하며,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결과 디지털 놀이는 유아의 언어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30여 년간 유아교육 연구자들이 집요하게 밝혀내 왔던 의미있는 성과들이 향후 유아의 디지털 놀이와 관련된 연구의 기초 자료로 사용되고, 더 나아가 교육 현장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와 방법론을 제시하는 실천적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omestic research trends on digital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necessary to explore the identity of digital play and implement it in a desirable direction. To this end, the overall research trends in digital play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analyzed targeting 240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in peer-reviewed journals from January 1990 to August 2023. Criteria such as publication year and academic journal, participants, research type, type of tool divided into six categories, and effectiveness. and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based on PRISMA. In addition,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ephi 0.10 on tools used in digital play and their effects. As a result of a systematic literature analysis, the most studies related to digital play were published in 2015, Journal of Children's Media and Education, preschool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experimental studies that verified effectiveness, and digital media as an information delivery tool. Keyword network analysis results digital play was found to have the greatest impact on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meaningful achievements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ers have persistently revealed over the past 30 years ar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related to digital play of young children, and furthermore, it suggests practical research directions that present various cases and methodologies so that they can be actively used in the educational field.

      • KCI등재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시스템 개발

        권숙진(Sukjin Kwon),정효정(Hyojung Jung),조항철(Hanchol Cho)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9

        마이크로티칭은 교사들의 모의수업을 녹화한 후 피드백·평가·성찰의 과정을 통하여 수업 스킬을 개선하도록 돕는 교수-학습방법이다. 마이크로티칭과 관련된 선행 연구를 분석한 결과, 마이크로티칭을 진행하면서 발생하는 시간적·물리적 부담을 줄이고, 더욱 의미 있는 성찰의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마이크로티칭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통해 마이크로티칭 동영상을 공유하고, 전체 절차와 단계별 활동을 구조화할 수 있으며, 수업 계획서 업로드·체크리스트 등을 통해 마이크로티칭 활동이 보다 체계적이고 심도 있게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다양한 유형의 피드백을 원하는 시점에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였다. 이 시스템은 교사들의 수업스킬 증진뿐만 아니라 프레젠테이션, 면접 스킬을 향상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Micro-teaching is one of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teaching skills whereby teachers present short sessions and receive feedbacks on their performance.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web based micro-teaching system for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teacher training by placing videotaped session and peer feedbacks near rather than far from each other on the screen. We analyz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micro-teaching system, and interviewed pre-service teachers to find some suggestions. Based on this analysis, we drew design principles and developed web based micro-teaching system, which helps teachers to plan instructional strategies, to reflect teaching skills, and to participate in peer assessment. We hope that the system will be useful to not only teacher training but also other fields such as presentation or interview skills.

      • CSCL 에서 그라운딩을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 스크립트 효과 분석

        권숙진(Kwon, Sukjin)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3 학습과학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CSCL 환경에서 학습자가 동료 학습자와 공통 이해의 틀(그라운딩)을 형성하도록 지원하는 컴퓨터 기반 협력 스크립트를 제공하였을 때 협력적 지식 구축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집단 지식을 구성한 구성원들의 개인 지식들이 서로 어느 정도로 유사한지(공유성)와 이들이 형성한 집단 지식과 전문가의 지식이 어느 정도로 유사한지(정확성)를 알아보았다. 우선 협력 스크립트 제공 유무에 따라 협력 전-후 집단 별로 공유성, 정확성 각 점수의 차이를 반복측정 이원분산 분석한 결과, 컴퓨터 기반 협력 스크립트를 제공받은 집단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먼저 공유성의 측면에서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협력 스크립트 제공이라는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협력 전에 비하여 협력 후의 공유성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협력 스크립트의 제공과 협력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었는데, 협력 스크립트를 제공한 집단의 공유성 점수가 다른 집단들보다 협력 후의 공유성 점수보다 높았다. 또한 그라운딩을 지원받는 집단이더라도 이를 구조화하여 제공하지 않으면 오히려 제공받지 않은 집단보다 공유성이 낮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확성의 측면에서 효과를 분석한 결과, 협력 스크립트 제공이라는 주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협력 전에 비하여 협력 후의 정확성의 평균 점수가 높았다. 협력 스크립트의 제공과 협력 시기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확인되었는데, 협력 스크립트를 제공한 집단의 정확성 점수가 다른 집단들보다 협력후의 정확성 점수보다 높았다. 또한 구조화하여 제공하지 않았지만 그라운딩을 지원받은 집단이나 비교집단은 정확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on scripts (CSCS) for building common ground in computer-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The CSCS might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aspect for designing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In this research, students were supported by external collaboration scripts that aim at supporting active participation on a grounding process.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learning with versus without the CSCS that can support grounding process in dyads. Dependent variable was the result of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that is, group cogni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above described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delineated. Research question is whether the CSC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haredness between group members’ knowledge structures and on the accuracy of shared mental model. To analyze their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activities the structural similarities such as sharedness and accuracy were measured. A total of 116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ut together in groups of two. They were assigned into three groups; 18 dyads in experimental groups I with structured grounding support tool (CSCS), 20 dyads in experimental groups II with unstructured grounding support tool and 20 dyads in comparative groups without grounding support tool. The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are as follows. The sharedness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I and comparative grou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experimental groups II (experimental group I > experimental group II, comparative group > experimental groups II). And the accuracy scores of experiment group I are higher than those of experimental groups II and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SCS helps learners to construct expert-level collaborative knowledge. However, further study needs to identify the following issues. Firstly, the design of CSCS is limited to text-based in this study, but it is required to additionally take into account text with graphic such as concept map. Being provided various tools for externalization, students could easily compare and find common or different perspectives. Secondly, the support scope of CSCS is limited to mutual understanding in this study, but it is required to additionally take into account common understanding, that is, agreement. After understanding each other’s perspective, learners need to come to agreement about relevant concepts and relationships. Thirdly,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effects of external collaboration script, but it is required to additionally take into account interplay of internal and external script. External collaboration scripts can help learners to engage in grounding and collaborative knowledge building. However, they might have differential effects for learners holding differently internal scripts on grounding. Finally, the number of students is limited to two within small group in this study. The hypothesis of group dynamics is that the more the number of members within group is, the greater a number of dynamic processes are. When learners interact and influence each other, groups and group knowledge develop simultaneously.

      •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에 관한 사례연구

        권숙진(Sukjin Kwon),박선희(Sunhee Park) 한양대학교 교육공학연구소 2012 학습과학연구 Vol.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교육분야에서 프로그램 교육목표 평가를 H대학 사례를 통하여 실행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학전공교수 3인과 교육학 교수 1인이 연구도구를 개발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설문과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에 응답한 졸업생 31명, 면담에 참여한 졸업생 15명, 설문에 응답한 고용주 9명이다. 연구결과 첫째, 졸업생이 평가한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교육목표1, 3, 4의 경우 평균 3.3점~3.4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3 "평생 자기 혁신을 통해 기독 전문직업인으로서 사회적, 도덕적, 책임의식을 다하고 있는가?"의 경우 평균 2.7점으로 나타났다. 이는 응답자 중 개인적으로 종교관이 다른 경우 낮은 점수를 표시한 것으로 분석된다.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교육목표별 3.7점~4.0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이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졸업생대상 교육과정 적절성에 관한 면담의 경우, 전공교과목에 대한 의견으로 현장교육강화, 발표수업 및 실험수업 내실화, 기초역학수업 정교화, 최신동향이 적용된 수업의 개선을 제시하였다. 동아리 활동의 경우 전공동아리 활동이 기업현장에서 많은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나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영어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전공관련 차별화된 영어 교과목, 영어로 발표하는 연습 및 외국인과 의사소통 등을 위주로 하는 등의 교육내용 개선을 요구하였다. 셋째, 고용주의 경우 각 교육목표 달성도 평균은 3.8점~4.1점으로 나타났고, 교육목표 중요도 평균은 4.2점~4.3점으로 나타났다. 고용주의 경우 교육목표 개선을 제시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 the evaluation about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aims to draw the reform measur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of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in H University in Korea.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invented a research instrument with three professors at the department of engineering and one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education. Regarding data collection method, survey and interview were adopted. The participants included 31 graduated students (survey respondents), 15 students (interview respondents) and 9 employers. According to the data, first, the mean scores of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1, 3, 4)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ranged from 3.3 to 3.4.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3 "As a christian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t, do you fulfill your social and ethical responsibility?" scored 2.7 (5 total score). This means that individuals with different religious faith showed low scores. The mean score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7 to 4.0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objectives. Mostly,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cored low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Second, regarding the employers, the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3.8 to 4.1, and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objectives ranged from 4.2 to 4.3. It is interpreted that the employers did not offer the improvement of each educational objectives. Finally, regarding the interview data about the appropriacy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elicited from the graduated students, the participants suggested the classes with a focus on the reinforcement of work-experience, lessons with a focus on presentation, elaboration of the experiment lecture, refinement of basic dynamics, and the application of up-to-dated contents. Concerning the club activities, clubs related to one"s majors seem to play an influential role in business field, thus, club activities should be reinforced. Lastly, the participants reported the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More specifically, they required the English curriculum different from majors and lessons with a focus on English presentation as well as the conversation with native spe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