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적기업 성과의 종단적 유형화

        권소일 ( Kwon Soil ),조상미 ( Cho Sangmi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8 사회복지연구 Vol.49 No.3

        본 연구는 인증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지표를 활용하여 유형화를 시도하고, 통계적 적합도 지수를 통해 성과별 유의한 잠재유형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며, 성과 유형간 조합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조상미 외(2011) 연구에 참여한 사회적기업 중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는 기업이며 2011년 이후 6년간의 성과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인 매출액의 변화유형을 탐색한 결과 잠재유형이 세 개인 최적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매출성숙형’, ‘매출증가형’, ‘매출평균형’으로 명명하였다. 이때 매출평균형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이며, 운영기간이 타유형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과인 취약계층고용율의 경우 세계의 최적모형이 탐색되었다, ‘고용평균형’, ‘고용감소형’, ‘고용증가형’으로 분류되었다. 사회적 성과는 고용평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른 유형에 비해 매출액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사회적기업 경제적 성과의 변화유형에 따른 사회적 성과 변화유형의 분포인 3×3의 교차유형을 살펴보았다. 교차유형에서는 ‘매출평균형·고용평균형’, ‘매출평균·고용감소형’이 주를 이룬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유형의 특징을 알아보고 지원 제도의 현실성 제고를 위한 정책 제안과 실행에 있어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various performance types, the combinations of the performance types for growth were investigated to suggest viable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sustainable growth of social enterprises. The data of the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from 2011 to 2016 were obtained and the changes were investigated. Among total of 235 social enterprises that participated in Cho et al, 2011, the research subjects were 164 social enterprises, which were still being operated in March, 2018. The performance of 6 years, since 2011, was surveyed, and total of 104(recovery factor: 69.8%) of social enterprises were analyzed using the growth mixture model, cross tabulation. First of the results,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sales, which are of economic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analysis of growth mixture model. The optimal model including three latent classes was adopted. The three latent classes were named as `mature sales type', `growing sales type', and `average sales type'. Second,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employment rate, which are of social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The optimal model including three latent classes was adopted. The three latent classes were named as `average employment type', `declining employment type', and `increasing employment type'. Third, cluster in 3 x 3 tabulation, which is a distribution of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social performance based on the latent trajectory classes of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was looked into.

      • KCI등재

        사회적경제 조직의 공공구매시장 역량 강화 사례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유한나,권소일,신수민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2 사회적기업연구 Vol.15 No.2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re trying to increase social responsibility for public procurement by enacting ordinances and implementing support systems while also serving as incubators for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SEOs). However, individual SEOs that have entered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are having difficulty securing self-sufficiency and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ways to ease dependence on the public sector and strengthen its capabilities based on institutional suppor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s of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by analyzing cases of 4 SEO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Os are strengthening their capabilities in three dimensions: SV-product/service supply capability, SV-customer/demand management capability, and SV-operation management capability. Through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individual SEOs in the public procurement market were presented. 중앙정부와 지자체는 조례 제정 및 지원 제도 실행을 통해 공공조달의 사회적 책임성을 높임과 동시에 사회적경제 조직의 인큐베이터 역할과 판로개척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공공구매시장에 진입한 개별 사회적경제 조직들은 역량 강화와 자생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제도적 지원에 기초해 공공구매시장에 대한 의존성을 완화하며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구매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역량을 강화하고 있는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례를 분석하여 이들의 역량 강화 방식을 탐색적으로 규명하고, 이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서울시 소재4개 사회적경제 조직의 사례 분석 결과, 이들은 공통적으로 사회적 가치에 기반한 제품/서비스 공급 역량, 고객/수요 관리 역량, 운영 관리 역량이라는 3개 차원의 역량을 강화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공공구매시장에 진입한 사회적경제 조직의 역량 강화 및 지원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네트워크 활동이 경제적 성과 및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업종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재희,권소일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7 사회적기업연구 Vol.10 No.2

        This study examined focusing on network activities among various factors affecting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of social enterprises. In particular,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ne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cope of sales and scope of activities. In this study, 152 social enterprises opera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ere surveyed, and We conducted a multi-group analysis through structured model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tructural network activity, relational network activity, and cognitive network activity on economic performance and social performance. As a result, both structural and network activities in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affected sales, especially in manufacturing. Also, The higher the structural network activity, the more influence on subjective economic performance and thi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industry.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structural network activity, the more the employment of the vulnerabl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ypes of industr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erived policy proposals to stimulate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creation through multifaceted network activities.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 중 사회적 자본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네트워크 활동에 초점을 맞춰 그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제조업과 서비스업은 활 동 대상과 영업 범위가 상이하기에 구분하여 그 차이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고용노동부 인증 사회적기업 152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적 네트워크 활동, 관계적 네트워크 활동, 인지적 네트워크 활동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업종 별 차이가 있는지 구조모형을 통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구조적 네트워크 활동이 매출액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제조업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적 네트워크 활동이 높을수록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업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구조적 네트워크 활동이 높을수록 취약계층 고 용은 많아졌으나 업종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각적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나타나는 사회적기업의 성과 창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장애인의 취업상태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주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조상미,권소일,선민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7 장애와 고용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factors of employment status chang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alyzing these factors, and suggesting policy.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needs to form social relationships, reach self-realization, and integrate the society. Method: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are that sociology of population factors are sex, age, marital status, a presence and absence of children who are nurturing, religion, and employment status of a mother, disability and health factors are degree of disabilities, multiple disabilities, and current health status, professional capacity factors are an academic background and a presence and absence of certificates, subjective perception is acceptance of disabilities, experience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The dependent variable is change in employment status. Data is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in the third year and the fourth year. This analysis used STATA 13 a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e results show that people with a spouse have a higher employment rate than people without a spous, mild disabilities have a higher employment rate than severe disabilities, and university graduates have a higher employment rate than uneducated people. Second, the higher acceptance of disabilities and experiences of disability discrimination are, the higher a probability of changing employment status is. Conclusion: On the basis of research results, it suggested policy for employ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취업상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내고, 이러한 요인을 심층 분석하여 정책 제언을 하는 것이다. 장애인의 취업은 경제적인 독립과 사회적인 관계 형성, 그리고 자아 실현과 사회통합을 위하여 필요하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 성별, 연령, 혼인상태, 종교, 양육아동 유무, 어머니 취업 상태를, 장애 및 건강 요인으로는 장애정도, 중복장애 유무와 현재 건강상태를, 직업적 능력 요인으로는 학력 및 자격증 유무를, 주관적 인식으로는 장애수용도와 장애차별경험, 주관적 사회경제적 인식으로 하였으며, 종속변수는 취업상태 변화로 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장애인고용패널 3차년도와 4차년도를 이용하였으며, STATA 13버전을 활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로는 미혼자 보다 유배우자가, 중증 장애 보다 경증 장애가, 무학자 보다 대졸자가 미취업상태에서 취업상태로 변화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장애수용도 및 장애 차별 경험이 높을수록 미취업상태에서 취업상태로 변화할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장애인 고용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가 사회적・경제적성과에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활동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재희,조상미,권소일 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018 地域發展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서울지역 인증 사회적기업의 조직문화 요인이 사회적・경제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두 변수 사이에서 네트워크 활동의 매개 효과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일반 영리기업과 구분되는 사회적기업의 특징인 사회적성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회적성과와 경제적성과 간의 경로를 추가하여 모형을 비교‧검증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기업의 통제문화는 사회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네트워크 활동은 사회적・경제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유연문화는 사회적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네트워크 활동은 사회적성과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네트워크 활동은 유연문화와 사회적기업성과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연한문화의 조직일수록 타 조직과 네트워크 활동이 높고 이러한 기업은 사회적성과가 높아경제적성과에도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사회적기업의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사회복지시설 유형에 따라 살펴본 종사자의 임금구조 및 근로시간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정희수,류주연,권소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사회복지 시설의 유형에 따른 임금구조와 근로시간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처우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사회복지 시설을 지방이양 이용시설, 지방이양 생활시설, 국비지원 이용시설, 국비지원 생활시설의 4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FGI(초점집단면접)를 실시한 후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임금구조의 공통의 이슈로는 급여의 다름과 전반적으로 열악한 임금수준이었으며, 시설별 이슈는 호봉제, 임금가이드라인 적용, 운영비와 인건비 분리 문제가 지적되었다. 근로시간에 관해서는 공통의 이슈로는 인력보강및 충원, 수당의 문제가 제기되었으며, 근로시간에 대한 시설별 이슈는 교대제 근무체계, 시설장 업무과다가 지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종사자 전반의 정당한 보수수준을 논의하고, 유형 간 차이를 공정하게 보완할 수 있는 기준 마련,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인건비 가이드라인의 충족, 적정 근로시간 보장을 위한 인력 강화, 시간 외 근로에 대한명확한 보상 기반 마련 등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