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밀도가 통근시간 및 거리에 미친 영향

        권성문,김성연 한국교통연구원 2020 交通硏究 Vol.27 No.4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nsity and commuting, which is measured by time and distance. Spatial panel models were applied to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istance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nsity and commuting using the data of SMA (Seoul Metopolitan Areas) commuting for the year from 2002 through 2016. It is notable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ting time and distance have the “reverse U” function. This relation indicates that when commuting distance increases, commuting time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commuting speed. The resul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rban density and commuting that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density and commuting time had the “reverse U” function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density and commuting time had the “U” function. In the commuting distance model, only employment density affected commuting distance with the negative effect. Second, land use factors in an area we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commuting time in adjacent areas while commuting mode factors we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commuting distance in adjacent areas.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commuting time and distance, the policies are needed such as supplying jobs in housing rich areas and supplying housing in job rich areas. In addition, new transportation system and new road construction such as highway are needed for reducing traffic congestion and longer commuting time. 본 연구는 시공간요소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도시밀도가 통근시간 및 거리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도시밀도와 통근시간 및 거리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16년 수도권의 64개 시군구의 자료를 이용하여 통근시간과 통근거리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통근시간과 통근거리는 “역 U”자형 함수관계를 나타냈다. 이는 통근거리가 길어지면 통행속도가 빨라져 통근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시밀도와 통근시간과 거리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근시간과 인구밀도는 “역 U”자 형태의 함수관계를 가지는 반면에 고용밀도와는 “U”자 형태의 함수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근거리는 통근시간과는 달리 고용밀도에만 부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 지역의 토지이용변수(인구밀도, 고용밀도, 직주비)는 인접지역의 통근시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반면에 통근거리에는 통행수단변수가 인접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따라서 통근거리 및 통근시간을 감소시키 위해서는 주거지 지역에는 직장을 공급하고 고용중심시 지역에는 주거지를 공급하는 정책이 우선시 되어야 하며 지역 내부통행의 혼잡 해결 및 원거리 통행의 통근시간을 감소시키 위해 교통혼잡 개선을 위한 교통수단 개발 및 고속도로 확충과 같은 신규 도로 건설이 필요하다.

      • KCI등재

        교통접근성이 인구·고용 및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향 : 도시와 농촌지역의 도로와 철도 접근성 비교검토

        권성문,김찬성 대한지방자치학회 2021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3 No.3

        본 연구는 교통접근성(도로와 철도)이 지역의 인구, 고용 및 지역내총생산에 미치는 영 향을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철도접근성은 도시와 농촌지역 의 인구증가에 영향을 미치나 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고용의 경우 도시지역 에서는 철도접근성이 고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도로접근성은 고용에 부정 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농촌지역에서는 도로접근성이 고용증가에 정 의 영향을 나타냈다. 따라서 농촌지역에서는 도로접근성이 철도접근성보다 고용에 더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도시와 농촌지역에서 모두 철도접근성은 1인당 지역내총생산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철도접근성의 향상은 교통비용의 감소 및 고용시 설의 집중, 생산품 및 물류비용의 감소를 가져와 생산성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기반 기술 : DNP3 프로토콜 보안 현황 및 공격 탐지 방안

        권성문 ( Sung Moon Kwon ),유형욱 ( Hyung Uk Yoo ),이상하 ( Sang Ha Lee ),손태식 ( Tae Shik Shon ),권성문 ( Sung Moon Kwon ),유형욱 ( Hyung Uk Yoo ),이상하 ( Sang Ha Lee ),손태식 ( Tae Shik Shon ) 한국항행학회 2014 韓國航行學會論文誌 Vol.18 No.4

        과거의 제어 시스템은 제어 시스템의 망을 외부의 망과 분리함으로써 외부의 접근을 원천 차단하여 외부공격에 대한 보안을 보장받았다. 그러나 제어 시스템의 디바이스들이 다양해지고 디바이스 간의 상호 운용이 필요해짐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이 필요해 졌으며 이는 제어 시스템 또한 외부의 망과 연결되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효율적인 관리는 용이해졌으나 보안 사항이 포함되지 않은 다수의 제어 시스템의 프로토콜이 각종 사이버 공격의 위험에 놓이게 되어 각 프로토콜에 대한 보안 기능 추가 및 공격 탐지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컨트롤 센터와 변전소간 통신에 쓰이는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3 프로토콜을 중점으로 다루며 프로토콜의 특징과 보안 현황 분석 및 현재까지 공개된 취약점 분석과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 탐지 방안을 제시한다. In the past, security on control system was guaranteed by isolation of control system networks from external networks. However as devices of the control systems became more various and interaction between the devices became necessary,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such network emerged and this triggered connection between control system networks and external system networks. This made management of control system easier but also made control system exposed to various cyber attack threats, Therefore researches on appending security measures on each protocols are in progress. This paper focused on DNP(distributed network protocol)3 protocol which is used for communication between control center and substations. It describes characteristics of DNP3 protocol and research on adding security elements to the protocol. It also analyzed known vulnerabilities of DNP3 protocol and proposed data mining methodology for detecting such vulnerabilities.

      • GOOSE 프로토콜의 취약성을 이용한 공격 및 탐지방안

        권성문 ( Sung-moon Kwon ),손태식 ( Tae-shik Sh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SCADA 시스템과 같은 제어 시스템의 일반 네트워크와의 연결은 시스템의 제어 및 관리에 효율성을 높여주었으나 일반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고전적인 네트워크의 취약성에 노출되어 취약성을 이용한 사이버 공격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 네트워크 환경과는 다른 제어 시스템의 환경과 보안을 고려한 프로토콜이 개발 되었거나 개발 중에 있으며 보안은 이 프로토콜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제어시스템 프로토콜 중 IEC 61850에서 정의된 GOOSE프로토콜을 대상으로 GOOSE프로토콜의 취약점 분석 및 취약점을 이용한 공격과 이러한 공격을 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 5G 보안 표준 현황과 미래

        권성문(Sungmoon Kwon),박성민(Seongmin Park),김도원(Dowon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0 情報保護學會誌 Vol.30 No.6

        5G 단독모드(StandAlone)가 미국, 중국 등에 상용화됨에 따라 고속 서비스 eMBB(enhanced Mobile BroadBand), 저지연 서비스 URLLC(Ultra Reliable Low Latency Communication), 다 연결 서비스 mMTC(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기술 또한 곧 상용 기술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5G 서비스의 기술 개발에는 다양한 기업과 기관들이 참여하여 매년 신규 표준이 생성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5G 보안 표준화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전반적인 5G 보안 동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