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따뜻한 교육공동체 형성을 위한 초등학교 구성원들의 요구도 분석

        권다남,박한숙 한국자료분석학회 2016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 of educational community which members of elementary school recognized and to explore their needs on building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urvey question of which investigated conception of educational community and performed with 792 teachers and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first place, the gap of two statuses was statistically proven by t-test. Second, the order of priority was derived according to Borich model. Third, the result of need analysis based on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oordinate plane. Using all of these results, top priority and the second prior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ollowing: first, in total needs analysis, needs of ‘democratic participation’ category was highest. Seco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warm educational community is highest about ‘communication’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Finally, ‘relational care’ category is highest in need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dadeutan’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 review,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구성원들이 인식하고 있는 교육공동체의 요인을 규명하고, 교육공동체의 핵심 구성원인 학생과 교사들이 공동체 형성에 있어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개념 요인을 규명한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 총 79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첫째, t검증을 통해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둘째,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요구도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요구도 조사에서는 민주적 참여구조 범주의 요인들이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의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대한 요구도는 소통과 민주적 참여 범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초등학교 학생의 따뜻한 교육공동체에 대한 요구도는 관계적 돌봄 범주에서의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생태학적 연구

        권다남,김대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0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2 No.2

        연구목적: 이 연구는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생태학적 체계이론을 활용하여 단위학교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를 구축하기 위한 요인들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단위학교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생태학적 요인들을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 시간체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미시체계에는 학생, 교사, 학부모, 교장, 학교 요인이 포함되었으며, 중간체계에는 사회적 자본, 협력, 파트너십 요인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외 체계에는 지역사회, 지자체 및 교육청 요인이 포함되었고, 거시 체계에는 국가(정부), 국가 교육과정, 사회적 문화 요인이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시간체계는 정책 형성과정과 갈등 해결과정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연구에서 제안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위해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기존의 역할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여야 한다. 그리고 각 구성원이 갖추어야 할 지식이나 태도도 중요하지만 구성원들 간의 긴밀한 관계와 상호작용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단위 학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지방자치단체 및 교육청 차원에서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하게 될 것이며, 모든 차원의 요인에 대해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회·문화적 요인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전개 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권다남,김대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2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4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in which schools and villages are linked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of various educational entities surrounding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There is this. Method: A case study was conducted in which literature and documents related to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ere analyzed, interviews with member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field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ere observed. Results: the phenomena of the beginning and expansion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changes through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and the limitations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ere discovered.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discuss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organizational level was suggested.

      • KCI등재

        교육연구방법론으로서 이방인 탐구의 가능성 탐색

        권다남,정상원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24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13 No.1

        The development of science is promoting the exchange of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by reducing travel time. And this situation is creating various strangers in our educational field.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stranger inquiry for educational research.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he concept, typology, and analytical framework of the stranger, and through which the concept of stranger developed from modern to modern times, nine types of strangers, analytical framework for stranger inquiry that is composed of proximity and remoteness, interaction, historicity, and objectivity, etc. were discussed. In addition, we discussed how stranger inquiry can be applied to actual research through examining various studies about various strang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However, this stranger inquiry must be handled carefully from an ethical perspective. Through this, we must avoid otherizing strangers.

      • 수업 혁신에서 드러난 다양한 협력의 형태

        권다남,김대현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 No.학술대회

        오늘날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는 불신과 경쟁을 부추기는 사회적 현상으로 인해 학교라는 공동체는 그 본연의 성질을 잃어가고 있으며, 사회현상의 거시적 흐름이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이어지면서 오히려 공동체 형성이 역행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교 역시 교육의 효율성과 수월성이라는 논리를 따라가게 되었고, 이러한 현상은 교육공동체 구성원들 간의 비교, 경쟁, 나아가 불신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학교에서의 교육활동이 단적으로 드러나는 장 인 수업에서도 교육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들의 상호작용이나 협력을 통한 수업보 다는 시험 성적에 초점을 맞추어 진도 따라가기에 급급한 지식전달위주의 수업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수업은 악순환되어 공동체성을 저하시키는 데 일조하고 있기도 하다.

      • KCI등재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대한 중학교 교사의 요구도 분석

        권다남,김현하,김대현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3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5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mand of middle school teachers for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89 middle school teachers, and demand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through t verification, Borich demand analysis, and priority determination method us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Results: First, all 10 items corresponding to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ere also included in the priority list, but only four items were included in the content and method. Second, the most demanding items in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discussions and conclusions were presented focusing on ways to improve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derived.

      • KCI등재

        지역교육공동체의식 개념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권다남,김진숙,김경화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2024 청소년시설환경 Vol.22 No.1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ual factors that constitute the sense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who are key members, to have perceptions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for the conceptual factors of teachers' sense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six conceptual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locality, sharing, identity, relationship, practicality, and learnability. A total of 50 survey questions were composed based on the extracted factors. Quota sampling was used to select 170 teachers from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Busan as the subject of the survey.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were calculated using SPSS WIN 28.0, and correlations were verifie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conceptual factors that constitute the sense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recognized by teachers include four factors: ‘locality’, ‘learnability’, ‘relationship’, and ‘collaboration’. Perception of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in each of the four areas of the conceptual factors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sense showed that learnability was the highest, followed by locality, collaboration, and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actical data for developing a tool to measure teachers' sense of local education community and at the same time preparing school-local linked educations.

      • KCI등재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권다남,김대현,정상원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needs for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and, through this, devise a plan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For this purpose, sample data from a total of 170 teachers in Region B were collected and the teacher's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as identified through t-test in 4 areas such as locality, learning ability, relationship, and cooperation, Borich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need for consciousness was confirm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test, Borich requirements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 total of 4 factors were identified, including regional characteristics unique to our region, sharing of culture and values, respect for each other, and acceptance of the school's education needs. It was found that the following items were the highest prioritie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to form a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iscussions focused on exploring ways to form teachers' sense of local educational community. 이 연구는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교사의 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지역의 교사 총 170명의 표본자료를 수집하여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4영역에 대한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통해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대한 요구도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성, 학습성, 관계성, 협력성 등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의 모든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필요 수준과 실행 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Borich 요구도 공식을 통해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인적·물적 인프라 구축, 정서적 유대감, 학교와 지역 간 서로 의지하는 것 순으로 높은 요구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해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사회적 특성, 우리 지역만의 고유한 문화,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지역사회 인적자원에 대한 신뢰, 민주적인 갈등 해결,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8개 항목에서 요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t검증, Borich 요구도 공식, The Locus for Focus 모델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 지역만의 지역적 특성, 문화와 가치의 공유, 서로에 대한 존중, 학교의 교육에 대한 요구 수용 등 총 4개 항목이 지역교육공동체의식 형성을 위해 가장 먼저 고려되어야 하는 최우선순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지역교육공동체의식을 형성하기 위한 방안 탐색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 KCI등재

        중등학교 교장의 교사신뢰 형성을 위한 요구도 분석

        권다남,박화춘,김대현,이상수,변용철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 of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which principals of secondary school recognized and to explore their needs on building trust in teach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survey question of which investigated conception of principals' trust in teachers and performed with 296 secondary school principals. First, gap of two statuses was proven by t-test. Second, the order of priority was presented by Borich model. Third, the result of the locus for focus model was presented in the form of coordinate plane. Lastly, top priority and the second priority were determined.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 'Class management, instruction, and caring for students' category is highest in needs of secondary school principals on trust in teachers. Next, second priority category is 'partnership with parents'. It means secondary school principals recognize that students and parents are most important on education and their trust in teachers. Based on the review, finding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교장이 인식하고 있는 교사신뢰 요인을 규명하고, 중등학교 교장의 교사신뢰 형성에 있어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교장의 교사신뢰 측정도구를 개발한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을 활용하여 중등학교 교장 총 29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Borich 요구도 분석, 로커스 포 포커스(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우선순위 결정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저,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수준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고, Borich의 요구도 공식을 활용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사용하여 요구도를 제시하고, 마지막으로 이를 종합하여 최우선 순위 항목과 차 우선순위 항목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등학교 교장을 대상으로 한 요구도 조사에서 학급경영, 수업, 학생지도 범주의 항목들이 요구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학부모와의 동반자 관계 범주의 항목들이 차순위로 요구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중등학교 교장들이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과 교장의 교사신뢰에 가장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의의 고찰

        권다남(Da-Nam Kwon),김대현(Dae-Hyun Kim)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이 연구는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육 주체들의 경험을 통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개념 및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의의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마을학습 교육과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교사, 관리자, 학부모, 마을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은 학습자가 살아가는 삶의 뿌리이자 배움터인 마을에서 학습의 대상이자 주체인 마을과 함께 유기적인 관계맺음을 통해 학습하고, 그 결과를 마을에 환원함으로써 학습자의 주체성과 마을의 성장을 함께 도모하는 선순환적 교육과정을 의미한다. 둘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목표는 마을에 대한 애정과 마을로의 회귀, 학습자의 주체성 성장, 마을의 동반 성장이다. 셋째,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내용은 마을에 대한 교육, 마을의 자원을 활용한 교육이 있으며, 그 학습의 결과가 마을을 위한 것으로 선순환되어야 하고, 비형식적 교육으로서 마을과의 관계에 대한 교육이 함께 동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운영원리에는 마을교육공동체 구축, 구성원의 자발성, 삶과 배움이 일치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이 있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마을학습 교육과정의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content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Method: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dministrators, parents, and village teachers who had experience participating in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Results: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involves learning through organic relationships with the village, which is the object and subject of learning, in the village.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village learning curriculum was discussed focusing on the research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