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예비 초등교사들의 환경 인식 조사

        권난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03 초등과학교육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global environment. Subjects are 134 senior students of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metropolitan city. As an indicator of environmental perceptions, the modified New Environmental Paradigm (NEP) instrument was used. This modified NEP instrument consists of four dimensions; the negative results of growth and technology, the relation of humankind and natur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limits of biosph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 majorit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eld ecological environmental perceptions. This ecological environmental perceptions appeared in each four dimension. Also,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similar environmental perception to education major.

      • KCI등재후보

        방과후 과학 관련 특기 적성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권난주,박철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4 현장과학교육 Vol.8 No.1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perceptions on science programsof the After-School Science Class Developing Activities inElementary Students. For this study, science programs(ScientificExperiment) were collected from 6 elementary schools locatedat Paju City GyeongGi-Do. Survey of research was conductedon 142 studen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statistical package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Science). As the results, science programs of the After-SchoolScience Class Developing Activities in Elementary Studentsbased on interest, fun and hands-on experience. Most ofstudents thought it was easy to understand. Also, after-schoolscience program was appropriated to arouse curiosity, interestand passion in science to learners.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is study is helpful for developing various scientificcreative science programs of the After-School Science ClassDeveloping Activities that can be enhanced elementary schoolstudents have more interests of science and more scientificinquiry.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 관련 특기 적성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경기도 P시에 위치한 6개초등학교 방과후 특기 적성 프로그램(강좌명: 과학실험)에 참가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 조사 하였고, 142명의응답 결과를 자료로 삼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방과후 과학 관련 특기 적성 프로그램은 전반적으로 학생들이 직접 체험하면서 과학에 대한관심을 가지는데 도움이 되는 주제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학생들에게는 이해하기 쉽고 재미있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탐구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과후 과학 관련 특기 적성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지기를 바란다.

      • KCI등재

        과학체험학습에 관한 선행연구 및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운영실태 분석을 통한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장의 활용방안 모색

        권난주,권혁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초등과학교육 Vol.38 No.1

        In order to organize various places for science experience study, this study gathered and analyzed prior research on science experience study and various science experience perated in school. To that end, a total of 162 relevant prior studies of literature published from 2000 to 2016 were collected and 2,201 cases of science experience study conducted in 2015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place where the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was done is divided into three areas of natural ecology, cultural history, facility experiential learning study, and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subjects are examined. In terms of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field of science-related experiential learning areas, 83 ecological experience study sites (51.2%), facilities institution experience study sites 56 (34.6%), and cultural history experience study books 23 (14.2%).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out that research tendency to analyze science - related attitudes became prominent by setting study subjects using natural objects around and learning to play while playing and playing in nature. There was also an analysis by subjects of participation in science related experience learning centers. Cultural history experiential learning field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previous studies. In the lower grades, nature ecological experience learning was mainly performed. Combining the above findings, it can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ience-related experience activitie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related experience learning center us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ulture and history experience learning center related to science. Third, we need an education support center to support the expansion and operation of such a technology-related cultural history learning center.

      • 문장완성과 연상질문으로 알아본 과학과 과학자, 과학수업에 대한 초등학생과 초등교사의 인식

        권난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6 과학교육논총 Vol.1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science, scientist, and science classroom. Subjects are 250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330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e's perceptions will be able to change one's attitudes, and one's attitudes will be able to change one's actions. If this propositions are accepted, the investigating someone's perceptions is very important, especially in science classroom society. In this study, the method of investigation of perception are Word Association Test and Sentence Completion Test by Lowery. These are very simple, interesting, and effective for both examinees and examiners. As a result, they could grasp not only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bout science, scientist, and science classroom but also the differences.

      • 인지갈등을 통한 개념수업 절차 모형의 적용

        권난주,권재술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998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8 No.1

        과학교육학이라는 학문에서 주창하는 이론은 반드시 수업 현장의 실제와 연결되어야만 비로소 이론은 이론대로 수업 효과는 효과대로 제 기능을 다 할 것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수업모형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 개념변화 수업모형 중에서, 오개념 교정에 필요한 인지 갈등 전략을 기본으로 만들어진 개념수업 절차 모형(권재술, 1989)을 현장에서 적용해 보았다. 특히 교사 연수에서 효과 검사에 이르기까지 모형의 투입 전후에 일어나는 여러 제반 사항들도 함께 기술하여 그로부터 알게 된 여러 문제점과 효율적인 적용 방안을 알아보았다. 수업의 효과면은, 비교반과 실험반의 수업 전·후 개념검사와 태도검사 점수, 그리고 학교교육과정상 실시되는 전형적인 월례고사 개념성취도 점수를 비교해 보았으며, 수업의 적용면은 수업 준비와 적용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의견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에게 적절한 갈등 자료인 R_(2)의 준비가 가장 어려웠으며, 교사에게는 허용적인 수업분위기 유도와 발문 전략 활용의 교수 기술이, 학생에게는 발표 및 토론 훈련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s of applying the Cognitive Conflict Process Model (the Procedural Teaching Model using Cognitive Conflict Strategy: Kwon, 1989) upon students' achievement and attitudes in a middle school science concept instruction. For the treatment group, science instruction to apply the Cognitive Conflict Process Model was used. For the control group, traditional instruction was used. Prior to instruction, students' pre-conceptions test and attitudes test related to the science were administered. After instruction, the above two tests and the regular examinations were measured. Also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teacher's new teaching styl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But, above all,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ncipal accompanying matters of general application of the teaching model to science concept instruction rather than conceptual and attitudinal change.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necessary conditions of applying the teaching model to science instruction.

      • KCI등재

        체험학습 모형의 고찰을 통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에 관한 연구

        권난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교육논총 Vol.43 No.1

        학교교육과 학교밖 교육을 어떻게 짜임새 있게 연결하며 체험학습을 어떻게 계획 운영하는지에 따라 교육적 효과는 큰 차이를보인다. 본 연구는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과 과학교과 체험학습 모형에 대한 선행연구를 상호비교함으로써 과학체험학습의 운영에관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체험학습 모형 4개와 과학관 놀이-학습 모형, RSM 탐방 모형을 살펴보고,공통점과 차이점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체험학습은 공통적으로 3가지 단계의 흐름으로 준비, 실행, 평가되고 있었다. 단계의 구분은연구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도 하였지만, 전체적인 흐름은 일치하여 사전활동 단계, 현장학습 단계, 사후활동 단계로 진행되고있다. 다만,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에서는 과학교과가 가진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으며, 과학교과 체험학습 모형에서는사전활동 단계와 사후활동 단계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범교과 체험학습 모형의 큰 틀은 유지하여사전활동과 사후활동도 유기적으로 다루어야 하며, 과학교과에서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탐구활동과 활동장소에 대한 연구를 통해과학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활동전략의 개발과 연구가 필요해 보였다. 이에 자유탐구 수업방법을 토대로 일반적 과학체험학습 활동전략을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다양한 과학체험학습의 활동전략의 개발과 운영은 학생들에게 흥미로운 직접 경험의 기회를 제공해 줄것으로 기대하며, 학생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와 활동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실제적인 탐구수행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갈등유발집단과 비갈등집단의 개념 형성 정도 및 지속 효과

        권난주,권재술,박춘길 한국과학교육학회 199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8 No.3

        학습 초기에 과학적 개념과 상충되는 오개념을 이용하여 인지 갈등을 일으킴으로써 개념 변화를 꾀하는 갈등유발집단과 과학적 개념과 어느정도 일치하는 부분과학개념을 이용하여 과학적 개념과 연결시켜줌으로써 개념 변화를 꾀하는 비갈등집단의 개념 형성 정도 및 지속 효과를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5·6학년을 대상으로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열전도, 열평형, 작용 반작용, 자유낙하, 무게보존 등에 관한 기초적인 5가지 개념을 이용하였다. 갈등유발집단에게는 오개념을 가지고 답하리라 예상되는 문항을 제시하였으며, 비갈등집단에게는 과학적 개념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 부분과학개념을 가지고 답하리라 예상되는 문항을 제시하였다. 그 다음, 시범 실험을 실시하여 갈등유발집단은 오개념을 드러내어 갈등이 일어나게 하였으며, 비갈등집단은 부분과학개념을 이끌어내어 갈등이 일어나지 않고 과학적 개념과 연결시킬 수 있게 하였다. 두 집단 모두 설명식의 간단한 처치를 동일하게 실시하였으며 처치 직후와 일주후, 한달 후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개념의 형성 정도 및 지속 효과를 비교하였다. 기초적인 5가지 개념에 대해 갈등과 비갈등의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열평형 개념과 작용 반작용 개념에서 갈등유발집단에 더 효과적인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학업 성적을 통한 상위 수준과 하위 수준의 학생들을 비교하였을 때 상위 수준의 학생들은 열전도와 열평형 개념에서 갈등을 일으킨 다음 갈등을 해소해 주는 방법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하위 수준의 학생들은 갈등의 방법이나 비갈등의 방법이나 개념의 형성 정도나 지속 효과면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들에게서는 두 방법간에 뚜렷한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개념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할 개념의 특성, 학생의 선개념 상태, 학습에서의 성공 경험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concept formation between conflicted case and non-conflicted case as a method of learning science concepts. This study consists of 8 classes in 5th and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n Kyoung-Buk, which were divided into conflicted group and non-conflicted group. The research procedure is as follows : first, two groups were asked the introducing problems-one was asked the conflicting problem, the other was asked the non-conflicting problems. Futhermore, the incorrect-answered students of conflicting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conflict group and the correct-answered students of non-conflicting problems were classified into non-conflict group. Secondly, the demonstration and picture presentation about the introducing problems were carried out. Thirdly, the researcher introduced scientific concepts to the students. Afterwards, posttests, made up of the same items, were presented to the students-three times-posttest, delayed posttest(one week), second delayed posttest(one month). Finally, the degree of concept form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these results.

      •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 단원에 따른 과제 학습 주제 개발

        권난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4 과학교육논총 Vol.16 No.-

        학생 중심, 탐구 중심 교육이 강조되면서 과학관련 재량활동, 특기적성 활동, 각종 경진대회의 종류와 수준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이들은 교사의 지도와 안내를 받는 공식적인 학교 과학이면서도, 내용적으로는 비공식적인 학교밖 과학 활동인 경우가 많다. 방송과 서적을 비롯한 문화적, 대중매체에서의 과학 활동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시공간적으로 담임교사의 지도가 어려울 뿐 아니라, 과학 교과와도 체계적으로 관련짓지 못하여, 교육과정의 운영에는 실직적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활동 중심의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살리는, 효율적인 교수 학습 전략으로서 과제 학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자기주도적 과학 경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활동 과제 주제들을 과학교과 단원별로 제시하여, 예비교사 및 교사교육에 적극 활용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6학년 내용을 중심으로 한 것만 기술하였다. Since the implementation of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many of teaching methods introduced, concentrating on the differential enriched/supplementary activities. But there are few practical- materials considering school science connection with everyday science. One of the science education's goal is students to be scientific problem-solvers, that is scientific literacy: act and think scientifically in real context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propose task-learning contents by the order of science subject text. These will help students experience scientific inquiry and self-oriented learning. The developing contents are described in 6-grade text's order.

      • 초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표현된 힘 개념과 초등교사가 이해하고 가르치는 개념과의 비교

        권난주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9 과학교육논총 Vol.2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identifying differences between science curriculum's aims or elementary textbooks' representations and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and cognitions about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is, the material subjects analyzed were the 7th curriculum, th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and investigate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The primary physics concepts were restricted to force concept. In Korea, the first appearance on the formal textbook about force concept is at the 'Extension spring at spring scale' chapter of the 4th grade's. school teachers. At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many teachers have some different cognitions against curriculum's aim or the chapter's go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