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dvances in Land Modeling of KIAPS Based on The Noah Land Surface Model

        구명서,백성혜,설경희,조경미 한국기상학회 2017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53 No.3

        As of 2013, the Noah Land Surface Model (LSM) version 2.7.1 was implemented in a new global model being developed at the Korea Institute of Atmospheric Prediction Systems (KIAPS). This land surface scheme is further refined in two aspects, by adding new physical processes and by updating surface input parameters. Thus, the treatment of glacier land, sea ice, and snow cover are addressed more realistically. Inconsistencies in the amount of absorbed solar flux at ground level by the land surface and radiative processes are rectified. In addition, new parameters are available by using 1-km land cover data, which had usually not been possible at a global scale. Land surface albedo/emissivity climatology is newly created using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satellitebased data and adjusted parameterization. These updates have been applied to the KIAPS-developed model and generally provide a positive impact on near-surface weather forecasting.

      • SCOPUSKCI등재

        $CS_2$ / KOH Catalysis에 의한 ${\varepsilon}$-Caprolactam의 음이온 중합 (제3보)

        구명서,최삼권,Koo Myeong-Seo,Choi Sam Kwon 대한화학회 1977 대한화학회지 Vol.21 No.6

        $CS_2$/KOH catalysis를 이용해서 ${\varepsilon}$-caprolactam의 음이온중합을 시키고 percent conversion과 점도를 측정하였다. $80^{\circ}C,\;105^{\circ}C$의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는 $CS_2$/KOH mole ratio가 0.5일때 percent conversion이 가장 높았으며 또 KOH의 당량에 비례하여 percent conversion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130^{\circ}C,\;155^{\circ}C$로 중합온도를 상승함에 따라 $CS_2$/KOH mole ratio와 KOH양에는 크게 관계없이 높은 percent conversion을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30分 정도의 짧은 중합시간으로도 $80{\%}$ 이상의 높은 percent conversion을 얻을 수 있었다. The anionic polymerization of ${\varepsilon}$-caprolactam via $CS_2$/KOH catalysis was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inherent viscosity of the polymers and percent conversion of the polymers were determined. It was observed that the percent conversion was increased as an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atalyst and initiator. The percent conversion was relatively low at low temperature and the highest percent conversion was obtained at temperature between $130^{\circ}C,\;to\;155^{\circ}C$ with any $CS_2$/KOH mole ratio.

      • KCI등재

        정상 토끼 간에서 고주파열치료 병변 명확도의 시기별, MR 영상 기법간의 비교

        구명서,김승권,홍현표,곽현주 대한영상의학회 2007 대한영상의학회지 Vol.57 No.3

        Purpose: To compare the lesion conspicuity of radiofrequency ablation (RFA) zones among MR sequences according to time in the normal rabbit liver. Materials and Methods: RFA zones were created in 12 rabbit livers with a 17-gauge internally cooled electrode (1-cm active tip, 30 Watts, 3 minutes). Three rabbits were sacrificed immediately, three days, two weeks, and six weeks after the RFA procedure, respectively. Before sacrifice, T1-, T2-weighted images (WI), and gadolinium-enhanced (GE)-T1WI images were obtained. The lesion conspicuity of the RFA zone and the contrast-tonoise ratio (CNR) of the RFA zone to the liver parenchyma were analyzed and compared among the MR sequences according to time. Results: On T1WI, the RFA zones were only clearly seen on acute phase. On T2WI, the RFA zones were clearly seen on all phases except the hyperacute phase. On GE T1WI, the RFA zones were clearly seen on all phases. The CNRs of the RFA zone to the liver parenchyma of GE-T1WI (8.1-12.4)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NRs of TIWI (1.6-2.7) and T2WI (1.7-6.3) on all phases (p < 0.05), but the visual lesion conspicuity between GE T1WI and T2WI were similar. Conclusion: On hyperacute phase, GE T1WI showed better lesion conspicuity of the RFA zone than T1WI and T2WI. On other phases, GE T1WI and T2WI showed similar lesion conspicuity. 목적: 정상 토끼 간의 고주파열치료 병변에서 시기별, MR 영상 기법 간의 병변 명확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토끼 12마리에 내부냉각형 침(17 G, 1 cm 노출단, 30와트, 3분)을 이용하여 고주파열치료 병변을 만들었다. 시술 직후(초급성), 3일 후(급성), 2주 후(아급성), 6주(만성) 후에 각각 3마리 토끼를 희생하였다. 희생 전에 T1, T2-강조영상,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을 얻었다. 고주파열치료 병변 명확도와 병변과 정상간실질의 신호대잡음비를 분석하고 시기별, MR 영상 기법 간에 비교하였다. 결과: T1-강조영상에서 고주파열치료 병변은 급성기에서만 명확하게 보였다. T2-강조영상에서는 병변은 초급성기를 제외한 모든 시기에서 명확하게 보였다.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에서 병변은 전 시기에 걸쳐 명확하게 보였다. 고주파열치료 병변과 정상간실질의 신호 대잡음비는 전시기에 걸쳐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8.1-12.4)이 T1-강조영상(1.6-2.7)과 T2-강조영상(1.7-6.3)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p < 0.05) T2-강조영상과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의 육안적인 병변 명확도는 비슷하였다. 결론: 초급성기에는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이 T1, T2-강조영상보다 좋은 병변 명확도를 보였고 그 외 시기는 조영증강 Gadolinium 조영증강 T1-강조영상과 T2-강조영상이 비슷한 병변 명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The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 an Update and Seasonal Evaluation

        구명서,송강현,김정은,손석우,장은철,정지훈,김형준,문병권,박록진,예상욱,유창현,홍송유 한국기상학회 2023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59 No.2

        The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 is upgraded to version 4.0, with the advancement of the moistureadvection scheme and physics package, focusing on the global model program (GMP) for seasonal simulation and climatestudies. Compared to the original version 3.1, which was frozen in 2013, the new version shows no Gibbs phenomenon in themoisture and tracer fields by implementing the semi-Lagrangian advection scheme with a better computational efficiency athigher resolution. The performance of the seasonal ensemble simulation (June–August 2017 and December 2016–February2017) is significantly improved by new physics and ancillary data. The advancement is largest in the stratosphere, wherethe cold bias is dramatically reduced and the wind bias of the polar jets is alleviated, especially for the winter hemisphere. Noticeable improvements are also found in tropospheric zonal mean circulation, eddy transport, precipitation, and surface airtemperature. This allows GRIMs version 4.0 to be used not only for long-term climate simulations, but also for subseasonalto-seasonal climate prediction.

      •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 Part Ⅰ. V4.0 업데이트와 계절 검증

        구명서,송강현,김정은,손석우,박상훈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4

        Global/Regional integrated Model system (GRIMs)는 분광변환법 역학코어를 사용하는 전구/지역 통합 대기모형으로 현업 및 연구용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Hong et al. (2013) 에 기반한 전구 GRIMs-V3.1 모형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슈퍼컴퓨터에서 지속적으로 최적화되면서 대한민국 공군의 전구 현업모형으로 운영 중이며, 최근 기상청 현업모형이 된 한국형수치예보모델 (KIM)의 물리과정 개발을 위한 참고모형으로 활용되었다. 연구용으로는 화학모델과 결합하여 화학 기후모형 그룹에 참가하고 있으며 계절내 및 계절 예측 모형 상호비교 프로젝트에도 참가하여 그 수행능력을 비교한 바 있다. 본 연구는 GRIMs-V3.1 모형의 역학과정과 물리과정, 그리고 보조자료를 업데이트 한 GRIMs-V4.0 모형에 대해 계절 예측 검증을 수행하였다. V4.0에는 분광 역학코어의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Gibbs 현상을 제거하기 위해 준라그랑지안 방안을 습윤 이류에 적용하였다. 그 외 대부분의 물리 모수화는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version 4.0 모형에서 사용하는 방안으로 교체하였으며 기후값 등의 보조 자료는 최신 고해상도 고품질 자료를 도입하였다. T126L64 해상도(수평~100 km; 모델 최상층 ~0.3 hPa)에서 2017년 여름 및 겨울 사례에 대해 계절 예측을 수행한 결과, V3.1 대비 대체로 향상된 예측 성능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성층권 온도와 남북방향 에디 등의 오차가 크게 완화되었다. 같은 세션의 Part Ⅱ 발표에서는 업데이트된 모델의 30년 적분에 대한 기후 특성을 분석하였다.

      • KIM 결합모델 개발 현황 및 계획

        구명서,김현주,박준성,이은정,조미현,배수야,박래설,김정한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한국형 전지구 수치예보시스템(Korean Integrated Model, 이하 KIM)을 이용하여 2주 이상 연장중기 예측성능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대기와 지면 경계 간 상호작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Korea Institute of Atmospheric Prediction Systems, 이하 KIAPS)은 적설 층수 확장, 캐노피 효과 도입 등 복잡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지면 모델을 개선하고 해양순환/해빙/하천유수 경계모델을 새롭게 도입하여 예측기간 연장을 위한 KIM 결합모델 개발을 목표로 한다. 현재 초기 개발단계로 각 경계모델의 오프라인 실험과 접합자를 이용한 결합을 수행하고 있으며, 경계모델간 상호작용과 비결합모델 대비 성능차이 분석을 통해 결합 적절성을 확인하고 있다. 그리고 경계모델에 필요한 초기자료 확보, 검증을 위한 관측자료 수집, 연장중기 예측성능 평가방안 개발, 다양한 오프라인/단일기둥모델 실험 등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경계모델 결합을 위한 최적화와 평가기술 개발은 KIAPS 내부 뿐만 아니라 외부 전문가에 의해 동시적으로 수행함으로써 KIM 결합모델의 개발 적절성과 성능 향상을 함께 도모할 계획이다.

      • KCI등재

        독일어 상호대명사 einander의 문법적 특징

        구명 한국독어학회 2008 독어학 Vol.17 No.-

        Im Deutschen gibt es einige Mittel, mit denen man reziproke Beziehungen ausdrücken kann: sich, einander, gegenseitig, wechselseitig u.a. Sich lässt aber außer einer reflexiven Interpretation eine reziproke zu (z.B., Siei/j haben sichi/j / sichj/i geholfen). Gegenseitig und wechselseitig drücken zwar auch reziproke Beziehungen aus, aber sie sind nicht grammatikalisch motiviert. Im Vergleich zu sich und gegenseitig bzw. wechselseitig bezeichnet einander ausschließlich reziproke Beziehungen und ist grammatikalisch motiviert, in dem Sinne, dass einander nur unter bestimmten grammatischen Bedingungen vorkommen kann (z.B., Siei/j haben einanderj/i geholfen). In diesem Aufsatz wurden grammatische Eigenschaften von einander überprüft. Syntaktisch gesehen kann einander nicht im Nominativ stehen und sein Antezedens muss auf der Hierarchie der grammatischen Funktionen, die von Comrie (1981) vorgeschlagen wurde, den höheren Rang einnehmen als einander. Es gibt ein paar Argumente für die Grammatikalisierung von einander. Erstens hat sich einander aus einem zweiteiligen Ausdruck wie ‘eine(r) ... den [der/dem] ander(e)n’ entwickelt (d.h. Univerbierung). Zweitens zeigt einander eine Paradigmatizität wie folgt:[ ] Einander nimmt also syntaktisch eine feste Stelle ein und stellt sich dem Appellativum, dem Pronomen und dem Reflexivpronomen gegenüber. Drittens ist im Laufe der Entwicklung die syntaktische Variablität von einander beschränkt worden: Einander kommt ausschließlich bei einem Antezedens, das bestimmte Bedingungen erfüllt, vor (über Grammatikalisierung vgl. Lehmann 1995).

      • KCI등재

        독일어 인칭대명사 주어에 대한 한국어 대명사 상응표현

        구명 한국독어학회 2023 독어학 Vol.48 No.-

        이 논문에서는 독일어에서 주어가 인칭대명사로 실현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어떤 대명사 상응어가나오며 이 대명사들이 어떤 조건 및 기준에 의해서 분포하는지에 대해 인칭에 따라 살펴보았다. 이때 실제가능한 대화 상황을 보이는 독일과 한국 영화의 대사 및 번역을 쌍방향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1인칭의경우 한국어에서는 가족 및 사회적인 관계에서 화자와 대화상대방의 위계관계에 따라 ‘나/우리’와 ‘저/저희’ 가 구분되어 사용되지만 독일어에서는 이러한 구분 없이 ich와 wir가 사용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인칭의경우에는 친근감의 여부에 따라 du와 Sie로 구분되는데, 한국어에서는 이와 관계없이 지칭 대상에 대한화자의 위계관계 및 평가가 대명사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되고, 이러한 관계 설정은 독일어 3인칭 대명사에상응하는 한국어 대명사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지칭 대상에 대한 화자의 관계 및 평가에 따라 다양하게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한국어 3인칭의 대명사는 대체로 관형사 ‘이/그/저’와 (보조)명사의 결합형으로 분석되는데, 그 형태 및 구성에 따라 문법화의 정도가 상이하다는 특징도 파악하였다. In diesem Aufsatz wird versucht, zu zeigen, welche pronominalen Entsprechungen der deutschen Personalpronomina im Koreanischen zu finden sind, und in welchen kommunikativen Situationen bzw. unter welchen Bedingungen sie auftauchen. Hierfür werden in deutschen und koreanischen Filmen („Good Bye, Lenin!“, „Betonrausch!“, „Parasite“, und „Die Frau im Nebel“) die Verwendung der Personalpronomina und deren Übersetzungen verglichen. Dadurch wurde festgestellt, dass im Koreanischen verschiedene Pronomina nach der verwandtschaftlichen bzw. sozialen Hierarchie zwischen dem Sprecher und dem Gesprächspartner in der 1./2. Person gebraucht werden, während sich im Deutschen nur die Höflichkeitsform Sie in ihrer Verwendung von anderen Pronomina unterscheidet. Auch in der 3. Person spielen im Koreanischen bei der Auswahl des pronominalen Ausdrucks die eben genannte Hierarchie und auch die Bewertung des Sprechers über die Bezeichnete(n) eine entscheidende Rolle. Darüber hinaus kann man beobachten, dass die koreanischen Pronomina in der 3. Person, die meistens aus einem Demonstrativ und einem (abhängigen) Nomen zusammengesetzt sind, mehr oder weniger grammatikalisiert wurden.

      • KCI등재

        독일어와 한국어 이동동사의 은유 비교 -Kommen과 오다, gehen과 가다를 중심으로

        구명철 ( Myung Chul Koo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0 獨逸文學 Vol.114 No.-

        이동동사의 은유 중에는 독일어와 한국어에서 모두 가능한 경우가 있는 반면, 독일어에서는 가능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불가능한 은유가 있고 그 역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러한 불일치는 독일어와 한국어가 각각 상이한 은유체계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은유체계 상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이 논문에서는 독일어와 한국어의 대표적인 이동동사인 kommen과 오다, gehen과 가다의 은유적 용법들을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구분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중 어떤 용법이 상대언어에서 상응하는 표현을 갖는지도 밝히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이동동사의 은유를 다음과 같이 네 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a)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출발점-강조 은유, b)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 강조 은유, c)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 강조 은유, d)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 kommen과 오다의 은유로는 접근, (재)도달, 입학 및 취업, 정해진 위치로의 이동, 유래, 출판, 도달 등이 있고, gehen과 가다의 은유로는 이직 및 해고, 죽음, 우정 및 사랑의 관계, 진행 등이 있다. 이러한 은유들에 대해서는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누어 논의하였는데, 이를 통해 얻게 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kommen과 오다의 은유는 출발점-강조 은유이기 보다는 도착점-강조 은유일 가능성이 높고, gehen과 가다의 은유는 출발점-강조 은유일 가능성이 높다.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도착점-강조 은유와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는 원칙적으로 상대언어에서 상응하는 표현을 찾기 어렵다. 단, 상응하는 문장이 적절히 수정된 경우, 수용 가능한 문장이 되기도 한다.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출발점 강조 및 도착점-강조 은유처럼 두 개의 유의미한 구성요소가 나타내는 경우, 원칙적으로 상대언어에서 상응 하는 표현을 찾을 수 있다. 단, 독일어에서 두 개의 유의미한 구성요소가 나오더라도 영점의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한국어 직역이 불가능한데, 이는 유의미한 구성요소의 개수 때문이 아니라 영점의 이동 때문이다. kommen과 오다의 경우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출발점-강조 은유와 이동 및 과정-강조 은유는 관찰되지 않는 반면, gehen과 가다의 경우에는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지 않는 출발점-강조 은유와 유의미한 이동을 동반하는 도착점-강조 은유가 나타나지 않는다.

      • KCI등재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의 측정과 분석

        구명,여정성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3

        광고리터러시는 일찍이 광고에 대한 인지능력들을 아우르는 개념으로서 연구되었으나, 모바일 광고의 급격한 성장과 변화에 따라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의 리터러시를 새로이 파악할 필요가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정보차 원, 효용․비용차원,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 세 차원으로 구성한 새로운 소비자 모바일광고리터러시 척도를 통 해 성인소비자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각 차원과 세부요소별로 그 수준을 검토하고, 더 나아가 소비자 특성 별로 나타나는 리터러시 차이를 분석하였다. 소비자가 대중매체 광고를 접하면서 얻을 수 있었던 정보차원의 광고리터러시조차 모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저하 되었고, 효용․비용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비용인지능력이 불균형적으로 낮고 요인 간 격차가 큰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기술차원의 광고리터러시에서는 소비자간 격차 발생과, 비용회피를 위한 기술적 조작능력 면에서 인 지측면과 함께 이중의 어려움을 경험함을 도출하였다. 소비자 특성별로는 인구통계학적 기준에 따른 취약계층이 여전히 낮은 리터러시를 보임과 동시에, 기존에는 취약소비자로 인식되지 않던 젊은층과 고학력층 소비자들도 모 바일 광고환경에서는 취약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스마트폰 사용능숙도는 기술차원의 광고리터 러시 외에는 무관하여, 스마트폰 대중화와는 별개로 모바일 광고라는 특정 영역의 리터러시 향상이 필요함을 보 였다.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주관적 인식별로는 효용을 높게, 비용을 낮게 평가한 소비자의 효용․비용차 원의 광고리터러시가 상대적으로 낮아, 리터러시가 낮은 소비자들이 최적수준보다 광고를 더 수용하는 의사결정 을 할 위험성을 발견하였다. 소비자들이 모바일 광고에 대해 상당한 취약점을 보임에 따라, 내용과 대상의 양 면에서 연구 결과에 근거한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함과 동시에, 광고업계의 자발적 협력 중요성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소비자 리터러시 향상과 복지 실현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With rapid growth of mobile advertising market, it is more necessary than ever to make a diagnosis on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This study examined the level of each dimensions and sub-factors of literacy with a newly developed scale, consisting of informational dimension, cost-benefit dimension, and technical dimension.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y consumer groups were also analyzed. The informational dimension of advertising literacy, which was comparatively learnable from mass-media ads, also deteriorated in the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 In the cost-benefit dimension, the level of knowledge on cost was disproportionately low and within that the gap between cost-elements was great. There were consumer gaps within the technical dimension and the level of technical skills to avoid cost was low compared to the skills to utilize benefit, so that consumers experienced the double difficulties in coping with the cost of mobile advertising. In term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vulnerabl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standards showed low literacy as expected, while young and highly educated consumers, who were not recognized as vulnerable consumers in the past, could also be vulnerable to mobile advertising environments. In addition, consumers' proficiency in smartphone use was independent of the literacy level except the one of the technical dimension, which means that a smartphone popularization doesn’t guarantee the high level of consumer advertising literacy on mobile so that separate education is needed. In terms of consumer's subjective perception on mobile ads, consumers who overestimated the benefit and underestimated the cost had relatively low advertising literacy, which means that consumers with low literacy have a risk of making As consumers have considerable weaknesses in mobile adverti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 consum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n terms of both contents and targets, and voluntary cooperation of the advertising industry is also required.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ully utilized to improve consumer literacy so that contribute to consumer welfare re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