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대도시 유동인구 영향요인 분석

        곽호찬,송지영,엄진기,김경태 한국도시철도학회 2018 한국도시철도학회논문집 Vol.6 No.4

        The floating population that is index to figure out dynamic activities in urban area will be important in urban railway planning, but it is not useful because it is collected by posterior method.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floating population. The floating population data that was collected in Seoul for a month in December 2013 is used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is used in modelling. The number of households, number of employees, number of subway stations, and number of bus lines variabl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floating population. 유동인구 자료는 도시의 동적 활동을 파악하는 지표로서, 도시철도 등 교통 분야에서 장기적 측면의 계획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가치가 높다. 하지만 현재 유동인구 자료는 현장 조사 및 이동통신 자료에 기반한 사후 수집 방식으로, 장래 계획 수립에 활용성이 낮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유동인구 예측을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12월에 수집된 서울시 6개 구(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영등포구, 종로구, 중구)의 유동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음이항 회귀모형을 구축하였으며, 모형 구축 결과, 세대수, 종사자수, 지하철 역사수 및 버스 노선수 변수가 유동인구 예측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유동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철도 등 교통 분야의 장기적 계획 수립에 해당 자료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열차 지연 저감을 위한 전방 회차 효과 분석

        곽호찬,송지영,김경민,오석문 한국철도학회 2022 한국철도학회논문집 Vol.25 No.7

        The delay in train operation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the efficiency and reliability of urban railway system. This study aims to propose front turning-back scenario and analyze the effect of train delay reduction. The front turning-back scenario is defined as turning a train in the reverse direction of the existing operation line in front of turning-back station. The simulation analysis is performed based on the network and operation data of Shinbundang line under various disturbance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front turning-back algorithm can be reduce the average delay time by about 18.3~38.4% compared to normal turning-back operation. Especially, the front turning-back algorithm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the operation delay in the high-density urban railway network.

      • KCI등재

        Network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용한 신설도로의 이용가능성 예측모형 개발

        곽호찬,송기한,정성봉,고승영,이성모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4

        When forecasting demand for a new road, a select link analysis is usually used to understand the OD pairs that send trips along paths that use the selected link (i.e., the new road). These OD pairs and their associated volumes are listed in a select link analysis.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about other methods to obtain these results, so experts are almost always dependent on select link analysis results to obtain these res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el with a different approach from select link analysis to obtain the previously mentioned results. Tim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networks are used in this new approach. Select link analysis results are used as a comparison index for the results by the proposed model. Also, two case studies (interzonal trips and intracity trips) are perform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odel. Consequently,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results by the proposed model and the comparison index shows high significance: 0.82. 일반적인 도로사업의 수요예측 과정에서 해당도로구간을 어떤 기종점간을 통행하는 차량들이 얼마만큼 이용하는지 알기 위해서 Select Link Analysis가 주로 이용된다. 하지만 이런 결과에 대한 분석방법으로는 현재 Select Link Analysis만이 거의 유일하게 이용되고 있고, 이 외의 분석방법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각 기종점에서 해당 도로를 이용하여 통행하는 통행량을 알아보는 객관적 자료로서 이 분석방법에 거의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본 연구는 Select Link Analysis와는 다른 접근방법을 통해 신설 도로에 대한 각 기종점별 이용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며, 그 접근방법으로는 Network의 시공간적 특성을 이용하였다. 또한 개발된 모형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모형에 의한 결과에 대한 비교지표로서 Select Link Analysis 결과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지역간 통행과 도시 내부 통행 두 가지의 경우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비교지표와의 상관계수가 0.82 정도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이 유의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유전자 프로그래밍을 이용한 고속도로 사고예측모형

        곽호찬,김동규,고승영,이청원 대한교통학회 2014 大韓交通學會誌 Vol.32 No.4

        The Statistical regression model has been used to construct crash prediction models, despite its limitations inassuming data distribution and functional form. In response to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the statisticalregression models, a few studies based on non-parametric methods such as neural networks have been proposed todevelop crash prediction models. However, these models have a major limitation in that they work as black boxes,and therefore cannot be directly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crash frequency and crash factors. Agenetic programming model can find a solution to a problem without any specified assumptions and remove theblack box effect. Hence, this paper investigates the application of the genetic programming technique to developethe crash prediction model. The data collected from the Gyeongbu expressway during the past three years(2010-2012), were separated into straight and curve sections. The random forest technique was applied to select the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crash occurrence. The genetic programming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variables that were selected by the random forest. To test the goodness of fit of the genetic programming model,the RMSE of each model was compared to that of the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The test results indicatethat the goodness of fit of the genetic programming models is superior to that of the negative binomial models. 전통적인 사고예측모형은 통계적 회귀분석에 주로 의존하였으나, 이는 자료 분포 및 함수 형태에 대한 가정에 따른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연구는 신경망 등의 비모수적 기법을 모형 구축에 활용하였으나, 이는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직접적인 관계 규명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유전자 프로그래밍 기법은 모형 개발에 특별한 가정이필요없고, 사고요인 규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속도로의 사고예측에 유전자 프로그래밍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부고속도로에서 최근 3년간(2010-2012년) 구득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보다 세밀한 사고 특성 규명을 위해 고속도로 구간을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사고 발생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택하기 위하여 랜덤 포레스트 기법을 이용하였으며, 최종 선택된 변수들을 활용하여 사고예측을 위한 유전자 프로그래밍 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의 예측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음이항 회귀모형과 비교해본 결과, 유전자 프로그래밍 모형의 예측 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에서의 공기청정기 현장적용 성능평가

        곽호찬(Ho Chan Kwak),정윤영(Youn Young Jung),김종철(Jong Chul Kim),방승기(Seung Ki Pang),손종렬(Jong Ryeul Sohn) 한국생활환경학회 2009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ol.16 No.6

        In this study, evaluated removal efficiency of indoor air pollutants such as PM₁? (particulate matter), TBC (total bacteria colony), HCHO (formaldehyde), 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 by using air cleaner in smallsized crowd facilities. As the results, the removal efficiency of PM₁? and TBC were shown as 58% and 70%. And also HCHO and TVOC were shown as 60%, 70%. The statistic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cipient PM₁? concentration (no-air cleaner) and after 3 days (apllied air cleaner) PM₁?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shown as correlated. A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incipient TBC, HCHO, TVOC concentrations (no-air cleaner) and after 3 days TBC, HCHO, TVOC concentrations (appllied air cleaner) were significant shown as correlated. I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air cleaners applied on small-sized crowd facilities can help to reduce of indoor air pollutants as effectively

      • KCI등재

        이동통신 자료를 활용한 거시적 교통사고 예측 모형 개발

        곽호찬 ( Ho-chan Kwak ),송지영 ( Ji Young Song ),이인묵 ( In Mook Lee ),이준 ( Jun Lee ) 한국안전학회(구 한국산업안전학회) 2018 한국안전학회지 Vol.33 No.4

        Macroscopic accident analyses have been conducted to incorporate transportation safety into long-term transportation planning. In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exposure variable(e.g. a settled population) have been used as fundamental explanatory variable under the concept that each trip will be subjected to a probable risk of accident. However, a settled population may be embedded error by exclusion of active population concept.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study is to develop macro-level accident prediction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concept of including a settled population and active population) collected from mobile phone data. The concept of accident prediction models is introduced utilizing exposure variable as explanatory variable in a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with assumption of a negative binomial error structure. The goodness of fit of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each models using population and the number of household variables. Also, log transformation models are additionally developed to improve the goodness of fit. The results show that the log transformation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is useful for captur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accident and exposure variable and generally perform better than the models using other existing exposure variables. The developed model using floating population variable can be used to guide transportation safety policy decision makers to allocate resources more efficiently for the regions(or zones) with higher risk and improve urban transportation safety in transportation planning st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