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의 긍정적 자기인식정서 표현에 대한 의미 탐색 - 가정에서 나타나는 영아의 `자부심`을 중심으로 -

        곽승주 ( Kwak Seung-ju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가정의 일상에서 영아의 `자부심`이 나타나는 구체적인 맥락과 의미를 살펴봄으로써 영아기 긍정적 자기인식정서 표현에 관해 탐구하고 이를 통해 가정 및 보육시설에서의 영아 정서 이해 및 지도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토대로 만 2세 영아 3명의 가정에 대한 참여관찰 및 어머니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영아들은 자기 한계에 대한 도전과 성취 맥락에서 자율성 획득을 통해 자부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자부심은 자신의 신체능력을 과시하는 맥락에서 자주 출현하였으며, 이러한 신체적 유능감은 영아의 자부심 발로에 주요한 의미를 지녔다. 셋째, 영아의 자부심은 자신에 대한 과대평가의 맥락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영아의 자부심이 실제-이상 간 불균형 속에서 표현됨을 의미한다. 넷째, 영아의 자부심 표현은 타인을 향한 거부와 배타적 맥락으로 표출됐으며, 이는 영아가 타인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통해 자부심을 고취시킴을 보여준다. 다섯째, 영아는 자신의 긍정적 이미지가 훼손되는 경우, 자부심 손상으로 인한 저항과 분노감 표출하며 긍정적 자아인식에 대한 강한 욕구를 나타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fantile positive self-conscious emotional expression by looking into the concrete context, and meaning of an infant`s `pride` arising in everyday living at home, through which to provide implications to parents` role in response to an infant`s emotion. On the basis of the purpose of research like this,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focus on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ree infants aged under 2, and interviews with the mother.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infants expressed their pride through acquisition of autonomy in the context of a challenge to their limitations, and achievements. Second,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an infant`s pride appeared frequently in the context of showing off its physical ability, and such physical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an infant`s pride expression. Third, an infant`s pride was found to appear in the context of overestimation of itself, which means that an infant`s pride comes into existence in imbalance between reality and ideal. Fourth, an infant`s pride expression surfaced in the context of rejection and exclusiveness towards others, which shows that an infant inspires pride into itself through a negative evaluation of others. Fifth,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in case its positive self image was damaged, the infant displayed a strong desire for positive self-consciousness while expressing resistance and anger due to the damage to its pride.

      • KCI등재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 및 조절에 관한 문화기술적 탐구

        곽승주(Kwak Seung-Ju)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9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어린이집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의 부정적 정서가 어떠한 요인과 맥락 속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상황적 맥락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고 조절되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 및 조절양상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구함으로써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영아와 어머니, 교사 간의 상호작용이 보다 긍정적으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화기술적인 방법으로 2세 영아 3명과 영아들의 어머니, 담임교사 4명의 생활을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참여관찰하고 심층면담 하였다. 그 결과 영아는 부모나 교사의 정서적 관심을 독점하고자 하는 맥락에서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감정분출이나 조절된 신호보내기를 통하여 정서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욕구가 충족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대안선택이나 정서이해받기 등 소통과 이해를 통한 조율이나 감정억제 및 보류를 통하여 정서를 조절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자율성 및 주도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고집 피우기나 목표수정하기 등을 통해 활동에 참여하거나 성인의 안내와 지시에 따르면서 부정적 정서를 조절해 나갔다. 이외 어머니나 교사로부터 거부당하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정서적 관계회복을 위한 보상행동이나 회피행동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완화하는 경향이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ext which gives rise to the negative emotions of two-year-old children shown usually at home and child care center, and to understand how their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regulation are changed or adjusted in accordance with circumstantial contexts.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study with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Participants were 3 two-year-old children and 4 teachers in a child care center, and the children's mothers at ho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when children demanded all the emotional attention, they tended to control themselves through strategies at home such as getting angry and showing negative emotion constantly. On the other hand, at the child care center, they tried to repress and conceal their emotions. When the desire to play was not fully satisfied at home, the negative emotions of children were alleviated and controlled as either children selected various options or their were emotions understood by mother. At the child care center, children controlled their negative emotions and were induced to express themselves in words. In the cases in which children' self-determining capability and leadership were repressed, they tended to alleviate their negative emotions through insisting on what they wanted and carrying through their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they controlled themselves by following the instructions mother and teacher. When ignored and rejected by mother or teachers, children tried to convert their negative images by carrying out actions that were in contrast with those rejected by mother and teacher, and also children were likely to become timid and reclusive as responding to negative emotions.

      • KCI등재

        사랑반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정서적 지원을 위한 전래동요놀이의 협력적 실행

        곽승주 ( Kwak Seung-ju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전래동요놀이를 통해 다문화가정 영아의 언어 및 정서적 지원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참여관찰 및 면담을 중심으로 하는 질적 방법으로써, 연구자가 교육현장에서 다문화가정 영아들에게 전래동요놀이 활동을 전개하는 실행연구방법이 적용되었다. 그 결과 첫째, 전래동요놀이의 실행과정은 단동십훈을 통해 우리 가락, 운율과 마주하기, 주고받는 노래로 전래동요놀이와 친숙해지기, 노래와 움직임이 어우러진 동작놀이로 경험하기, 또래와 함께 하는 집단 놀이로 확장하기, 전래동요놀이 속에서 정서적 위안 및 안정감 찾기로 전개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영아들이 전래동요놀이에 참여함으로써 공감각적 반복을 통한 언어표현의 기회가 증대되었고,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놀이공유를 통해 언어경험이 확장되었으며, 영아와 교사, 어머니의 정서공유 및 정서적 유대감이 강화되는 교육적 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linguistic and emotional support of toddler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play using traditional children’s song. For this, qualitative method was utilized focusing on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Action research was applied in which the researcher would perform the play using traditional songs for multi-cultural toddler in the site of educ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action process of play using traditional song included acclimatization to Korean melody and rhythm through Dandongsiphoon, familiarization with traditional plays by exchanging songs, experiencing the movement plays mixed with songs and movements, and feeling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play using traditional song. Second, the use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 provided the participating multi-cultural toddler with educational significances such as an increased opportunity of linguistic expression through the synesthetic repetition, an expanded linguistic experience in daycare center and home through the sharing of play, and strengthened emotional sharing and bond between toddler and teacher/mother.

      • KCI등재

        영아의 양육지원을 위한 정책 비교 : 한국·스웨덴·일본을 중심으로

        곽승주(Seung Ju, Kwak),강유선(Yu Sun, Kang)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7 교육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영아기 자녀양육지원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과 대책을 모색하고자 자녀양육지원 정책의 모범 국가인 스웨덴과 우리나라와 유사한 사회·문화적 배경 및 행정체제를 가진 일본의 영아 양육지원 정책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영아기 자녀양육을 위한 보육정책의 방향은 부모와 영아의 긍정적 정서관계 돕는 가정중심의 지원으로 정책화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노동시장에서의 모성 및 가족을 지원하는 고용정책이 요구된다. 또한 영아의 양육을 위한 가족정책 측면에서는 보편주의에 입각하여 저소득층 뿐 아니라 보다 많은 가정에 사회·경제적 지원이 제공될 수 있도록 공적지원의 대상범위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자녀수당이나 가족수당 등 보편적이고 질 높은 영아양육을 지원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기반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ill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with South Korea’s policies in support of infant-care, as well as analyze infant-care policies of other nations to find suggestions to propose for improving the quality infant-care policies in South Korea. The proposed policy reforms to improve the support for infant care are listed below. First, the "nurture policy" for rearing of infants must focus on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the infant and the family. Instead of supporting a surrogate nurture method of infant rearing, the policy should be a "family-friendly"approach, which supports the rearing of the child by his/her parent. Second, labor policies must work towards promoting employment policy in support of families and mothers and providing flexible work schedules for female workers. Support for infant care is not only limited to mothers or infants, but it is also very closely related to the labor market and employment policies. Therefore, a policy that actively prosecutes the violation of and supports the compliance of labor laws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the national government must establish an executive structure with legislative and administrative powers to penalize the violation of or to enforce compliance of employment laws as well as establish an incentive system to promote compliance in order to forcefully implement the maternity system. Third, policy in support of infant care should expand the social and economic support through child payment or family payment that is given to families with infants by introducing a universal infant care system. Fourth, support for infant care must be approached with an over-arching policy encompassing the parent and child as well as the family. For this to be realized the different departments in government must coordinate and work very close together. Furthermore, infant care support policy must b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a coordinated effort with the departments supporting women, child, labor, education, and other governmental agencies related to these types of issues. Also, it is important that the established policies be disseminated through media, books, advertisements and campaigns so that the people will understand the policies and the justifications for them. Finally, through the mutual agreement amongst the citizenry on the system, the gap between the system and reality can be narrowed so that the whole society can participat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infant care system.

      • KCI등재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경험 탐색

        곽승주 ( Seungju Kwak ),황인애 ( Inae Hw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하는 어머니들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바람직한 부모역할 및 자녀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재일(在日) 다문화가정 한국 어머니 3명을 대상으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대한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들이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 참여하면서 모국어의 재발견 및 현지어에 대한 새로운 탐색과 배움이 일어났다. 둘째, 그림책을 중심으로 자녀와의 소통이 밀접해지면서 어머니-유아간 정서적 관계가 강화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재활동 참여를 통해 어머니들이 연구자를 멘토로 여기고 정서적 지지 속에서 자녀양육 지원을 받는 것에 큰 의미를 두었다. 넷째, 중재활동 참여과정에서 어머니들이 부모역할 수행을 위한 적극적인 학습자로 변화됨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부모역할과 자녀양육 지원을 위한 구체적 지원방안 및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aimed at seeking an proper way for the parent’s role and children instruction by investigating on the mothers’ experience who participated i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for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Therefore, this research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 interview o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targeting 3 Korea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Japan. As the result, first, mothers had an opportunity to rediscover native language by participating in picture book reading mediation, and could experience new exploration and learning about the local language. Second, they could experience enhancement in the emotional relationship between motherchild as thei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became close through picture book. Third, the mothers considered the researcher as their mentor through participation in mediation activity, and they significantly meant the comprehensive support for child care in the emotional support. Fourth, mothers became more active learners to perform a desirable parent’s role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in mediation activity. Since then,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rete support plan for the parent’s role and child care of multicultural family.

      • KCI등재

        역할놀이영역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 간 정서적 경험 탐구

        곽승주 ( Seung Ju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6 유아교육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역할놀이영역에서 유아들이 어떠한 정서적 경험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또래 간 긍정적 부정적 정서맥락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은 역할놀이영역에서의 놀이관찰과 유아, 교사와의 면담을 토대로한 질적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역할놀이영역의 또래 간 긍정적 정서경험 맥락은 첫째, 유아들은 또래와 다양한 역할과 상황연출에 몰입하는 과정 속에서 극놀이가 주는 조건 없는 즐거움을 경험하였다. 둘째, 비논리성과 미숙함이 수용되는 역할놀이영역의 개방적 놀이맥락은 유아에게 자유로운 발상의 재미와 흥미를 제공하였다. 셋째, 유아가 역할에 대한 과장되고 비약된 표현 들을 통해 정서를 극대화시킴으로써 유머와 익살을 경험할 수 있었다. 한편 부정적 정서경험 맥락은 첫째, 역할과 소품경쟁으로 인해 또래 간의 부정적 정서분출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정서조절을 위해 유아들이 새로운 상황을 연출하거나 역할변신을 시도하는등 다양한 역할전략들을 활용하였다. 셋째, 역할놀이 구성원들이 집단적 동료의식을 통해 또래의 정서맥락을 공유하면서 부정적 정서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hildren``s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in depth by observing how they emotionally experience in role playing with peer and what its meaning i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qualitative method based on children``s play observation shown in the role playing scope and interviews with them and teachers show was carried out. The research results of children``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shown in role playing with peer are as follow: First, the children could enjoy the pleasure as they are immersed in various roles and situation playing with peer. Second, they experienced play that it is difficult to experience in every life and interests in expression through role playing which doesn``t restrict their expression and ban them from it and accepts illogic. Third, they experienced humor through making emotion maximize that imagination, gestures, voice and actions are in harmony. And the research results of children``s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shown in role playing are as follow: First, gushes of strong negative emotion were shown in the peer group due to competition of roles and props. Second, various strategies including setting situations and adjusting roles to adjust negative emotion were utilized. Third, Experiences which understand negative emotion were shown as the members of role playing shared emotional situa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정을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언어 및 정서적 경험의 의미 -재일(在日) 한국-일본 다문화가정을 중심으로-

        곽승주 ( Seung Ju Kwak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연구 Vol.33 No.5

        본 연구목적은 다문화가정을 위한 그림책읽기 중재활동을 통해 유아가 언어적·정서적으로 어떠한 경험을 하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고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가정에서 나타나는 유아-어머니 그림책읽기 장면에 대한 참여관찰 및 면담을 토대로 한 질적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일본인 아버지-한국인 어머니 가정 유아 3명(42개월, 43개월, 50개월)과 그들의 어머니이며, 그림책중재활동은 3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주 1회, 20주 동안 총 60회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언어적 측면에서 첫째, 그림책읽기과정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책읽기에서의 유아역할이 초기 수동적인 역할에서 점차 능동적인 역할로 변화해가며 언어적 표현이 강화되었다. 둘째, 그림책중재활동에서의 경험이 생활과 연계되어 유아의 언어적 표현이 일상으로 확대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그림책 중재활동을 통해 어머니 모국어에 대한 경험이 증가하면서 유아가 한-일 양국의 이중언어 맥락을 보다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었다. 또한 정서적 측면에서는 첫째, 유아가 그림책의 내용이나 그림에 대한 정서적 정황을 발견, 유추하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다양한 정서탐색 및 이해의 경험이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중재활동을 통해 유아가 일본어 뿐 아니라 어머니 모국어인 한국말과 문화에 관심을 가지면서 다문화가정 자녀로서의 이중 정체성에 대해 탐색할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중재활동이 진행되어감에 따라 책읽기에서 유아와 어머니 사이에 정서적 교류와 소통이 활발히 나타나며 긍정적인 부모-자녀 관계가 형성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activity linguistically and emotionally and what are the meanings of children`s picture book reading intervention. Qualitative methods were conducted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of the picture book reading of children-mother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three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Japanese father-Korean mother families. Picture book intervention activities were provided to three children once a week. It lasted for 20 weeks of total 60 times. As a result of the study, linguistically, as th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y was going on, the role of the children changed from passive role into that of active. Second, the experience of picture book intervention activity became related to the real lives, which helped children`s linguistic expression to be expanded to their real lives. Third, the experience of speaking mother-tong language gradually dominated throughout the intervention activity. Children naturally learned bilingual context of Korean-Japanese. In emotional viewpoint, first of all, children explored various emotions throughout the process of finding out and analogizing the emotional aspects of the contents and pictures on the books. Second, children became interested in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out the picture book intervention activity. Children also find out their identities by experiencing the cultural connection with the Japanese culture. Third, as this activity goes on, the emotional communication and interchange were actively done between children and mothers in picture book reading, which makes it possible to form positive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after all.

      • KCI등재

        2세 영아의 정서표현에 관한 문화기술저 탐구

        곽승주(Kwak Seung Ju) 한국육아지원학회 2006 육아지원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일상에서 빈번하게 표출되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심층적이고 맥락적인 이해를 통해 효율적인 영아보육을 도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정과 보육시설에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탐색하였다. 보육시설에서 영아의 부정적 정서는 놀이감이나 놀이영역, 교사의 관심과 애정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으며 교사는 이때 보여지는 부정적 정서표현들을 영아의 언어적․사회적 능력과 기술의 부족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를 교육과 통제의 대상으로 여기고 이를 지속적으로 언어화 시키면서 조절 및 통제에 중점을 두고 상호작용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가정에서의 부정적 정서는 매우 다양하고 자연스럽게 나타났으며 영아는 부정적 정서를 적극적인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어머니는 영아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의사소통의 한 방식으로 이해하였으며 언어적․신체적 상호작용을 통해 부정적 정서표현을 놀이의 단서로 활용하며 긍정적인 정서로 전환시키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nd understand expression of toddler's negative emotions with teachers, peers and mother in context. This study also examined how teachers, peers and mother understand and respond to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Specific questions for the study were as follows. 1. How do toddlers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to teachers and peers in a child-care center? 2. How do toddlers express their negative emotions to their mother in home? The study was carried out as a qualitative study with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s. Participants were a 29-months-old toddler(male) enrolled in a child-care center and two of his teachers, nine peers in his classroom and his mother. Data were collected for 9 weeks from October to December, 2005. Each observation lasted for two hours during greeting time, snack time, free play time and circle time at the child-care center. In addition, the toddler's emotional expression with mother was observed for two hours as he was eating, talking, playing etc. through the daily life in home. A total of 8 observations at the child-care center and 8 observations at home were mad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eachers at the child-care center regarded the child's negative emotion as a sign of his immaturity in social, language, and communication skills. So teachers thought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including crying, yelling, shouting and annoying had to be educated and controlled. They tried to teach ways to suppress and control his negative emotion through the daily life in child-care center. 2. The child used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to secure his position among peers in a child-care center.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was his means of showing himself to occupy toys, playground and teacher's affection among peers. 3. The toddler was free to express his negative emotions to mother because it was regarded as representing what he thinks and feels. Since negative emotion was accepted as natural self-expression in home, the toddler indicated plentiful negative emotion such as anger, jealousy, fear, regret, depression and he communicated and interacted to mother with various negative emotions. Also the mother thought that the child's negative emotions often appeared when he intended to be independent. 4. Toddler's negative expression was often converted to positive emotion as a result of participating in fun plays physically with his moth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parent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acting and educating by considering and understanding toddl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 KCI등재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교사 관계 및 교사역할기대 간 관계

        신인정 ( Jeong Shin ),곽승주 ( Seungju Kwa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수준과 어머니-교사 관계 및 교사 역할기대 간 관련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0-5세 영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45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 전체 수준 및 노동ㆍ휴식권은 높은 인식수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보육교사 관계에 있어 신뢰관계에 대한 인식이 높은데 비해 의사소통 관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들은 보육교사 역할 중 상담 및 정서 지원에 대한 기대가 가장 높고, 연구 및 반성적 실천에 대한 기대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보육교사에 대한 어머니의 교권인식은 교사-어머니 관계 및 교사역할기대 모든 영역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현장에서의 교사-어머니 관계 개선 및 적절한 교사역할 기대에 필요한 교권이해와 부모교육의 구체적 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mothers-teacher relationship, and teacher role expectations for child care teach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458 mothers with children aged 0-5. As a result, first, the overall level of mothers’ perception of the teacher’s authority and the right to work and rest were high.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child care teachers, the perception of trusting relationship was high, but communication relationship was low. Third, mothers had the highest expectations for counseling and emotional support among the role of child care teachers, and low expectations for research and reflective practice. Fourth, a mother’s perception of teacher’s authority toward child care teacher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areas of teacher-mother relationship and teacher role expectat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explore the specific directions of parental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eacher’s rights necessary to improve the teacher-mother relationship and expect an appropriate teacher role in child care settings.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해 본 예비 유아교사의 결혼과 육아에 대한 인식

        하민경(Ha, Min-Kyung),곽승주(Kwak, Seung-Ju),김신영(Kim, Shin-Young)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4 No.3

        본 연구는 은유 분석을 통해 예비 유아 교사의 결혼과 육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수도권의 3년제와 4년제 대학에서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예비 유아 교사 184명이다. 은유 분석 질문지 “결혼은 ~이다. 왜냐하면 ~ 때문이다.”, “육아는 ~이다. 왜냐하면 ~ 때문이다.”에 기술된 은유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혼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은 선택, 새 출발, 현실, 희생, 행복, 협력, 양면성, 기타의 총 8가지로 범주화되었다. 다음으로 육아에 대한 예비 유아 교사의 인식은 희생과 고난, 공동의 책임, 행복한 고생, 행복, 필수교육과정, 제2의 삶, 선택의 문제, 기타의 총 8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젊은 여성들의 결혼과 양육에 대한 인식을 다각적으로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저출산 시대에 직면한 한국사회의 결혼과 육아 문제를 폭넓게 이해하고자 하며, 젊은 세대에게 필요한 보다 실질적인 결혼 및 출산·양육 지원방안을 모색하려 한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erception of marriage and childca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through metaphorical analysis. Subject to the study are 18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attend to three-year colleges and four-year universitie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For the metaphorical analysis, a content which is described in “Marriage is ~ because It is ~ ”, “Childcare is ~ because It is ~ ” was analyzed which the content analysis method. At the metaphorical analysis resul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s awarence of marriage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eight categories: choice, new beginning, reality, sacrifice, happiness, cooperation, both sides, the rest. To the next,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ce of childcare was categorized into a total of eight categories: Sacrifice and hardship , common responsibility, happy suffering, happiness, compulsory curriculum, second life, problems of choice, the rest. This study gave a multifaceted view of the perceptions of marriage and childcare of young women in our society. Through this, we would want to understand widely the problems of marriage and childcare in Korean society in the face of low fertility, and seek more practical ways to support marriage, childbirth and child rearing for the younger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