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정책 분석

        고장완,문소라,위옥정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17 성인계속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고등교육의 국제화에 있어서 관심을 갖고 있는 교육 허브에 관한 논의를 증진시키고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추진 과정과 관련 쟁점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등교육 허브 관련 정책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말레이시아의 교육 허브 조성 과정을 교육허브 정책의 발표 및 시행, 추진 배경, 추진목표와 초점, 추진전략: 국가 계획/정책, 핵심부처 및 추진 주체, 그리고 쟁점 및 과제 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국가주도로 교육허브 정책을 추진하였으며, 특정지역을 선정하여 외국 고등교육기관을 유치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와 유사한 교육 허브 정책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말레이시아의 경우는 교육 허브에 대한 국가주도 전략이 좀 더 거시적이고 장기적이라는 점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허브 추진 방안에 의미있는 시사점을 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가 주도의 구체적인 지향점과 계획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것과 외국 고등교육기관에 대한 질 관리 체제를 마련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코로나19 시대 대학국제화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고장완,박지우 한국성인계속교육학회 2022 성인계속교육연구 Vol.13 No.1

        This study analyzed keywords and topics on how COVID-19 affected th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using news big data and discussed th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in the COVID-19 era. To this end, a total of 649 news reports from February 15, 2020, to February 15, 2022, were subjectively modeled (LDA). Drawing on the five topic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way COVID-19 affected th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most important topic about the university internationalization during the COVID-19 period was related to online education. These discussions included the urgent conversion of non-face-to-face lectures, the issues related to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and discussions on whether to conduct online lectures and face-to-face lectures, which emerged regularly depending on the period. Second, topics on various effects of COVID-19 on universities were also found to be important. It was found that these changes went beyond simple and temporary changes to institutional changes. Third, topics related to the current status and crisis of universities were highlighted. The crisis of universities caused by COVID-19 has appeared in diverse ways. In particular, university financial problems and challenges for local universities have emerged remarkably. Finally, topics about the challenges that students directly encounter also stood out as important. Such challenges include difficulties in taking classes due to online classes, inability to properly lead college life because of limited access to campus, and difficulties related to searching for a job.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본 연구는 대학국제화 관련 뉴스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코로나19가 대학국제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키워드와 토픽을 도출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코로나19 시대와 코로나19 이후 시대의 대학국제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20년 2월 15일부터 2022년 2월 15일까지 보도된 649건의 뉴스를 토픽 모형화(LDA)를 수행하였으며 5개의 토픽을 통해 대학국제화에 코로나19가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먼저, 코로나19 시기의 대학국제화에 대한 가장 중요한 토픽은 온라인 교육과 관련한 것이었다. 이러한 논의들은 긴급한 비대면 강의 전환이나 온라인 강의의 질과 관련한 문제, 시기에 따라 정기적으로 대두된 온라인 강의와 대면 강의 실시 여부에 대한 논의 등을 포함하고 있었다. 둘째, 대학에 대한 다양한 영향에 관한 토픽도 주요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하고 일시적인 변화를 넘어서 제도의 변화까지도 가져온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의 현황과 위기에 관한 토픽이 부각되었다. 코로나19로 인한 대학의 위기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대학재정의 문제나 지방대학의 문제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겪는 어려움에 관한 토픽들도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어려움은 온라인 수업으로 인한 수강의 어려움과 캠퍼스에 대한 제한적 출입으로 대학 생활을 제대로 영위하지 못하게 된 것, 또한 취업과 관련한 어려움 등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특성 및 학습과정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고장완,박수미,유현숙 한국교육개발원 2014 한국교육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close inquiry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learning outcomes and college environment, class engagement,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integration of experiences, focusing in particular on the impact of college environment and classroom engagement on learning outcomes, and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gration of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an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establishment type. Using the data from 18,331 students in 29 universities in 2011, this study employed MAVOVA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ple Group Analysis. This study confirmed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lle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college environ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learning outcomes. This study also confirmed the indirect effects of student-faculty interaction, class engagement and learning outcomes through the medium of integration of experiences. What is more, there are differences in path-coefficient between variables of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by region and establishment type. 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provided academic and political implications. 이 연구는 대학교육의 학습성과와 대학환경, 수업참여, 교수학생 상호작용, 경험의 통합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대학환경과 수업참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경험의 통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인 인과관계가 지역 및 설립유형별 대학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1년도 한국교육개발원 학습과정에 관한 조사에 응답한 전국 29개 대학의 학생 18,331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변량분산분석(MANOVA),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EM), 다중집단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학교환경을 학생들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즉 대학환경이 학습성과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 및 수업참여와 학습성과 사이에 경험의 통합을 매개로 한 간접효과를 확인했다. 그리고 지역 및 설립유형에 따른 대학특성별로 변인들 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제한과 학술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의 대학정보 공시와 그 활용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고장완,유현숙 한국교육정치학회 2010 敎育政治學硏究 Vol.17 No.4

        본 연구는 고등교육에 있어서 정보의 수집, 공개 및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미국의 사례를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재 한국 고등교육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학정보 공시 및 그 활용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보공시를 둘러싼 이해당사자들의 이해관계를분석하기 위해 이해당사자 모형을 활용하였고, 정보의 비대칭성에서 오는 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주인-대리인 이론을 사용하였다. 미국의 경우 고등교육의 정보 수집은 수집 주체에 따라 정부차원,전문기관, 협회 및 대학에 의한 정보수집, 그리고 사설영리기관에 의한 정보수집으로 나눌 수 있으며, 그 활용 역시 각 이해당사자들이 목적에 따라 소비자에 대한 정보제공, 대학의 행․재정적 정책지원을 위한 활용, 대학자체 평가 및 컨설팅에 활용, 그리고 대학 인증자료로서의 활용 등 다양하게 나눌 수 있다. 미국의 대학 정보공시 분석을 통해 이 제도가 이해당사자의 요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고, 또 많은 대리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과 같이 긍정적 측면도 있지만 정보수집및 공시와 관련된 쟁점 역시 남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비판적 검토가 요구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ze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n the United States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on current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in Korea. For the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How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utilized in the USA, and how the information is used to meet the various stakeholder's needs? What would be the implications for the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in Korea?. Stakeholder model and principal-agency theory were used as analytical framework for this study. In the USA, government, professional organizations and associations, and private companies are collect information from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information is used for providing information to consumers including parents and public,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s by government, and for supporting accreditation of institutions. Although higher education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could satisfy the various needs of stakeholder and resolve most of agent problems, some issues are still remained. Related policy implications on higher education system in Korea a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미국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동향분석: 콜로라도와 버지니아의 고등교육 재구조화를 중심으로

        고장완 한국교육정치학회 2008 敎育政治學硏究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of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in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new ways of the funding systems in Colorado and Virginia, and to provide policy implications on current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movements in Korea. With economical difficulties, states' financial strains, and influence of privatization and accountability, states have sought new ways for financial supporting systems. Among them, restructuring higher education finance systems in Colorado and Virginia represent well in terms of reflecting current issues of higher education in the USA. Colorado adopted the vouchers system which provides state appropriation directly to students and parents, not to individual institutions. Virginia's higher education restructuring has featured all public universities and colleges have three levels of autonomy depending on their financial strength and ability to manage their institutions. Currently the Korean higher education is under move entering the new era of systemic restructuring in order to pursue higher quality of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case studies on Colorado and Virginia suggest that the government should change the way of supporting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from supporting few selected elite institutions to support all qualifies institutions based on their abilities and capacities to achieve the nation's goals, and should allow all institutions mor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autonomies so that institutions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the restructuring process. 본 연구는 고등교육 재구조화라는 세계적 흐름과 맥락을 같이하여 최근 미국 고등교육의 재구조화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국의 고등교육재구조화는 민영화 경향과 책무성 강화의 영향으로 대학등록금의 자율화 및 분권화, 바우처 제도의 도입, 헌장대학 및 협력적 계약 방식 등 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표출되고 있다. 콜로라도와 버지니아의 고등교육재구조화 노력은 이러한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어 이 두 주를 대상으로 정책의 형성 배경과 진행과정, 그리고 관련 쟁점을 분석하였다. 콜로라도와 버지니아의 고등교육재정 개혁은 서로 비슷한 문제에서 출발하였으나 사회적ㆍ경제적 여건과 정치적 환경에 따라 콜로라도는 바우처 제도로 버지니아는 협약대학으로 정책이 형성되었다. 이들은 정책의 초점, 적용 대상 및 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모두 책무성 강화를 대학의 자율성과 연계하고 있으며, 특히 주 전체의 책무성 강화를 위하여 모든 공립대학을 개혁 대상으로 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콜로라도와 버지니아의 교육재정개혁이 현재 한국 고등교육 재구조화에 주는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전공계열에 따른 학생참여 및 지각된 학습성과의학년별 차이 분석

        고장완,박수미 한국교육개발원 2016 한국교육 Vol.43 No.1

        Purpose: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engagement behaviors and perceived student learning outcomes and to analyze whether the results are different based on academic disciplines, grade leve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m. Design/methodology/data/approach: To achieve this purpos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of Learning(hereafter NASEL) developed by KEDI was employed. This study constructed a quasi-panel data including a cohort of 487 students(freshmen in 2011, sophomores in 2012, juniors in 2013, and seniors in 2014) based on three rounds of matched samples. A repeated measure ANOVA using the mixed model design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differences existed 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students in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by grade level. Findings/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grade levels exerted effects on all variables within the same academic discipline. That is, as the grade level increased, the estimated averages of student activities including class participation, student-faculty interaction and integration of experiences increased. After examining the differences among academic disciplines, findings revealed tha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only found in major competencies and professional knowledge. Valu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 in the light of investigating the possible longitudinal effects of college educa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tudent engagement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본 연구는 학습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학생참여 변인들과 인문학적 소양, 전공역량 및 전문지식과 같은 학습성과가 전공계열, 학년, 전공계열과 학년의 상호작용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 학생참여 조사도구(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of Learning: 이하 NASEL)를 활용하였으며, 2011학년도 1학년, 2012학년도 2학년, 2013학년도 3학년, 2014학년도 4학년 학생들을 코호트로 하여 3차례에 걸친 결합표집을 통해 총 487명의 유사패널자료를 구축하였다. 전공계열과 학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혼합모형 설계를 통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모든 변인에서 계열 내 학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수업참여, 교수학생 상호작용, 경험의 통합 활동 등은 학년에 따른 추정평균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전공계열 간 차이 분석 결과에서는 전공역량 및 전문지식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즉 공학계열은 인문계열과 사회경상계열, 자연계열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행동적인 측면과 지각된 학습성과에서의 변화가능성에 대한 종단연구로써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