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양교육으로서 원불교의 종교교육 - 원광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고시용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원광대학교의 교양필수 교과목인 '종교와 원불교' 사례를 중심으로 원불교 종교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그에 따른 과제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원광대학교의 종교교육은 1학년을 대상으로 교양필수인 '종교와 원불교'(3학점)를 이수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교양선택으로 '선과 인격수련' 등 5개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전임교원이 시간강사에 비해서 종교관련 교과목 강좌를 많이 담당하고 있다. 원불교학교재연구회에서 발행한 교재인 『종교와 원불교』가 학생들에게 보급된다. 담당교수들은 이를 활용하면서 자량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종교와 원불교』의 내용은 ①종교의 본질을 설명하는 부분, ②한국종교를 소개하는 부분, ③원불교를 소개하는 부분, ④인류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원불교의 입장과 역할로 구성되었다. 이것은 원광대학교가 종교교육을 신앙교육의 하위범주로 설정하지 않고교양교육으로서 종교교육을 지향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아울러 원광대학교의 종교교육 운영현황에 따른 과제는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먼저 필수과목인 '종교와 원불교'를 위시하여 종교교육 관련 선택과목들의 수업목표를 재설정하고 각각 그에 따라서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바람직한 강의계획 수립과 체계적인 수업계획서의 작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세부적인 차원에서 수업내용과 방법이학생들의 지적 수준이나 요구에 잘 맞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종교교육의 특수성을 감안한 전용 수업 공간, 적정 수강인원 배정 등이 필요하다. 넷째, 학생들로 하여금 관심과 호응을 받을 수 있는 새로운 교과목과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바람직한 종교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역량과 열정을 가진 교수를 양성하고 초빙해야 한다.

      • KCI등재

        원불교 법회의 형성과 변천과정

        고시용,장진영 한국신종교학회 2020 신종교연구 Vol.43 No.-

        The most fundamental and core ritual in Won-Buddhism can be said to be dharma meeting or bŏphw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transition of Won-Buddhism’s bŏphwe. The regular dharma meeting or yehwe had been held by the Society for the Study of Buddhadharma in 1924, and since 1945, bŏphwe has become the focus of all ceremonies. Yehwe has a strong character of regular ritual meetings. It was a gateway for community members’ study, practice, congratulations, and condolences such as dharma group meetings, the beginning and closing ceremonies of dharma practice, various memorial ceremonies, deliverance services, and wedding ceremonies. It was also a way to lead the comprehensive study and business, including the resolutions of various opinions. In 1935(Won-Buddhist Year 20), the Ilwonsang was enshrined and proclaimed as Mind-Buddha and Dharmakaya Buddha, and it was also considered as a symbol of the object of faith and the model of practice. Furthermore, as the origin of Buddhadharma was emphasized, its focus was shifted to bŏphw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order of bŏphwe was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increasing the unity of faith and practice based on the strengthening of faith as a whole. For example, as bowing to Dharmakaya Buddha, chanting of Ilwonsang Vow and prayers were located in the first half of bŏphwe ceremony, it can be said that the bŏphwe strengthened the faith, centering on Ilwonsang, the Dharmakaya Buddha. And it can be understood that practice elements were added, such as reading the scripture,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monastery discourse or dharma talk, and dharma Q&A. Besides, since the Guide to Propriety and Won-Buddhist Ceremony published in 1967, the order of bŏphwe has been set and is reaching today. However,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Guide to Propriety and Won-Buddhist Ceremony and its Rules of Rites and Rituals book published in 2012 remains a task to be solved in the future. 법회는 원불교에서 가장 기본이 되고 핵심이 되는 의례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원불교 법회의식의 형성 및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특징을 규명하는 것이다. 1924년(원기9) 불법연구회 창립시기까지 ‘예회’를 진행했으며, 1945년(원기30) 이후 ‘법회’가 모든 의례의 중심이 되고 있다. ‘예회’는 정례회합의 성격이 강하다. 단회, 훈련의 결제와 해제, 각종 기념의례, 천도재 및 결혼식 등 공동체 구성원의 공부, 훈련, 각종 기념 및 애경사는 물론이요, 각종 의견안의 의결 등 공부와 사업 전반을 이끌어가는 장이었다. 그리고 1935 년(원기20)을 거치면서 ‘일원상’이 심불과 법신불로 천명되고 신앙의 대상이자 수행의 표본으로 받들어졌다. 나아가 불법에 대한 연원이 강조되면서 ‘법회’로 그 중심이이동하게 되었다. 원불교 법회식순은 전체적으로 신앙성을 강화하고 신앙과 수행의 통일성을 증대시키는 방향으로 변천되었다. 예컨대 불전헌배, 독경(일원상 서원문), 설명기도 및심고 등이 법회의식의 전반부에 자리함은 법신불 일원상을 중심으로 신앙적 요소가강화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법어봉독, 일상수행의 요법, 경강 혹은 설법, 법의문답 등으로 수행적 요소가 가미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1967년(원기52) 발행된 예전 이후 법회 식순의 큰 틀이 정해져 오늘에이르고 있다. 다만 2012년(원기97) 발간된 예전 집례집과 식순이 불일치한 점은앞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양극화 현상 극복을 위한 원불교 교육의 역할

        고시용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2 No.-

        본 연구는 시대적 과제로 떠오른 양극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원불교의 교리와 역사를 살펴보고 교육의 관점에서 원 불교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양극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원불교의 교리적 근거는 사은 중 부모은의 무 자력자보호의 도와 동포은의 자리이타, 사요의 타자녀교육, 강자약자 진화상 요법, 병든 사회와 그 치료법이 직결된다 고 할 수 있다. 이들은 강자와 약자가 상생상화하고 진급하기 위한 구체적 방안이라고 본다. 아울러 사회적 약자와 소 외계층에 대한 원불교의 구체적인 역할을 교육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원불교는 저축조합, 방언공사, 전재동포구호사업 및 한글보급운동을 필두로 학교법인 원광학원을 비롯한 각급 교육기 관을 설립하여 양극화 극복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고 교육평등을 실현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의 대안학교인 영 산성지고등학교는 물론이요 북한이탈 청소년을 위한 특성화 대안학교인 한겨레중·고등학교의 설립은 높이 평가할 만 하다. 더불어 원광대학교의 1학과 1기업 창업 프로젝트와 (사)삼동인터내셔널, (사)아프리카어린이돕는모임의 저개발 국가 교육낙후지역에 대한 교육지원 사업도 매우 주목된다. 하지만 직접적으로 양극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저축조합을 계승 발전한 현대적 모델운영 등 원불교의 특색이 전면 적으로 드러나는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과 극복방안을 개발하거나 활발하게 가동하고 있지 못한 점은 아 쉽다. 따라서 일원주의에 입각한 새로운 세계관과 경제관을 확립하고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사회활동을 전개하며 종교 시민사회단체들과 연대와 협력을 강화하는 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원불교 전무출신에 대한 연구

        고시용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본 연구는 원불교의 역사적 측면에서 전무출신을 살펴보고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시도되었다. 원불교의 개교와 성장, 발전의 원동력이 전무출신이었으며 그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을 당면과제로 생각했기 때문이다. 전무출신의 원형은‘출가-전무출신-교무-성직자’로 일관(一貫)된다. 전무출신의 출가 동기는 공부였고 원불교의 개교 동기는 파란고해의 일체 생령을 광대무량한 낙원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결국 전무출신은 공부에 전념하면서 회상을 창립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정신과 육신을 오롯이 내놓았다. 또한 전국은 물론이요 세계로 나아가 소태산의 전법사도로서 포부와 경륜을 계승하고 사명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하지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전무출신의 정체성에 중요한 변화가 생겼다. 변화의 중요한 요인으로 공동체생활, 공부와 사업, 결혼, 급여, 품과, 겸직 등을 꼽을 수 있다. 그 변인들을 종합하면“공동체가 해체되고 공부보다 사업·겸직에 치중하며 결혼과 급여, 품과의 선택으로 인해 혼란을 겪는 중”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결국 정남·정녀 위주, 교무 위주의 전무출신으로 귀결되는 추세라고 진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교단의 위기를 간과할 수 없다. 종전의 공동체적 정체성과 공부에 기반을 둔 출가의 의미를 감소시키며, 사회적 공감대의 부재를 가져온다. 이는 전무출신 지원자의 감소로 이어지고 특히 정녀 지원자의 감소는 매우 심각하다. 또한 교단의 구성원들 사이에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결국 전반적으로 비효율성을 초래한다. 오늘날 원불교에서 나타나고 있는 많은 문제들도 전무출신 정체성 혼란의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전무출신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것은 시대적 과제이며 더욱이 지식정보사회의 도래를 맞아 더욱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가‘전무출신의 시대화·생활화·대중화’를 위한 논의를 촉진시키는 기폭제가 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