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상성 속에 있는 죽음: 아도르노의 철학으로 본 코로나 시대의 병든 건강성

        강한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7

        코로나-19 시국에 호명되는 평범한 일상이라는 표어는 코로나 이전의 시기를 정상성의 범주로 규정한다. 정상과 비정상의 이분법으로 현 사태를 보면, 코로나라는 문명사적 파국은 블랙스완의 비유처럼 예측하지 못한 우발적 사건이 된다. 하지만 아도르노는 정상성의 문화가 자연과 동물에 대한 절대적 폭력에 기초해 있다고 말한다. 그에게 정상성은 죽음인데, 그 이유는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잘못된 사회가 타자화시킨 것들에 대한 지배에 기초해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인간의 기대수명은 100세를 바라보고 있다. 하지만 인간의 사회적 주체성, 그 사회적 생명은 그러한 기대수명에 부합하는가? 100세를 산다 한들, 개인이 사회 속에서 자유하지 못하면, 그러한 건강성은 병든 건강성일 뿐이다. 평범한 일상의 회복이라는 표어가 범람하는 요즘, 아도르노와 함께 이 사태를 해석할 때, 우리는 정상성이야말로 죽음이고 평범한 일상이야말로 시대의 질병이라는 진실을 발견하게 된다. 이 글의 목적은 아도르노와 함께 건강성의 모순을 해독하여 정상성의 문화를 사회적 병리의 관점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지성‧과학기술‧동물지배에 대한 아도르노의 성찰을 경유하여, 오늘날 개인이 경험하는 고통은 평범한 일상의 정상성 속에 있는 죽음에 바탕을 두고 있음을 주장할 것이다.

      • KCI등재

        자연 지배적 사회의 기만적 화해: MBN <나는 자연인이다>의 대중 기만적 성격 비평

        강한 한국사회와철학연구회 2024 사회와 철학 Vol.- No.47

        이 글의 목적은 <나는 자연인이다>가 재현하는 자연에서의 화해와 행복의 서사 가 지닌 대중 기만적 성격을 비평하는 것이다. 이 글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과 사회의 대립 관계 속에서 도시의 외부로 재현되는 자연의 직접성은 현대사회가 자연을 지배하는 문명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진실을 은폐한다. 둘째, 매체가 재현하는 자연인의 주체성과 진정성은 사회와 단절된 개인의 절대화로서, 이는 고통과 행복의 문제를 사회가 아니라 개인의 사적 과업으로 탈정치화시킨다. 셋째, 매체가 차용하는 탄생성과 세계성의 모티프, 즉 자연에서 자연인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서사는 타인의 현존 및 다원성과의 단절이 초래한 근본적인 소외 상태에 있는 개인의 고립을 미화한다. 넷째, ‘자연=행복’ 도식은 정치로부터 정화된 사적 자유, 즉 공적인 것을 위해 고민하는 사람 간의 연대 가능성이 없는 탈정치적 삶을 이상화한다. <나는 자연인이다>는 불행을 초래하는 사회를 향해 맞서라는 요청 없이 행복을 약속하고, 불행과 절망을 노력하면 사라지는 덧없는 단계로 재현한다. 이를 통해 현실 사회에서 지속하는 구조적 지배와 억압을 향한 대중의 무관심을 유도한다. 따라서 매체가 제시하는 행복의 약속은 고통을 생산하는 사회가 고통에 대한 인식만이 아니라 사회에 대한 저항마저 금지하는 지배 메커니즘의 일환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ize the mass deception of the narrative of reconciliation and happiness within nature represented in <Into the Wildern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mmediacy of a pure nature represented beyond the city conceals the truth-modern society is rooted in the idea of a nature-dominating civilization. Second, the subjectivity and authenticity of the natural person that the media represents is the absolutization of individuals who are disconnected from society, thus depoliticizing the issues of suffering and happiness, making them an individual’s private burdens rather than society’s. Third, the motif of natality and worldhood adopted by the media, that is, the narrative of being reborn as a natural person within nature, glorifies the isolation of individuals suffering fundamental alienation: the absence of the other and the lack of pluralism. Fourth, the ‘nature = happiness’ schema idealizes private freedom purified from politics, ignoring the fact that a depoliticized life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people who agonize over issues in the public realm. <Into the Wilderness> promises happiness without forcing us to confront the society that causes unhappiness and represents sorrow and despair as fleeting moments that can quickly disappear through effort. Through this, it induces public indifference toward the structural domination and oppression that persists in society. Therefore, the promise of happiness presented by the media is part of the domination mechanism of the society that not only produces the suffering but also prohibits the recognition of suffering and resistance to the false society.

      • KCI등재

        모순 속에 있는 개인 ― 아도르노의 개인 개념의 다층적 고찰 ―

        강한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22 시대와 철학 Vol.33 No.2

        이 글은 개인 파산의 시대, 개인에 대한 질문을 새롭게 제기하기 위 해서 아도르노의 철학을 통해 모순과 착종된 개인을 다층적으로 조명한다. 아도르노의 계보학적 접근은 개인의 역사적 발생과 그 이면에 얽혀있는 경 제적 조건의 제한성을 포착한다. 그것은 개인의 자율성을 부분적으로 허용 했지만, 독점화 단계에서 개인을 경제적 체계에 종속시켜 버리고 만다. 아 도르노의 문화이론적 접근은 산업화된 문화가 개인의 경험을 제한하는 현 실을 포착한다. 과잉 생산과 소비 속에서 범람하는 상품은 새로운 결핍을 끊임없이 생산한다. 이로 인해, 개인의 욕구는 충족이 아닌 결여의 상태에 빠지게 되고, 상품 문화의 획일성 속에서 표준화된 상품형태를 닮아가게 된 다. 아도르노의 정신분석학적 접근은 무력해진 개인의 내적 구조에서 자아 약화가 초래하는 잘못된 투사를 포착한다. 개인의 자아 약화는 자신의 무력 함과 사회적 고립을 해소하기 위해 익명화된 집단의 구성원이 되거나 카리스마적 지도자를 추종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개인은 집단과 지도자의 의견 이 망상일지라도 그러한 의견을 보호하고 강화하기 위해서 그것에 자신을 동일시한다. In order to raise a new question about the individual in the age of the individual’s liquidation,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new perspective on the nature of the individual by focusing on Adorno’s concept to the liquidation of the individual. Adorno’s genealogical approach captures the idea of the historical generation of the individual and the limitations of economic conditions intertwined behind it. Although that conditions partially allowed individual autonomy, in the end, it subordinates the individual to the economic system in the stage of its monopolization. Adorno’s cultural-theoretic approach captures the idea of the reality that the culture industry limits individual experiences. Commodities that overflow amid overproduction and consumption constantly produce new shortages. Due to this circumstance, individual needs fall into a state of lack rather than a state of satisfaction, and they resemble standardized product forms in the uniformity of product culture. Adorno’s psychoanalytic approach captures the idea of the false projection of the ego-weakness in the inner structure of the helpless individual. An individual’s ego-weakness results in its becoming a member of an anonymous group or following a charismatic leader to relieve his powerlessness and social isolation. Individuals, in the delusion, identify themselves with group or leader opinions under the influence of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o protect and reinforce those opinions that they ended up identifying with themselves.

      • KCI등재

        영주댐 유역 토일천 유입 유기물 및 하천 퇴적물에 대한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특성 연구

        강한,송혜원,김영훈,김정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2 자원환경지질 Vol.55 No.5

        하천퇴적물에 포함된 유기 오염물질의 기원은 다양하지만 주로 자연 기원의 산토양과 인위적 기원인 우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영주댐 유역 토일천의 하천퇴적물에 포함된 유기오염물질의 기여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산토양과 우분 및 하천퇴적물의 질소와 탄소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소동위원소비(δ13C) 평균값은 하천퇴적물 –25.17‰, 우분 –22.34‰, 산토양 –26.39‰으로 하천퇴적물은 산토양의 영향을 조금 더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동위원소비(δ15N) 평균값은(‰)는 하천퇴적물 9.46‰, 산토양 1.99‰, 우분 19.53‰이다. 질소동위원소 분석결과에 의하면 토일천 하천 퇴적물은 자연기원의 산토양보다 인위적 기원인 우분의 기여도가 약간 더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영양 용화광산의 광미 및 침출수의 광물학적 및 지화학적 특성 연구

        강한,김영훈,장윤득,김정진,Kang, Han,Kim, Young-Hun,Jang, Yun-Deug,Kim, Jeong-J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2 자원환경지질 Vol.45 No.3

        용화광산의 광미와 침출수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광미로부터 부과될 수 있는 성분을 예측하고, 침출수가 주변하천으로 유입될 때 오염물질의 거리에 따른 변화를 측정하였다. 하천수의 거리에 따른 변화는 갱내수와 침출수가 유출되는 지점에는 대체로 높게 나타나고 하류로 갈수록 이온의 농도는 급격히 낮아진다. 이는 침출수에 비해 훨씬 유량이 많은 비오염하천수에 의한 희석효과 때문이다. 광미는 붉은색과 노란색으로 구분되며 붉은색 광미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일라이트,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약간의 섬아연석이며 노란색 광미는 백운모, 석영, 플럼보자로사이트(Plumbojarosite) 그리고 소량의 황동석(Chalcopyrite)과 섬아연석(Sphalerite)을 포함하고 있다. 침출수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는 Pb, Zn 등은 광미에 포함된 플럼보자로사이트와 섬아연석의 용해작용에 의한 것으로 하천수의 오염에 주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Current study includes the analysis of mine tailings and leachate water and prediction of species originated from the tailings. The variation of contaminants were measured upon the distance from the tailings to the nearby stream. The ions concentration was highest at the tailings and pit mouth and it becomes lower as it goes far away from the origin. This is the reason that the leachate was diluted with the uncontaminated stream water. The tailings were mainly classified into reddish one and yellow one. The main mineral of reddish tailings were quarts, illite, plumbojarosite and a small amount of sphalerite. The main mineral of yellow tailings were muscovite, quarts, plumbojarosite, and a small amount of chalcopyrite and sphalerite. Pb and Zn were found in the leachate in high concentration and become the major contaminants. These come from the dissolution of plumbojarosite and sphalerite contained in the mine tailings.

      • KCI등재

        사유는 저항인가? - 아도르노와 사유의 비판적 자기반성 -

        강한 대한철학회 2019 哲學硏究 Vol.151 No.-

        Thinking would be the love of wisdom as the etymology of philosophy, if today thinking begins with a question sparked by wonders of the world. But when thinking is already locked in coercion, thinking becomes not the love of wisdom but a resistance. In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mind and power that cannot be separated by dichotomy today, Adorno argues that thinking is a resistance to coercion prior to particular content. This paper divides the coercive moments inherent in rationality into the non historicity of thinking, the degeneration of social progress, the facticity of Positivism, and the forgotten correlation between humans and nature. It also critically examines the nature of these moments in the contexts of epistemology, social philosophy and historical philosophy. In the critical self-reflection of aporia which is not separated by dichotomy, a model of resistive thinking is revealed. It has a contemporary significance to present a model of thinking to those who strive to find the driver of criticism and resistance. 만일 오늘날도 사유가 세계의 경이에서 촉발된 물음에서 시작한다면, 사유는 철학의 어원대로 지혜사랑의 활동일 것이다. 그러나 사유가 이미 강압 속에 놓여 있을 때, 사유는 애지적 활동이 아닌 저항적 활동이 된다. 오늘날 이분법으로 분리될 수 없는 정신과 권력의 비대칭적 관계 속에서, 아도르노는 사유가 특수한 내용에 앞서 자체로 부정이며 강압에 맞선 저항임을 주장한다. 본고는 합리성에 내재된 강압적 계기들을 사유의 비역사성‧사회적 진보의 퇴보성・실증주주의 사실성・망각된 자연연관성으로 구별한다. 그리고 이 계기들의 성격을 인식론적・사회철학적・역사철학적 맥락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정신과 권력, 자유와 지배, 의식과 사회가 뒤엉킨 합리성 그 자신의 비판적 자기반성 속에서, 저항으로서 사유의 모델은 드러난다. 이는 오늘날 비판과 저항의 동인을 찾는 이들에게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사유의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폐광산으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를 위한 반응조 실험 연구

        강한,박성민,장윤득,김정진,Kang, Han,Park, Seong-Min,Jang, Yun-Deug,Kim, Jeong-Ji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8 자원환경지질 Vol.41 No.1

        폐광산으로부터 유출되는 산성광산배수 중화처리를 위해 2가지 방법으로 반응조를 설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중화제로 사용한 물질은 방해석이 주 구성광물이여 소량의 돌로마이트를 포함한 석회암이다. 중화 효과는 중화제의 반응 위치와 양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반응조 상부에서 산성광산배수와 중화제를 반응 시킬 때 반응 효과가 더 좋으며 중화제의 양이 많을수록 중화되는 속도가 빠르다. 상부에서 중화제와 반응시킬 경우 산성광산배수로부터 침전되는 침전물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중화제가 전부 소모될 때까지 반응을 지속시킬 수 있다. Two types of reactor were designed to neutralize acid mine drainage flow from closed mine. Limestone used as a neutralizer, which composed mainly of calcite with small amount of dolomite. In general, the effect of neutralization depended upon both the position of reaction and the amount of supply of neutralizer. It was observed that the neutralization was enhanced as the reaction with acid mine drainage occurred at the upper part of reactor with sufficient supply of neutralizer. When the reaction was sustained in upper part of the reactor, the neutralizer was not affected by precipitates and the reaction could last until all of neutralizer was consu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