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국의 유럽회의주의 전통과 유럽사 교육 : 영국의 브렉시트와 역사교육

        강선주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5

        영국은 2016년 6월 23일에 유럽연합(European Union, EU) 탈퇴, 브렉시트(Brexit) 여부를 묻는 국민투표를 실시했고결국 브렉시트를 결정했다. 영국인이 브렉시트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끼친 요인은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영국은 영국과유럽은 전혀 다르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유럽과 거리를 두는 정책을 취해왔고, 이러한 영국의 대유럽 정책은유럽연합에서의소극적 활동은 물론 브렉시트 결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외에 영국 내에서는 영국의 고유한 영국정체성을 강조하는 역사교육이 영국의 미래의 행로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이 있다. 본고에서는 브렉시트를 추동했던 역동성 중의 하나로서 영국의 유럽사 인식과 유럽사 교육을 살펴보았다. 이를위해 본고에서는 첫째, 유럽연합의 유럽사 교육에 대한 영국 정치가들의 반응을 살펴보고, 영국의 유럽회의주의인식의 내력을 검토했다. 둘째, 브렉시트 직전 영국 역사가들의 브렉시트 논쟁을 고찰하고, 실제 영국의 유럽사 교육은어떤시각에서 이루어지고 있는지 들여다 보았다. 영국 정치가들은 유럽연합의 문화정책, 유럽사를 통한 유럽 정체성 함양에 비판적이 태도를 취하고 있는데, 이러한유럽회의주의 시각의 기원은 프랑스 혁명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그러한 시각이 이후 지속적으로 영국의 유럽 정책에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지구사적 연구 방법이 도입되면서 영국 사학계도 영국사를 유럽사, 세계사의 맥락에서연구해야 한다는 주장이 확대되고 있으나, 여전히 영국 예외주의 관점에서 영국사를 연구하고 교육해야 한다고 주장하는연구자들과 정치가들이 있으며, 이들의 시각을 영국 역사교육에 반영하고 있다. 영국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에서유럽사 내용은 점점 축소되고 있으며, 유럽사를 가르치더라도 유럽과는 영국과의 긴장, 갈등, 경쟁이라는 내러티브로, 유럽을 영국의 고유한 정체성에 도전하는 위협 세력이라는 점을 부각시키면서 유럽을 타자화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교육이 영국의 미래를 결정하는 영국인의 정치적 행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영국의 사례는 역사교육이 한 사회의미래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교육을 기획 및 실행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British people have perceived the relationship between European history and British history, and how European history has been taught. On June 23, 2016, Britain voted for a referendum on Brexit. There has been various analyses of what led to the British people’s decision on the Brexit. the analyzes emphasized that economic and political issues were crucial to the decision of the British public. On the other hand, is was reported that nostalgia for the British empire and the British national identity were also important factors. The nationalistic and Eurosceptic perspectives have increasingly grown in the history curriculum and textbooks since the development of the first national curriculum. British history educators argue that these perspectives have influenced British people’s decision on Brexit and worry about the impact that nationalism could have on students. They call for more exposure to other cultures and world views.

      • KCI등재

        고등학교 9종 중국어 교과서의 문화영역 분석

        강선주 한국중국문화학회 2012 中國學論叢 Vol.37 No.-

        本文对于韩国高中学校9种汉语教科书的文化领域进行分析。设定了4个参照点:日常生活文化、基本文化、与韩国文化比较、与课文主题的相关性。分析结果表明:日常生活文化和基本文化方面, 김난미/김정은教科书,최규발/서성教科书表现得最好。与韩国文化比较方面,박용호/심소희教科书,최재영/임영택教科书表现得最好。与课文主题的相关性方面,表现最好的是박덕준/우치갑教科书,우인호/이영미教科书。这个分析只涉及文化方面,不是概括性的总体评价。现行教育课程非常强调学习第二外语时文化的重要性,我们就是从这个角度进行9种教科书的文化方面的分析,并给予这方面的评价。

      • 공공역사와 역사교육 : 제도적 역사교육 기관으로서 박물관의 책임과 역사 전시 방향

        강선주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현대사와 박물관 Vol.3 No.-

        오늘날 인터넷을 통한 소통으로 인해 공공의 장에서 공공역사에 참여하는 형식이나 주체가 달라지고 있다. 이제 공공역사의 주체는 역사 훈련을 받은 역사 전공자만이 아니다. 공공의 장에서 이루어지는 역사하기가 개인과 집단의 역사지식은 물론 역사의식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크게 두 가지를 주장한다. 첫째는 ‘공공역사’와 ‘공공역사가’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둘째는 박물관이 공공역사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박물관을 찾는 사람들이 역사를 과정으로 접할 수 있게, 역사의 복잡성과 복합성을 인식할 수 있게, 역사는 해석이며 논쟁이지만 철저하게 증거와 방법으로 상대주의로 빠지는 것을 경계한다는 점을 관찰할 수 있게, 그리고 역사는 곧 인간에 대한 이야기이며 역사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통찰을 통해 사회에 기여한다는 점을 느낄 수 있게 재현과 교육이 모두 가능한 복합적 전시를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

        강선주,임선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0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23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 to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 control and to find out it’s relationship with gender difference among variables. To this end, data from 307 mothers of children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J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a multi-group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ffects the child's emotional control capacity. Secondly, mother's reaction to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s were found to have mediated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s emotional control capacity. Thirdly, child's gender differences were shown, a boy-mother's non-supportive reaction did not affect his negative emotional control capacity whereas a girl-mother's reaction did affect the child's capacity.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effect of mother's reaction to her child’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but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know that the effect of a mother’s reaction on the child’s emotional control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child’s gender.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의 관계에서 자녀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J도 지역의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하는 유아 307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다집단 구조방정식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와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는데, 구체적으로 남아의 경우 어머니의 비지지적인 반응이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여아는 어머니가 비지지적인 반응을 보일시 부적응적 정서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녀의 부정적인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의 반응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매개함을 보여주고, 어머니의 반응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이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결과를 보였다.

      •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의 내용 선정 방안

        강선주 한국역사교육학회 2006 역사교육연구 Vol.- No.3

        최근 교육과정 개정 작업에서 고등학교 심화 선택 과목을 무엇으로 할 것인가가 새롭게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동서 문명 교류사’가 선택과목으로 거론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교양 강좌에서도 ‘동서 문명 교류사’가 개설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고등학교 2,3학년의 선택과목으로서, 또는 대학의 교양 강좌로서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의 내용을 선정하고 구성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는 내용 선정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본고는 문화적 접촉과 교류의 역사라는 주제사의 범주를 우선 상호관련성의 역사와 문화사로 제안하며, 그 범주 안에서 내용을 분류ㆍ통합하는 아이디어로서 ‘접촉과 교류가 이루어졌을만한 방식’, ‘충돌 혹은 교류되었을만한 문물’을 제안한다. 그리고 구체적인 내용선정의 기준들로서 상호관련성의 역사의 관점에서는 ‘과거인에게 중요한 문화적 접촉과 교류’, ‘많은 사람들에게 혹은 지속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친 문화적 접촉과 교류’, ‘현재 세계의 문화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문화적 접촉과 교류’를 제안하고, 문화사적 관점에서는 ‘차용거부’, ‘문화 혼합 과정’, ’문화 번역’ 등의 개념을 제안한다. In the current discussion about the National Curriculum, history of “Cultural contact and exchange” has been suggested as one of elective courses in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t has also been a popular course as an elective from a perspective of liberal education in many universities. In this rela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importance of teaching history of cultural contact and exchange and attempts to suggest organizing themes and concepts in the course in history of cultural contact and exchange. As organizing themes this article suggests ‘interconnectedness’ and ‘cultural history’ and as organizing concepts, both “ways of cultural exchange that might have existed” : long-distance trade, empire building war, migration, long-distance journey and “things and ideas that might have been crashed or exchanged.” : technologies, religions, food, diseases, ideas etc.

      • KCI등재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강선주 역사교육학회 2012 역사교육논집 Vol.49 No.-

        The role of place in teaching history i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field trips” in which students usually look around without any structured learning process of history. Historic places have historical evidences from which students can make historical inferences to how the past people in this place lived, thought, and solved their problems. In doing so, students can develop historical thinking and expand their historical understanding. Furthermore, they can learn how to solve past and present problems creatively. This article attempts to define what creativity is in the subject of history, and how it is related to historical imagination, and suggests how creativity can be developed in students by engaging them in an inquiry into and trips to historic plac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