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형 만성활동성간염 환자에서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강상중,오세진,임동현,권수경,윤병철,이상욱,한병훈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1999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4 No.1

        C형 만성활동성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은 효과적인 치료제로 알려져 있으나 인터페론의 투여량과 투여기간에 관한 표준요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를 설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알파 인터페론 300만 Unit를 주 3회 총 24주간을 투여한 후 혈청 ALT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대상환자의 66.7%에서 ALT의 정상화를 보였고 ALT의 평균 정상화 기간은 2.81개월이었다. 치료 종료 후 6개월의 추적기간 중에 반응군의 38.3%에서 ALT의 재 상승이 관찰되었고 평균 재발기간은 3.3개월이었다. 치료반응의 예측인자로는 발병기간, r-GTP 및 간 조직 손상정도가 관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파 인터페론은 C형 만성간염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며 치료 후 재발률과 이에 관여하는 인자는 보다 더 장기적인 추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 A Study on The Efficacy of Alpha Interferon in Chronic Active Hepatitis C

        Kang, Sang Jung,Oh, Se Jin,Lim, Dong Hyun,Kwon, Su Kyung,Yun, Byung Cheol,Lee, Sang Uk,Han, Byung-Hoon 고신대학교 의학부 1999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4 No.1-2

        C형 만성활동성간염 환자에서 인터페론은 효과적인 치료제로 알려져 있으나 인터페론의 투여량과 투여기간에 관한 표준요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알파 인터페론의 치료효과를 평가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를 설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5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알파 인터페론 300만 Unit를 주 3회 총 24주간을 투여한 후 혈청 ALT의 변화를 관찰하였는데 대상환자의 66.7%에서 ALT의 정상화를 보였고 ALT의 평균 정상화 기간은 281개월이었다. 치료 종료 후 6개월의 추적기간 중에 반응군의 33.3%에서 ALT의 재 상승이 관찰되었고 평균 재발기간은 3.3개월이었다. 치료반응의 예측인자로는 발병기간, r-GTP 및 간 조직 손상정도가 관여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알파 인터페론은 C형 만성간염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며 치료 후 재발률과 이에 관여하는 인자는 보다 더 장기적인 추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체지방 분포와 대사위험 인자들과의 연관성

        오세진,강상중,송수근,임동현,김성만,최영식,박요한,차형수 고신대학교 의학부 2000 高神大學校 醫學部 論文集 Vol.15 No.1

        Background Obesity is the prevalent disorder and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because it is a significant forerunner of major chronic debilitating metabolic disease including diabetes, hypertension, lipid disorders and coronary artherosclerosis. Recently many studies shows that upper-body obesity, particulary increased visceral, abdominal fat, i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metaboloc risk facto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body fat and its distribution to metaboloc risk factors a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waist circumference as a new indices of intraabdominal fat distribution. Methods Forty-one non-diabetic patients who visited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Kosin Medical Center from March, 1998 to June, 1998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 obese group (BMI≥25㎏/m^(2)) and non obese group (BMI<25㎏/m^(2)) also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W) : center obese group (W>94㎝ in men and W>80㎝ in women) and central non onese group (W≤94㎝ in men and W≤80㎝ in women). The amount of body fat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ence method. Insulin resistance was calculat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Results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obese group W and waist/hip ratio (WHP). basal insulin level in men and Smin, C-peptide and atherogenic index in women of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group (p<0.05). Insulin resistance, fat weight and lean body mas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group in both sexes (p<0.05). 2) In central obese group BMI, basal insulin level, insulin resistance, fat weight and lean body mass in men and atherogenic index in wo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central non-obese group. WHR in the central obese type group was higher than of central non-obese group in both sexes (p<0.05). 3)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r=0.32, p<0.05), diastolic blood pressure (r=0.36, p<0.05), insulin resistance (r=0.39, p<0.05), waist circumference (r=0.61, p<0.05), percentage of body fat (r=0.32, p<0.05), fat weight (r=0.61, p<0.01) and lean body mess (r=0.54,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r=0.76, p<0.01). 4) Waist circumfer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r=0.46,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 (r=0.37, p<0.05), fat weight (r=0.37, p<0.05), lean body mass (r=0.37, p<0.05), and WHR (r=0.82, p<0.01). 5) WH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tabolic risk factors except systolic blood pressure (r=0.39, p<0.05). 6) Fat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stolic blood pressure (r=0.36, p<0.05), insulin resistance (r=0.53, p<0.01), basal insulin level (r=0.53, p<0.01),and percentage of body fat. Percentage of body f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stolic blood pressure (r=0.33, p<0.05), and insulin resistance (r=0.44, p<0.01). Conclusion Conclusively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WH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and waist circumference appeared more useful than WHR.

      • KCI등재

        샅의 층 구조 이해를 돕기 위한 교육용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이승연,강상중,허미선,김혜진,윤관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4

        Perineum is a clinically important but difficult site to dissect. Because the cadaver is limited in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elvis and learning the perineal region layer structure, so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using anatomical supplementary materials is essential. The illustration of anatomy atlas could be misunderstood that the urogenital triangle and anal triangle are in parallel position. Anatomical 3D training materials are cumbersome and difficult to see because of the user’s environment in which the necessary parts must be config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perineal region layer structure. Therefore, I will study educational pictures that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existing supplementary materials for health workers who are learning anatomy. The illustrations I studied are the urogenital triangle, anal triangle, pelvic bone, pelvic floor, deep perineal space, superficial perineal space, perineum, perineal layer section, perineal layer sequence. These have the following advantages. It is possible to see the perineal region layer structure at a time while maintaining the shape of the pelvis. Conceptually identify structures that are difficult to observe in the cadaver. Identify deep perineal space and superficial perineal space and look at the structures located in each space. Complements the sagittal and coronal sections illustrations in the anatomy atlas. In educational posters, you can find all the perineal region layer structure. Educational PDF lets you turn layers on or off. This must be done by the learner and enables intuitive learning. In the next study, it is suggested to create educational illustrations by extending to the pelvic organs, blood vessels, and ner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useful educational illustration for a three-dimensional understanding of the perineal region layer structure. 샅은 임상적으로 중요하지만 해부하기 어려운 부위이다. 해부용 시신에서는 골반 모양을 유지하며 샅을 학습하는 데 한계가 있어 해부학 교보재를 이용한 입체적인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해부학 그림책의 일러스트레이션은 비뇨생식부위와 항문부위가 나란한 위치에 있는 것으로 잘못 이해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해부학 3D 교육 자료는 필요한 부위를 일일이 구성해야 하는 사용자 환경으로 인해 번거롭고 직관성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해부학을 학습하는 보건의료인을 대상으로 기존 교보재의 한계를 보완한 교육용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여 샅의 층구조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해부학 교보재를 참고해 기존 해부학 그림책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방향을 선정하여 샅의 층 구조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였다. 비뇨생식부위, 항문부위, 골반뼈, 골반가로막, 깊은샅공간, 얕은샅공간, 샅, 샅의 층 단면, 샅의 층 순서를 각각 제작하였으며 연구 결과물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골반의 모양을 유지한 상태로 샅의 층 구조를 한 번에 볼 수 있고 해부용 시신에서 관찰하기 어려운 구조물을 개념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각 공간에 위치하는 구조물을 보며 깊은샅공간과 얕은샅공간의 범위를 파악할 수 있고 해부학 그림책의 시상단면과 관상단면 일러스트레이션을 보완하여 학습할 수 있다. 교육용 포스터로 샅의 층 구조를 모두 찾아볼 수 있으며 교육용 PDF는 학습자가 직접 레이어를 활성화시켜보며 직관적인 학습을 할 수 있다. 후속 연구를 통해 골반 장기와 혈관 및 신경까지 확장한 교육용 일러스트레이션 및 다양한 교육용 자료의 제작을 제안하며 본 연구의 결과물이 샅의 층 구조를 입체적으로 이해하는 데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체지방 분포와 대사위험 인자들과의 연관성

        오세진,강상중,송수근,임동현,김성만,최영식,박요한,차형수 고신대학교(의대)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2000 고신대학교 의과대학 학술지 Vol.15 No.1

        Background : Obesity is the prevalent disorder and is a serious public health concern because it is a significant forerunner of major chronic debilitating metabolic disease including diabetes, hypertension, lipid disorders and coronary artherosclerosis. Recently many studies shows that upper-body obesity, particulary increased visceral, abdominal fat, is most strongly associ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of body fat and its distribution to metabolic risk factors and the clinical usefulness of waist circumference as a new indices of intra-abdominal fat distribution. Methods : Forty-one non-diabetic patients who visited to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Kosin Medical Center from March, 1998 to June, 1998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BMI) : obese group (BMI≥25kg/m2) and non obese group (BMI<25kg/m2) also were divided into two group according to the waist circumference (W) : center obese group (W>94cm in men and W>80cm in women) and central non obese group (W≤94cm in men and W≤80cm in women). The amount of body fat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ence method. Insulin resistance was calculated by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Results : The result were as follows. 1) In obese group W and waist/hip ratio (WHP), basal insulin level in men and Smin, C-peptide and atherogenic index in women of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group (p<0.05). Insulin resistance, fat weight and lean body mass in the obese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non-obese group in both sexes (p<0.05). 2) In central obese group BMI, basal insulin level, insulin resistance, fat weight and lean body mass in men and atherogenic index in women were higher than those of central non-obese group. WHR in the central obese type group was higher than of central non-obese group in both sexes (p<0.05). 3) BM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r=0.32, p<0.05), diastolic blood pressure (r=0.36, p<0.05), insulin resistance (r=0.39, p<0.05), waist circumference (r=0.61, p<0.01), percentage of body fat (r=0.32, p<0.05), fat weight (r=0.61, p<0.01) and lean body mass (r=0.54,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cholesterol (r=-0.76, p<0.01). 4) Waist circumfer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r=0.46, p<0.01), diastolic blood pressure (r=0.37, p<0.05), fat weight (r=0.37, p<0.05), lean body mass (r=0.37, p<0.05), and WHR (r=0.82, p<0.01). 5) WHR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metabolic risk factors except systolic blood pressure (r=0.39, p<0.05). 6) Fat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iastolic blood pressure (r=0.36, p<0.05), insulin resistance (r=0.53, p<0.01), basal insulin level (r=0.53, p<0.01), and percentage of body fat. Conclusion : Conclusively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WHR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metabolic risk factors and waist circumference appeared more useful than WHR.

      • KCI등재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의 교육용 일러스트레이션 제작

        양선형,김혜진,강상중,김민주,허미선,윤관현 대한체질인류학회 2023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36 No.1

        For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the applied approach may vary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kidney tumor or the patient’s condition. For each approach, the structures to be checked during surgery are different. When learning surgery, if only images or videos of actual surgical scenes are used, the field of view is narrow and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structures, which may lead to poor understanding of the operation. In this learning process, the use of appropriate illustrations can help in a more effective education.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urgical method, the development of the illustration must also be progressed, so that the effect can be expected m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reate a surgical illustration to help understand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by deriving limitations through the existing surgical illustration analysis process and establishing a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llustrations of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in urological surgery textbooks, the limitations were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illustration production was established. The main improvements were the complement of black-and-white and cross-sectional illustrations, the need for illustrations reflecting recent surgical methods, and the need for development due to the lack of visual data on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The created illustration was edited with an atlas to be used as educational material and based on this, a presentation file was produced so that it could be used freely outside the limits of place and time. Also, an educational poster was produced to compare and view the surgical methods of the transperitoneal approach and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It is expected that the illustration of laparoscopic partial nephrectom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nd educational materials produced based on it will be provided so that it will be possible to effectively learn and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surgery for medical professionals and medical science students learning surgery.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은 콩팥의 종양 위치나 환자의 조건에 따라 적용되는 접근법이 달라질 수 있다. 접근법마다 수술 시 확인해야 하는 구조들이 달라진다. 수술을 학습할 때 실제 수술 장면의 사진이나 영상만을 사용하면 시야가 좁고 구조 간의 구별이 어려워 수술에 대한 이해가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학습 과정에서 적절한 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은 보다 효과적인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수술 방법의 발전에 따라 일러스트레이션의 발전 역시 함께 진행되어야 그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수술 일러스트레이션 분석 과정을 통해 한계점을 도출하고 발전 방향성을 구축하여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술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비뇨기과수술 교재의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에 관한 일러스트레이션 분석을 통해 한계점을 도출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 방향성을 구축하였다. 흑백과 단면 일러스트레이션의 보완, 최근의 수술 방법을 반영한 일러스트레이션의 필요, 뒤복막접근법을 포함한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의 시각자료의 부족으로 인한 개발의 필요성을 주요 개선점으로 잡아 콩팥부분절제술의 복막경유접근법과 뒤복막접근법 각각의 수술 방법을 설명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의 제작을 계획하였다. 제작된 일러스트레이션은 교육 자료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아틀라스로 편집을 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장소와 시간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유로이 사용될 수 있도록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제작하였다. 또한, 복막경유접근법과 뒤복막접근법의 수술 방법을 한눈에 비교하며 볼 수 있는 교육용 포스터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복강경 콩팥부분절제술의 일러스트레이션과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교육 자료를 제공하므로 수술을 학습하는 의료인이나 의과학학생들에게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여 수술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