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할기반 접근제어 기반에서의 중복 및 협의에 의한 권한 위임 모델

        강병헌(Byung-Heon Kang),전준철(Jun-Cheol Jeon),유기영(Kee-Young Yo)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Ⅰ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는 기업, 정부, 은행 등의 계층적 역할을 구성하는 다양한 조직체계에서 보안 관리의 비용이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는 접근통제 메커니즘으로 기존의 임의적 접근제어 (DAC)나 강제적 접근제어 기능을 포괄하는 접근제어 기법으로 각광 받고 있다. 또한 RBAC은 기업의 관리규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위임과 철회 기법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RBAC에서의 위임 정책은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완벽한 위임 모델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실제 조직체계에서 위임받은 사용자가 부재일 경우 이는 업무공백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업무 또는 중요 한 사안에 대한 업무의 경우 사용자 단독 권한 위임은 권한 남용의 소지가 있다.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업무의 공백 최소화와 감시감독 기능의 강화를 위한 중복 권한 위잉 모델과 상호공유가 필요한 업무와 중요한 사안의 결정에 적용 가능한 협의에 의한 권한 위임 모델을 제시한다.

      • KCI등재

        1950년대 국내 한국어교육에서 개신교 선교단체의 역할에 대한 사적 고찰 -한국어교육 주체의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

        강병헌 ( Kang Byoung Houn ),강승혜 ( Kang Seung 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5 No.-

        This study is to discover how Protestant mission organizations in Korea had influenced the found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in 1950s. Foreign protestant mission organizations in Korea founded a Korean language school for newly-arrived missionaries in 1920. Since the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 was mainly led by foreign protestant missionaries, whereas the role of Korean native instructors was very minimal and therefore had been almost unknown. However, various meeting minutes, official reports and correspondences from the two leading mission organizations, North Presbyterians and Methodists, proved that there was, in fact, considerable contribution by Korean native instru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foreign missionaries throughout 1950s. Firstly, this paper reveals the change of the role of Korean native instructor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 missionaries in 1950s. Secondly, the identities of two cooperative committees, the Language Consultation Committee and the Language Course Committee, are introduced in the context of the discussion concerning the Korean language programs for foreign missionaries in Yonsei University. Lastly, the list of requests to Yonsei University by the mission organizations representing missionary learners is identified.

      • KCI등재
      • KCI등재

        태변복막염으로 진단된 환아의 산전진단 및 출생 후 임상경과에 대한 고찰

        강병헌 ( Byung Hun Kang ),노흥태 ( Heung Tae Noh ),이윤이 ( Yun Ee Rhee ),이기환 ( Ki Hwan Lee ),고영복 ( Young Bok Ko ),양정보 ( Jung Bo Yang ),이경은 ( Kyung Eun Lee ),이건우 ( Kun Woo Lee ),이민아 ( Min A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201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3 No.2

        목적: 생후 태변성 복막염으로 진단된 신생아의 산전 초음파 소견과 생후 임상적 경과와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생후 수술로서 태변성 복막염으로 확진된 신생아와 산모의 의무기록을 토대로 산전 초음파 소견, 생후 이학적 및 방사선학적 소견, 수술 소견, 수술 후 예후에 관해 조사하였다. 결과: 14명의 신생아가 생후 수술로서 태변성 복막염으로 확진되었고, 이 중 8예는 분만 직전 산전 초음파상 복수와 함께 석회화 및 확장성 장팽창 또는 고에코성 장 루프 소견을 보여 산전에 진단이 가능하였고, 6예에서는 산전 초음파에서 복수 소견만을 보였다. 출생 후 수술까지의 평균기간은 2.2±0.6일이었고, 1예에서 출생 당일에 수술을 받았는데, 소장의 이상회전과장 염전, 감돈으로 인한 소장 천공이 동반되어 있었고, 11예에서 회장의 폐쇄와 천공이, 3예에서 공장의 폐쇄와 천공이 있었으며, 산전 초음파 소견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회장루 조성술과 이차적인 장 문합술을 받은 경우가 4예가 있었으나, 모든 환아의 생존율은 100%였고 수술 후 6개월의 추적 관찰에서 특별한 합병증 없이 정상적인 성장 발달을 보였다. 결론: 생후 태변성 복막염으로 진단된 모든 경우에 전형적인 산전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 것이 아니므로 산전에 복수 소견만을 보이는 경우에도 태변성 복막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 태변성 복막염을 지닌 신생아들의 생존율이 아주 높았으며 이는 여러 임상과의 정확하고 신속한 협진을 통해 가능했다고 생각되며 본원의 자료가 향후 산전상담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Objective: To detect meconium peritonitis for the fetal period is important for prenatal counsel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enatal ultrasound finding for diagnosing meconium peritonitis and postnatal clinical course and outcomes. Methods: The prenatal and postnatal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to our institutions with confirmed meconium peritonitis were reviewed, with emphasis on prenatal ultrasound findings, postnatal investigations, operative findings, outcomes of meconium peritonitis. Results: Fourteen fetuses were confirmed to have meconium peritonitis at birth by operation. Eight cases were diagnosed correctly because of prenatal ultrasound showing ascites and calcification/dilated or hyperechoic bowel loops. In the other 6 cases, prenatal ultrasound showed only ascites. One patient was operated on first day of life and its intra-operative finding was malrotation of small bowel, volvulus with strangulation, perforation and jejunal atresia. Most cases were operated on 2nd or 3rd day of life. Intra-operative findings were ileal atresia and perforation in 11 cases and jejunal atresia and perforation in 3 cases. Four patients underwent ileostomy but all patients survived and prospered. Conclusion: All patients do not present typical prenatal ultrasound findings of meconium peritonitis. Therefore, even in pregnancies associated with isolated ascites, meconium peritoniti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avorable outcome of intrauterine meconium peritonitis is reassuring in prenatal counselling and stems from multidisplinary team approach.

      • KCI등재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 분석

        주월랑(Ju, Woal Rang),강병헌(Kang, Byoung Houn)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0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중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관련 연구 113편을 선정하였다. 이후 연도별, 연구 주제별, 담화 유형별, 연구 방법별 및 워드 클라우드(Wordcloud)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 동향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도별 추이를 살핀 결과,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연구는 2020년 현재까지 양적으로 많은 성과물이 있지는 않으나,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어 향후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 주제별 분석 결과, 가장 많은 논의가 이루어진 주제는 한국어 말하기의 교육 방안에 관한 것이었다. 말하기 담화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연구들이 학습자의 발표와 토론 자료를 중심으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에는 평가와 관련된 논의가 많이 이루어졌다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연구 방법별 분석 결과, 학술지 게재 논문의 경우에는 연구 방법으로 조사 연구를 채택한 논문이 많았지만, 학위 논문의 연구 방법으로는 교재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학위 논문과 학술지 게재 논문 모두 교육 방안에 초점을 둔 연구들이 주를 이루고 있고, 특히 한국어 학습자의 발표와 토론 자료를 중점적으로 논의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and to suggest a research direction for this area of the studies in the future. For these purposes, we selected 113 previous studies on Korean speaking competence for academic purposes including the master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the academic journals from the year 2003 to 2020 which are available in the RISS system. Afterwards we analyzed them by various categories such as a year, a research subject, a discourse pattern and a research method and finally by the Word Cloud progra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by yea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conducted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until now. However it also shows a constant increase in recent years and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steadily in the future. The analysis results by research subjects showed it was the education methods that the majority of studies focused on as the main research subject.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by discourse patterns, most of the studies selected the presentation and the discussion pattern respectively as the main discourse patterns to discuss. The analysis result by research methods showed that the studies in the academic journals mainly adapted the research study method and whereas the dissertations adapted the teaching material analysis as the main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using the Word Cloud program visually presents that both the dissertations and the studies in the academic journals were all focused o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cusing on the presentations and the discussions. These above mentioned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the future studie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should be diversified in discussing various discourse patterns and als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ent education methods.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up-to-date research trends and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on Korean speaking for academic purposes.

      • KCI등재

        가임기 비임신 성인 남녀의 모유수유에 대한 주관적 인식

        차은석 ( Eun Seok Cha ),강병헌 ( Byung Hun Kang ),이인실 ( In Sil Lee )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020 주관성연구 Vol.- No.53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론을 적용하여 가임기 비임신 성인 남녀의 모유수유에 대한 인식유형과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172개의 진술문에서 최종적으로 확정한 33개의 Q 표본을 이용하여 2019년 7월 1일에서 12월 17까지 출산경험이 없는 젊은 성인 남녀 39명의 P 표본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PC-QUAN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1유형은 자신의 가치관에 기준한 ‘나(행위자) 중심형’이다. 자신 우선주의적 가치관을 가지고 있으며, 모유수유에 대한 의무감과 전통적 여성의 성 역할에 부정적 견해를 가지고 있다. 제2유형은 모성애에 기반한 ‘우리 중심형’이다. 모유수유를 여성의 성 역할로 인식하지만, 자신과 가까운 관계를 위협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제3유형은 현실성, 효율성을 고려한 ‘합리성 중시형’이다. 모유수유를 건강행위 관점에서 효율성 여부에 따라 지속할 생각이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건강행위 주체의 인식유형별 특성을 반영한 모유수유 정책 개발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using Q-methodology explored the breastfeeding perceptions in single young adults of childbearing age. Of 172 concourse, 33 statements were extracted as Q-sample representing the universe of viewpoints on breastfeeding. Data were then collected from P-sample consisting of 39 young single adults who had no experience of childbirth between July 1st, 2019, and December 17th, 2019.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C_QUANL program. Three factors were revealed by Varimax (orthogonal) rotation. Factor 1 was ‘doer-focused’ that valued self-worth and possessed a negative attitude on breastfeeding as maternal responsibility. Factor 2 was ‘family-focused’ that valued maternal love as well as a partnership as a couple. Factor 3 was ‘efficacy-focused’ who pursed practicality and rationality. The findings provided the basis of client-centered breastfeeding policy and campaign.

      • CNN을 이용한 심리 상담 서비스에 관한 연구

        김정욱 ( Jungwook Kim ),강병헌 ( Byunghun Kang ),김민규 ( Mingyu Kim ),유승한 ( Seunghan Yoo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CNN(Convolution Neural Network)은 합성곱(Convolution)을 이용해서 시각적 이미지를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인공지능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CNN을 이용한 실시간 심리 상담 서비스에 대해 논한다. 상담서비스에 심리학과 CNN을 접목시킴으로써 내담자의 사진을 심리학적 비언어 행동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내담자의 예상 심리를 파악하고, 유의미한 상담 자료를 생성해 상담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 KCI등재

        걷기운동이 정상인과 제 2 형 당뇨병 환자의 혈당 , 지질대사 및 Insulin 에 미치는 영향

        이원재(Won Jae Lee),강병헌(Byoung Heon Kang) 한국사회체육학회 1999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1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walking exercise on blood glucose, lipid metabolism, and insulin in non-insulin-dependent diabetic patients observing the change of insulin concentration, lipid metabolism, blood glucose concentration in each treat(fasting, before exercise, exercise 10min, exercise 20min, recovery 10min) during walking exercise with moderate intensity for 20 minutes to 7 women in normal group and 11 women in NIDDM group. Summarizing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n as follows; 1)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groups and treats in blood glucose concentration, but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2) Lipid metabolism (1)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groups and treats on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but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2) There wasn`t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groups and treats on HDL-C concentration, also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3)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two treats(fasting, just before exercise) on LDL-C concentration in NIDDM group, but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4) There wasn`t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groups and treats on TC/HDL-C ratio, also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5)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two treats(normal, NIDDM) on triglycerides concentrationin, but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3) There wasn`t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between groups and treats on insulin concentrationin, also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Synthesizing the above results, There was the significant difference(p<0.05) in groups or treats on blood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s concentration, but there wasn`t any 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between groups and treats.

      • KCI등재

        전자간증의 위험인자에 대한 임상적 연구

        양정보 ( Jung Bo Yang ),강병헌 ( Byung Hun Kang ),고영복 ( Young Bok Ko ),박찬준 ( Chan Joon Park ),유헌종 ( Heon Jong Yoo ),이윤이 ( Yun Ee Lee ),강길전 ( Kil Chun Kang ),노흥태 ( Heung Tae Noh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7 No.12

        목적 : 임신전, 임신중의 인구학적, 임상적 특성을 통해 전자간증을 예측할 수 있는 요소를 결정하였다. 연구 방법 : 1998년 1월에서 2002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산부인과에서 전자간증으로 진단되어 분만을 시행한 산모 279명을 환자군으로 하여 의무기록 분석을 통해 후향적 환자-대조군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2002년 1월에서 12월 사이에 본원에서 분만을 시행한 산모중 무작위 추출을 통해 364명을 선정하였다. 각각의 연구대상에서 나이, Objective : To assess several variables that are known as the risk factor of preeclampsia. Methods : We have studied with 279 pregnant women who were diagnosed with preeclampsia and went through delivery in Chungnam University from January, 1998 to Decemb

      • KCI등재

        여성 결혼이민자가 자각하는 한국어 학습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주월랑(Ju, Woalrang),강병헌(Kang, Byoungho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표적인 질적 연구 방법인 내러티브 방법을 통해서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 학습이 가지는 의미를 구체적으로 규명해 내는 데에 있다. 방법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이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생애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기 위한 기초 조사의 일환으로 경기도 D시 거주 베트남 출신의 여성 결혼이민자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 참여자의 개별적 특성을 참고로 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된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이야기를 분석한 결과, 이주 초기 단계와 국적 취득 준비 단계, 그리고 국적 취득 이후 단계에 따라 한국어 학습이 갖는 의미가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이주 초기 단계에서 한국어 학습은 생존을 위한 필수 전략으로 인식되는 한편, 국적 취득 준비 단계에서 한국어 학습은 여성 결혼이민자가 한국 사회에서 삶을 성공적으로 영유하기 위해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국적 취득 이후 단계에서 한국어 학습은 여성 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여성 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 및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cretely examine the meaning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married immigrant women through the narrative method which is a representa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Methods As a part of basic research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to the lifetime of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conducted the qualitative analysis by performing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otal six married immigrant women from Vietnam, residing in D city of Gyeonggi-do, and also referr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participants acquired from teaching experiences for about two years. Result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ories about married immigrant women collected from in-depth interviews, the meanings of Korean language learning were changed depending on the initial stage of immigration, the stage of preparation for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and the stage after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In other words, in the initial stage of immigration,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was perceived as an essential strategy for survival. In the stage of preparation for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was perceived as a precondition for getting the identity of Korean to successfully enjoy their lives in Korean society. Lastly, in the stage after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the Korean language learning was perceived as a means for realizing their own goals. Conclusions Su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ignificant in the aspect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