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세창 폐금속광산 수계에서 미량원소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 규명

        강민주,이평구,염승준,Kang Min-Ju,Lee Pyeong-Koo,Youm Seung-Ju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6 자원환경지질 Vol.39 No.3

        자연저감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납과 비소 함량이 높은 세창광산 지역의 광산배수, 침출수 및 지표수의 지구화학적 변화를 연구하였다. 주요 오염원인 폐광석에서 미량원소의 분산 및 물리화학적인 조건의 변화에 따른 미량원소의 이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총함량 분석 및 연속추출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광산배수, 침출수 및 지표수의 화학성분은 시료채취의 위치 및 시기별로 변화가 컸으며, 특히 pH가 매우 낮고(pH 2.1-3.3), 황산염(최대 661mg/l) 및 미량원소의 함량(최대 169mg/l Zn, 27mg/l As, 3.97mg/l Pb, 2.99mg/l Cu and 1.88mg/l Cd)이 매우 높은 경우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지표수에서의 비소와 미량원소의 함량은 특별한 처리를 하지 않아도 광산배수와 침출수가 배출되는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인 지류와 합류되는 지점(8번, 16번)에서 자연배경값과 거의 유사한 함량으로 낮아졌다. 철-황화광물의 산화작용과 가수분해에 따른 비정질 철-2차광물의 침전작용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미량원소의 이동을 크게 감소시켜주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메커니즘이었다. 또한 오염되지 않은 지표수와의 합류에 의한 희석효과도 미량원소의 함량을 감소시키고 점진적으로 pH를 증가시켰다. 한편, 가장 용해성이 높은 원소인 아연은 pH가 거의 중성에 가까워질 때까지 상당량이 용해된 용질상태로 남아있었다. 환경독성학적인 관점으로 볼 때, 세창광산 지역에서는 아연에 의한 오염에 특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러한 것은 수분을 함유한 폐광석에서 아연의 대부분이 양이 온교환형(전체 함량의 65-89%)으로 존재하고, 납은 전체함량의 65-89%가 산화광물 및 탄산염광물형태와 수반되었으며, 카드뮴, 구리 및 비소는 잔류형태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난 연속추출실험 결과에 의해서도 확인되었다. 건조상태의 폐광석에서는 전체 납 함량의 34-48%가 쉽게 용출될 수 있는 양이온교환형태로 존재하였다. 양이온교환 및 탄산염광물 수반된 금속의 비율을 고려하면 각 미량원소의 상대적인 이동도는 Zn>Pb>Cd>As=Cu의 순서로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The geochemical evolution of mine drainage and leachate from waste rock dumps and stream water in Pb-As-rich abandoned Sechang mine area was investigated to elucidate mechanisms of trace metals. Total and sequential extractions were applied to estimate the distribution of trace metals in constituent phases of the waste rocks and to assess the mobility of trace metals according to physicochemical conditions. These discharged waters varied largely in chemical composition both spatially and temporally, and included cases with significant]y low pH (in the range 2.1-3.3), and extremely sulphate (up to 661 mg/l and metal contents (e.g. up to 169 mg/l for Zn, 27 mg/l for As, 3.97 mg/l for Pb, 2.99 mg/l for Cu, and 1.88 mg/l for Cd). Arsenic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at the down-stream of Sechang mine have been decreased nearly to the background level in downstream sites (sites 8 and 16) without any artificial treatments. The oxidation of Fe-sulfides and the subsequent hydrolysis, of Fe(II), with precipitation of poorly crystallized minerals, constituted an efficient mechanism of natural attenuation which reduces considerably the transference of trace metals (i.e. Fe and As) to rivers. The dilution of drainage by mixing with pristine waters provoked an additional decrease of trace metal concentrations and a progressive pH increase. On the other hand, the most soluble cations (i.e. Zn) remained significantly as dissolved solutes until the pH was raised to approximately neutral values. With respect to ecotoxicity, it is likely that the Zn pollution is of particular concern in Sechang mine area. This was confirmed by the sequential extraction experiment, where Zn in wet waste-rock samples occurred predominantly in the exchangeable fraction (65-89% of total), while Pb was the highest in the reducible and carbonate fractions, and Cd, Cu and As in the residual fraction. Pb concentration in the readily available exchangeable fraction (34-48% of total) was dominated for dried waste rock samples. Considering the proportion of metals bound to the exchangeable and carbonate fractions, the comparative mobility of metals probably decreased in the order of Zn>Pb>Cd>As=Cu.

      • KCI등재

        폐광산 지역 폐광석 및 광미에서 비소의 고정 메커니즘과 용출특성

        강민주,이평구,Kang Min-Mu,Lee Pyeong-K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5 자원환경지질 Vol.38 No.5

        EPMA분석결과, 철망간-(산)수산화광물과 결정질 철-(산)수산화광물에서 각각 $0.3-11.0wt.\%$와 $2.1-7.4wt.\%$인 적은 양의 As가 검출되었다. 비정질 철-(산)수산화광물에는 $28-36wt.\%$ 범위의 다량의 As가 인지되었고 $As_2O_5-SO_3-Fe_2O_3$ 다이어그램에 도식한 결과 스코로다이트에 근접하였다. 용해된 As는 철망간-(산)수산화광물과 철-(산)수산화광물에 흡착되고 스코로다이트와 같은 2차광물로 침전되어 저감되고 있었다. 용출실험은 산성환경에서 As와 Fe의 용출특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반응용액의 pH 3과 5에서 용출된 As의 함량은 청양광산의 광미의 경우, 7일 이후에 뚜렷이 증가하였으며(전체 함량의 최대 $2.4\%$), 이는 As를 함유한 2차 광물들의 용해에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서보광산의 광미에 함유된 As는 거의 용출되지 않았다(전체 As함량의 $0.0-0.1\%$). pH 1의 용출실험결과, 서보광산과 청양광산의 광미는 각각 $1.1-4.2\%$와 $1.5-14.4\%$의 As가 용출되었으며 As와 Fe는 밀접한 상관관졔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용출실험에서 kinetics 문제는 우기에 As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 된다. 청양광산의 광미에 함유된 As는 지표수와 지하수의 수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반면에 서보광산의 광미의 경우, As의 이동은 2차 광물의 침전과 흡착을 통해서 제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PMA determined that Fe(Mn)-(oxy)hydroxides and well-crystallized Fe-(oxy)hydroxides and could contain a small amount of As $(0.3-11.0\;wt.\%\;and\;2.1-7.4\;wt.\%\;respectively)$. Amorphous crystalline Fe-(oxy) hydroxide assemblages were identified as the richest in As with $28-36\;wt.\%$. On the ternary $As_2O_5-SO_3-Fe_2O_3$ diagram, these materials were interpreted here as 'scorodite-like'. Dissolved As was attenuated by the adsorption on Fe-(oxy) hydroxides and Fe(Mn)-(oxy) hydroxides and/or the formation of an amorphous Fe-As phase (maybe scorodite: $FeAsO_4\cdot2H_2O$). Leaching tests were performed in order to find out leaching characteristics of As and Fe under acidic conditions. At the initial pHs 3 and 5, As contents dissolved from tailings of the cheongyang min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7 days due to the oxidation of As-bearing secondary minerals (up to ca. $2.4\%$ of total), while As of Seobo mine-tailing samples was rarely released (ca. $0.0-0.1\%$ of total). Dissolution experiments at an initial pH 1 liberated a higher amount of As (ca. $1.1-4.2\%$ of total for Seobo tailings, $1.5-14.4\%$ of total for Cheongyang tailings). In addition, good correlation between As and Fe in leached solutions with tailings was observed. The kinetic problems could be the important factor which leads to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As in the runoff water. Release of As from Cheongyang tailings can potentially pose adverse impact to surface and groundwater qualities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ile precipitation of secondary minerals and the adsorption of As are efficient mechanisms for decreasing the mobilities of As in the surface environment of Seobo mine area.

      • KCI등재

        인대광산 지역 광산배수에 영향을 받은 하천에서 미량원소의 계절적인 수질변화와 자연저감

        강민주,이평구,최상훈,Kang, Min-Ju,Lee, Pyeong-Koo,Choi, Sang-Ho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7 자원환경지질 Vol.40 No.3

        비소와 납 함유량이 높은 인대광산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 폐광석 적치장으로부터 유출된 침출수와 광산배수에 영향을 받은 수계에서 미량원소, pH 및 산화환원전위차의 계절적 및 공간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채광활동이 약 40년전이었고 폐광석 적치장이 유실되었기 때문에 이 수계는 심각하게 오염된 상태이었다. 침출수와 광산배수의 유입으로 인하여 수계 상류구간의 지표수는 비교적 약 산성 및 강한 산화환경 특성이 있으며, 아연(최대 $5.830mg/{\ell}$), 구리(최대 $1.333mp/{\ell}$), 카드뮴(최대 $0.031mg/{\ell}$) 및 황산염(최대 $173mg/{\ell}$) 함량의 계절적 및 공간적인 변화가 큰 특징이 있었다. 침출수에서 가장 함량이 높은 원소의 순서로 나열하면 아연($0.045-13.909mg/{\ell}$), 철($0.017-8.730mg/{\ell}$), 구리($0.010-4.154mg/{\ell}$) 및 카드뮴($n.d.-0.077mg/{\ell}$)이며, pH는 낮으며 황산염 함량(최대 $310mp/{\ell}$)은 높았다. 광산배수도 아연, 구리, 카드뮴 및 황산염 함량이 높았으며, pH는 연중 중성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침출수와 광산배수가 단기적인 수계 유량의 변동에 영향을 줄 수 없을 지라도 수계의 화학원소 함량에 강한 영향을 주었다. 수계 내 철(수)산화광물이 풍부하다는 것과 화학적 특성은 철(수)산화광물의 침전이 이 수계의 지표수로부터 미량원소를 제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지시하였다. 이 수계의 하류 구간에서의 공간적 및 계절적인 변화는 오염되지 않은 지류로부터 유입되는 지표수에 의해 크게 기인하였다. 또한, 이 구간에서의 미량원소의 함량은 어떠한 인위적인 처리 없이도 광산배수와 침출수가 배출되는 지점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지류와 수리학적으로 혼합되어진 후 배경값과 거의 유사한 함량으로 낮아졌다. 비보존성 반응(즉 침전, 흡착, 산화, 용해 등)과 보존성 반응(예: 수리학적 혼합)은 미량원소가 강으로 이동되는 것을 크게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자연저감 기작이었다.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concentrations of trace elements, pH and Eh were found in a creek watershed affected by mine drainage and leachate from several waste rock dumps within the As-Pb-rich Indae mine site. Because of mining activity dating back to about 40 years ago and rupture of the waste rock dumps, this creek was heavily contaminated. Due to the influx of leachate and mine drainage, the water quality of upstream reach in this creek was characterized by largest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s in concentrations of Zn(up to $5.830 mg/{\ell}$), Cu(up to $1.333 mg/{\ell}$), Cd(up to $0.031 mg/{\ell}$) and $SO_4^{2-}$(up to $173 mg/{\ell}$), relatively acidic pH values (3.8-5.1) and highly oxidized condition. The most abundant metals in the leachate samples were in order of Zn($0.045-13.909 mg/{\ell}$), Fe($0.017-8.730mg/{\ell}$), Cu($0.010-4.154mg/{\ell}$) and Cd($n.d.-0.077mg/{\ell}$), with low pH(3.1-6.1), and high $SO_4^{2-}$(up to $310 mg/{\ell}$). The mine drainage also contained high concentrations of Zn, Cu, Cd and $SO_4^{2-}$ and remained constantly near-neutral pH values(6.5-7.0) in all the year. While the leachate and mine drainage might not affect short-term fluctuations in flow, it may significantly influence the concentrations of chemicals in the stream. The abundance and chemistry of Fe-(oxy)hydroxide within this creek indicated that the Fe-(oxy)hydroxide formation could be responsible for some removal of trace elements from the creek waters. Spatial and seasonal variations along down-stream reach of this creek were caused largely by the influx of water from uncontaminated tributaries. In addition, the trace metal concentrations in this creek have been decreased nearly down to the background level at a short distance from the discharge points without any artificial treatments after hydrologic mixing in a tributary. The nonconservative(i.e. precipitation, adsorption, oxidation, dissolution etc.) and conservative(hydrologic mixing) reactions constituted an efficient mechanism of natural attenuation which reduces considerably the transference of trace elements to rivers.

      • KCI등재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효성과 안전성: 네트워크 메타분석

        강민주,신상진,서재경,조송희,최하진,양장미,지동현 대한안과학회 2019 대한안과학회지 Vol.60 No.8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and safety of intravitreal injections of bevacizumab, ranibizumab, and aflibercept for the treatment of new patients with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Methods: We conducted an update of the most recent and high quality systematic reviews (Canadian Agency for Drug Technology in Health [CADTH] 2016). Three randomized clinical trials were added to 13 trials identified from the CADTH report. The efficacy outcomes were 1) average improvement in visual acuity, 2) propor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an improvement in vision (an increase i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of ≥ 15 on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letters), and 3) proportion of patients who experienced worsening of vision (decrease in BCVA of ≥ 15 ETDRS letters). In addition, safety outcomes included systemic adverse events and ocular-related adverse events. To analyze the outcomes of 16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we conducted meta-analyses on the outcome measures.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icacy outcomes among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drugs. The mean difference in BCVA between ranibizumab and bevacizumab was 0.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1.95), and the odds ratio (OR) for a vision gain in the BCVA of ≥ 15 ETDRS letters for the ranibizumab versus aflibercept treatment was 1.02 (95% CI: 0.80, 1.30).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outcomes, except in terms of arterial thromboembolic events (ranibizumab vs. bevacizumab; OR: 2.15; 95% CI: 1.04, 4.41). Conclusions: The efficacy of anti-VEGF drugs for AMD patien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The safety of the drugs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except in terms of arterial thromboembolic events. 목적: 나이관련황반변성환자의 치료에 쓰이는 베바시주맙, 라니비주맙 및 애플리버셉트의 유리체내 주입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메타분석을 통하여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최근의 고품질의 체계적인 검토(Canadian Agency for Drug Technology in Health 2016)를 선정하였고, 여기에서 확인된 13건의 임상 시험에 3건의 무작위 임상 시험을 추가하여 메타분석 및 네트워크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유효성 결과 지표로는 1) 시력의 평균 향상, 2) 시력 개선을 경험한 환자의 비율, 3) 시력이 악화된 환자의 비율을 파악하였고, 안전성 결과에는 전신 이상 반응 및 안구 관련 이상 반응을 분석하였다. 결과: 항혈관내피성장인자 간의 유효성 결과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라니비주맙 대 베바시주맙의 평균 최대교정시력의 차이는 0.33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 1.95)이었고 15글자 이상의 시력 증가에서는 라니비주맙 대 애플리버셉트의 위험도(odds ratio, OR)는 1.02 (95% CI, 0.80, 1.30)였다. 또한 동맥 혈전 색전증의 발생을 제외하고는 안전성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라니비주맙 대 베바시주맙, OR, 2.15; 95% CI, 1.04, 4.41). 결론: 나이관련황반변성에서의 항혈관내피성장인자의 유효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안전성은 동맥 혈전 색전증 증상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인식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 탐색

        강민주,강훈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2

        이 연구에서는 ‘과학 전시전 기획’ 탐방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 프로그램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의인식 및 이에 영향을 미친 학습 경험을 탐색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대학 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소속된56명의 4∼6학년 초등 과학영재 학생을 선정했다. 선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그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설문을 했다. 또한 19명의 학생을 선정하여 설문에 대한 응답을 자세히 알아보기위한 집단 면담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많은 초등 과학영재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에 대해 다양한 인지적 및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일부 학생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몇 가지 한계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이러한 인식에 영향을 미친 경험으로는 ‘창의성 발휘 경험’, ‘비합숙 캠프형 프로젝트 학습 경험’, ‘자기 주도적학습 경험’, ‘디지털 기기 활용 경험’, ‘협업 경험’의 연계된 다섯 가지 학습 경험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교육적 시사점을 논했다. This study developed a field trip program called “Planning a science exhibition” and explored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program and learning experiences influencing them. To this end, 56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in grades 4-6 from in an university-affiliated science-gifted education institute in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field trip program. After the program, the students answered a survey regarding their perception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19 students were selected for group interviews to further explore their survey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many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perceived the program positively in various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Some students also pointed out certain limitations of the program. Five interconnected learning experiences were identified as influencing the students’ perceptions: “experiences fostering creativity”, “non-residential camptype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s”, “self-directed learning experiences”, “experiences utilizing digital devices”, and “collaborative experiences”. Educational implications regarding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