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술과 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성취기준에 관한 델파이 연구

        강도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

        최근 교육부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고시하면서 “핵심 역량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강조 하였으며, 이 와 더불어 2015년 ‘인성교육진흥법’을 공포한 이후 2016년 ‘인성교육 5개년 종합 계획’을 필두로 ‘핵 심 인성 역량’(‘자기 관리 역량’, ‘심미적/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갈등 관리 역량’, ‘공동체 역 량’)과 ‘핵심 덕목’(‘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을 강조하고 있다. 강도현, 이 주연(2016)에 따르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과 미술과에 기초한 인성 역량의 요 소가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역량 및 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급별 구체적인 실천 방안 및 성취기준 등의 제시가 필요하다는 것을 논의 한 바가 있다.

      • KCI등재

        A-STEAM 프로그램의 감성적 체험 내용 분석

        강도현,이정묘,이주연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造形敎育 Vol.0 No.5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elements of ‘emotional touch’, one of two 4-STEAM components in A-STEAM programs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s. STEAM is a concept of convergence of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in order to increase students’ interest,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rough understanding of scientific techniques and thinking. The key elements of STEAM, so called 4C-STEAM, are ‘convergence’, ‘creativity’, ‘communication’ and ‘caring’. Although many STEAM programs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schools, the content elements of emotional touch was not investigated and presented in detail, on the contrary, the content elements of creative design was systematically organized in STEAM programs. The model for organizing principles the content elements of emotional touch was presented in order for constructing STEAM or 4-C STEAM programs. Especially this study was focused on arts-focused STEAM, so called A-STEAM for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art(visual arts)-specialized STEAM programs. 국가·사회적 요구와 융합교육에 대한 고조된 관심으로 STEAM 관련 연구들이 급증하고 있으며, 학교교육에의 적용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도 넘쳐나고 있다. 그러나 기 개발된STEAM 프로그램들에서 ‘상황적 제시(context)’,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 ‘감성적 체험(emotional touch)’ 가운데 상황적 제시와 창의적 설계는 체계적 구조로 제시되는 반면, STEAM의 A와 직접적으로 연계된 ‘감성적 체험’은 그 내용과 접근 방식이 서로 상이하여 프로그램별로 감성적 체험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접근했는지의 분석을 통해 이의 구체적 내용요소들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2012년부터 현재까지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초등학교에 STEAM을 적용하기 위한 장학자료로 보급된 프로그램 가운데예술 중심 융합인재교육(A-STEAM) 중 특별히 미술교과를 중심으로 제시된 감성적 체험의내용 요소들을 살펴보고, STEAM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기본을 이루는 감성적 체험의 내용 요소를 제안하였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STEAM 프로그램에서 감성적 체험 내용 요소의선정과 조직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A-STEAM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분석한 감성적 체험의 내용 조직 원리는 앞으로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시 감성적 체험 내용을 구성하는데 있어 보다 구체적인 도움이 되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극조합에 따른 마그네틱 기어드 모터의 토크 특성 연구

        강도현,서상혁,이승창,차주경,김용재,정상용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19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Vol.15 No.3

        Magnetic geared motor (MGM) is a new type of permanent magnet (PM) motor that integrates conventional PM motor with magnetic gear(MG). MGM offers significant potential advantages compared to mechanical gear systems, such as reduced maintenance and improved reliability. Regarding different configurations of the armature stator, MGM can be categorized into different types, such as outer armature stator (OAS)-MGM, inner armature stator (IAS)-MGM and sandwiched armature stator (SAS)-MGM. SAS-MGM utilizes not only magnetic gearing effect, but also Vernier effect for developing resultant output torque.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orque performance of SAS-MGM according to pole pair combination to generate greater torque density. The output torque characteristic of SAS-MGM is analyzed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is employ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역량 및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 미술과 수업 방안

        강도현,이주연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58

        본 연구는 교육부에서 고시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미적 감수성’, ‘시각적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과 ‘2016 인성교육 5개년 종합 계획’의 핵심 인성 역량(‘자기 관리 역량’, ‘심미적/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갈등 관리 역량’, ‘공동체 역량’) 및 핵심 덕목(‘예’, ‘효’, ‘정직’, ‘책임’, ‘존중’, ‘배려’, ‘소통’, ‘협동’)과의 연계성을 알아보고 이에 기초하여 초등학교 현장 적용을 위한 미술과 수업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미술과 역량에 관한 국내외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교과 핵심 역량 및 인성 역량을 미술과 수업에 구현하기 위하여 미술교육 전문가 6 인의 의견 수렴을 통해 이의 타당성 및 적합성, 현장 적용을 위한 방안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술과 핵심 역량 및 인성 역량 관련 선행 연구를 비교 분석한 결과, 미술과 핵심 역량인‘미적 감수성’은 미술과의 인성 역량으로 제시된 ‘심미적(감성) 역량’, ‘시각적 소통 능력’은 ‘소통 역량’, ‘창의․융합 능력’은 부분적으로 ‘문제 해결 능력’, ‘미술문화 이해 능력’은 ‘존중과배려 역량’,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은 ‘자기 관리 역량’과 연계된다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핵심 역량과 인성 역량이 차별화되지 않고 세부 하위 역량에서 결국 동일한 개념과 용어를 공유하고 있다는 점은 앞으로 세밀하게 연구되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의 핵심 역량과 인성 역량 강화를 위한 수업 방안의 한 제시로서 초등학교 3-4학년과 5-6학년을 위한 미술과 수업 사례를 제시하였다. 앞으로 교과별 인성 역량의 구체적인 적용 방안과 더불어 역량 중심의 미술과 교육과정의 목표 구현을 위한 각 역량간의 하위 요소에 대한구체적인 실천 방안과 수업 모형, 학교급별 역량 요소에 대한 성취 수준의 개발 관련 연구들도 함께 요구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1) to pres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elementary art classes with relation to the subject-based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 education, 2) to examine its practicability of five art-subject core competencies presented in 2015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nd character competencies proper to art subject, and 3) to make concrete connections between the ideal educational goals of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and its implement to the actual classroom. Researches on core competencies in school art subject and character elements were analyzed. Subject-based core competencies were already presented in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character competencies for art education were announced by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early 2016, clear consensus on character competencies suitable for art subject would be needed. Six experts were selected and interviewed to draw consensus for assuring art-subject core competencies and verifying character competencies. Taking all these considerations into account, 3rd & 4th and 5th & 6th-grade elementary art classes were presented as instructional models. It was regarded that there was a need to match the revision period and the announcement of character education Five-Year Master Plan. In conclusion, more researches and studies were processed on core competencies and character competencies for art su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